티그라이인

덤프버전 :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티그라이인 관련 틀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셈족
[ 펼치기 · 접기 ]

셈족동셈족†아카드인† | 바빌로니아인† | 고대 아시리아인† | 에블라
북서셈족히브리인(유대인 | 사마리아인 | 이스라엘인) | 현대 아시리아인 | 페니키아† | 모압† | 암몬† | 에돔† | 아람† | 아모리인†(우가리트†) | 칼데아인
남서셈족
(아랍인)
베두인 | 아랍계 기독교인 | 나바테아인† | 사우디인(히자즈인) | 현대 이집트인 | 마그레브 아랍인(몰타인) | 팔레스타인인(이스라엘 아랍인) | 예멘인(하드라미인) | 오만인 | 걸프 아랍인 | 요르단인 | 시리아인 | 레바논인 | 이라크인 | 아프리카계 아랍인(아프리카계 이라크인 | 아프리카계 예멘인(아크담족) | 수단 아랍인(바까라족))
남셈족사바인† | 소코트라인 | 마흐라인 | 암하라인 | 티그라이인 | 티그리냐인 | 티그레인
셈어파 지역비아랍인 계열 독립국가들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 |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아랍 계열 독립국가들파일: 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자치 지역 및 다수 거주지(다수 거주국가 포함)아라비스탄 | 하타이 | 잔지바르 | 코모로
언어셈어파
사상범셈족주의 | 아랍 민족주의 | 시오니즘
신화아랍 신화 | 유대 신화 | 메소포타미아 신화(아카드 신화 | 바빌로니아 신화(칼데아 신화) | 아시리아 신화) | 가나안 신화(아람 신화 | 페니키아 신화(카르타고 신화))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78930 10%,#FCDD09 10%,#FCDD09 90%,#da121a 90%)"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ext-align: left"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border:1px solid #fff"
[[에티오피아|[[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height=35&align=left]]]]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에티오피아
관련 문서
}}}}}}
<^|1><height=34><bgcolor=#ffffff,#1f202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21deg, transparent 65%, #12AD2B 65%), linear-gradient(159deg, transparent 65%, #4189DD 65%), linear-gradient(159deg, transparent 24%, #EA0437 24%), linear-gradient(21deg, transparent 24%, #EA0437 24%), linear-gradient(147deg, transparent 16%, #EA0437 16%), linear-gradient(33deg, transparent 16%, #EA0437 16%), linear-gradient(to bottom, #EA0437 50%, #EA0437 50%)"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ext-align: left"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ext-align: left"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border:1px solid #FFBD26"
[[에리트레아|[[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height=35&align=left]]]]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에리트레아
관련 문서
}}}}}} }}}
<^|1><height=34><colcolor=#fff><bgcolor=#4189DD,#1f202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


1. 개요
2. 종교
3. 2020년 에티오피아 내전
4. 출신인물



1. 개요[편집]


에티오피아티그라이 지역에서 아프리카아시아어족티그리냐어를 사용하는 민족이다. 에티오피아 전체 인구의 5% 정도를 차지하는 소수민족이지만, 멩기스투에티오피아 인민 민주 공화국을 전복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면서 90년대 이후 에티오피아의 실세로 거듭났다.#

에리트레아티그리냐인과 크게 보면 하나의 민족이지만, 현대사와 국경 분단에 의해 서로 상황이나 입지가 상당히 달라진 상황이다.


2. 종교[편집]


에리트레아 테와히도 정교회를 믿는 기독교인이다.

3. 2020년 에티오피아 내전[편집]


에티오피아 중앙정부와의 주도권 싸움을 벌이는 와중에 2020년 에티오피아 내전이 일어났다. 티그라이인은 인구 비중으로는 5% 남짓에 불과하지만 90년대 이후 에티오피아 전체 군사력의 과반을 차지할 정도로 영향력이 막강한 상황이었는데, 이 과장에서 오로모인 출신 아비 아머드 알리의 입지가 강해지자 위기의식을 느끼고 아직 건재한 부족 군사력을 바탕으로 내전을 일으킨 것


4. 출신인물[편집]


파일:0F977BC1-1BE0-42C3-901D-4E36BEC5BB2F.jpg
WHO의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총장은 부모님이 티그라이 출신이지만 부모님이 에리트레아 지역으로 이사하여 자랐다가, 에티오피아에 쭉 살게 되었고, 지금도 티그라이 지역 정당에 소속되어 있는 티그라이인이다.

파일:external/i.telegraph.co.uk/meles_2280428b.jpg

파일:fryat-yemane-sam-studio-pic-1509363375l8c4p.jpg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3 02:25:58에 나무위키 티그라이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