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칸 영화제/감독상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칸 영화제



파일:cannesbestdirector.jpg

1. 개요
2. 수상자
2.1. 2회 이상 수상자



1. 개요[편집]


칸 영화제 감독상(Best Director Award)은 칸 영화제에서 영화 감독에게 수여하는 감독상이다.

경쟁 부문에 오른 영화 중에서 심사위원들이 평가한 뒤 선정한다. 제1회 칸 영화제가 열린 1946년부터 수여되었으며, 감독들에게 수상을 하지 않은 1949년 제3회 영화제, 1953년 제6회 영화제, 1954년 제7회 영화제,1960년 제13회영화제와 1962년 제15회 1963년 제16회 1964년 제17회 연속으로 수상을 연이어 하지 않았고 1971년 제24회 1973년 제26회 1974년 제27회 역시 수상을 하지 않았다. 1980년 제34회 1981년 제35회 역시 수상작이 없었으나 이후로는 계속 수상작이 나오고 있다. 1948년과 1950년, 그리고 중간에 영화제가 중단이 된 1968년 제21회 영화제를 제외하고는 모두 시상이 이루어졌다.

칸 영화제 감독상은 황금종려상과 감독상이 동시에 수상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1991년 제44회 《바톤핑크》의 코엔 형제와 2003년 제56회 《앨리펀트》의 구스 반 산트 감독이 동시에 수상을 이루었고 코엔형제는 감독상을 3회 수상해 최다 수상자에 기록되고 있다.


2. 수상자[편집]


역대 시상식수상작감독국가
1946년 제1회철로변의 전투르네 클레망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947년수상작 없음
1948년수상작 없음
1949년 제3회문을 넘어서르네 클레망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950년수상작 없음
1951년 제4회잊혀진 사람들루이스 부뉴엘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1952년 제5회팡팡 튤립크리스티앙 자크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953년 제6회수상작 없음
1954년 제7회수상작 없음
1955년 제8회리피피줄스 더신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십가의 영웅들세르게이 바실리예프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1956년 제9회오델로세르게이 유트케비치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1957년 제10회사형수 탈출하다로베르 브레송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958년 제11회인생의 가장자리잉마르 베리만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1959년 제12회400번의 구타프랑수아 트뤼포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960년 제13회수상작 없음
1961년 제14회불타는 해의 연대기율리야 솔른트세바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1962년 제15회수상작 없음
1963년 제16회수상작 없음
1964년 제17회수상작 없음
1965년 제18회로스트 포레스트리비유 치우레이파일: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 루마니아
1966년 제19회레닌의 초상세르게이 유트케비치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1967년 제20회10,000개의 태양페렝 코사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1968년 제21회 [1]수상작 없음
1969년 제22회죽음의 안토니오글라우버 로샤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모두 착한 사람들보체크 자스니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
1970년 제23회마지막 군주 레오존 부어만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1971년 제24회수상작 없음
1972년 제25회붉은 시편미클로시 얀쵸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1973년 제26회수상작 없음
1974년 제27회수상작 없음
1975년 제28회더 오더미첼 브롤트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스페셜 섹션코스타 가브라스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1976년 제29회추하고 더럽고 미천한에토레 스콜라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1977년 제30회수상작 없음
1978년 제31회열정의 제국오시마 나기사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1979년 제32회천국의 나날들테런스 맬릭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980년 제33회수상작 없음
1981년 제34회수상작 없음
1982년 제35회피츠카랄도베르너 헤어조크파일:독일 국기.svg 서독
1983년 제36회로베르 브레송[2]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노스텔지아안드레이 타르콥스키[3]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1984년 제37회시골의 어느 하루베르트랑 타베르니에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1985년 제38회랑데부(영화)앙드레 테시네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986년 제39회특근마틴 스코세이지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987년 제40회베를린 천사의 시빔 벤더스파일:독일 국기.svg 서독
1988년 제41회남쪽페르난도 솔라나스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1989년 제42회집시의 시간에밀 쿠스트리차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1990년 제43회택시 블루스파벨 룽긴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1991년 제44회바톤 핑크코엔 형제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992년 제45회플레이어로버트 알트만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993년 제46회네이키드마이크 리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1994년 제47회나의 즐거운 일기난니 모레티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1995년 제48회증오마티외 카소비츠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996년 제49회파고코엔 형제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997년 제50회해피 투게더왕가위파일:영국령 홍콩 기.svg 영국령 홍콩
1998년 제51회제너럴존 부어만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1999년 제52회내 어머니의 모든 것페드로 알모도바르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2000년 제53회하나 그리고 둘에드워드 양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2001년 제54회멀홀랜드 드라이브데이비드 린치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그 남자는 거기 없었다코엔 형제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002년 제55회취화선임권택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펀치 드렁크 러브폴 토머스 앤더슨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003년 제56회엘리펀트거스 밴 샌트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004년 제57회추방된 사람들토니 갓 리프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2005년 제58회히든미카엘 하네케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2006년 제59회바벨알레한드로 곤살레스 이냐리투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2007년 제59회잠수종과 나비줄리안 슈나벨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008년 제60회쓰리 몽키스누리 빌게 제일란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터키
2009년 제61회일살브릴얀테 멘도사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2010년 제62회온 투어마티유 아말릭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2011년 제63회드라이브니콜라스 빈딩 레픈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2012년 제64회어둠 뒤에 빛이 있으라카를로스 레이가다스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2013년 제64회헬리아마트 에스칼란테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2014년 제65회폭스캐처베넷 밀러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015년 제66회자객 섭은낭허우샤오셴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2016년 제67회엘리자의 내일크리스티안 문지우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퍼스널 쇼퍼올리비에 아사야스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2017년 제68회매혹당한 사람들소피아 코폴라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018년 제69회콜드 워파벨 파블리코프스키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2019년 제70회소년 아메드다르덴 형제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2020년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여파로 미개최
2021년 제74회아네트레오스 카락스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2022년 제75회헤어질 결심박찬욱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2023년 제76회프렌치 수프트란 안 홍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2.1. 2회 이상 수상자[편집]


3회 수상

2회 수상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0 06:17:56에 나무위키 칸 영화제/감독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68혁명의 여파로 시상식이 중간에 중단되었다.[2] 브레송은 타르콥스키와 자신이 아니라 이마무라 쇼헤이의 작품을 황금종려상으로 선정한 것에 불만을 품고 수상증서를 집어던져 버렸다고 한다.[3] 심사위원 중 한 명인 세르게이 본다추르크는 타르콥스키가 황금종려상을 타면 외교적 문제가 있을 것을 위협해 감독상을 주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