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철도 회사

덤프버전 :

[ 목차 펼치기 · 접기 ]




1. 개요[편집]


지하철/경전철을 포함한 철도사업을 운영하는 회사이다. 공기업도 있지만 민간기업도 있다. 목록은 아래와 같다.


2. 아시아[편집]



2.1. 대한민국[편집]



대한민국의 철도 운영 기관
[ 펼치기 · 접기 ]








2.2. 일본[편집]


국철이 전신이었던 JR그룹을 비롯해서 다양한 규모의 사철이 존재한다.


2.3. 중국[편집]




2.4. 대만[편집]




2.5. 홍콩[편집]




2.6. 마카오[편집]




2.7. 인도네시아[편집]




2.8. 싱가포르[편집]




2.9. 태국[편집]




2.10. 말레이시아[편집]



2.11. 필리핀[편집]




2.12. 방글라데시[편집]


  • 방글라데시 철도
  • 다카 메트로 레일


2.13. 터키[편집]




2.14. 이스라엘[편집]


  • 이스라엘 철도


2.15. 사우디아라비아[편집]


  • SAR


2.16. 요르단[편집]


  • 해자즈 요르단 철도


3. 아메리카[편집]


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 북아메리카 Class I 철도 회사 파일:멕시코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파일:암트랙 로고.svg파일:BNSF 로고.svg파일:CSX 로고.svg파일:노퍽 서던 로고.svg
파일:유니온 퍼시픽 로고.svg파일:캔자스 시티 서던 로고.svg파일:캔자스 시티 서던 멕시코 로고.svg파일:페로멕스 로고.svg
파일:비아 레일 로고.svg파일:캐네디언 퍼시픽 로고.svg파일:캐네디언 내셔널 로고.svg파일:그랜드 트렁크 로고.svg
파란색은 미국 회사, 빨간색은 캐나다 회사, 초록색은 멕시코 회사이다.
GT는 CN의 미국 내 운영 자회사이므로 CN 옆에 두었다.



3.1. 미국[편집]


지하철은 커뮤터 레일/북미 문서를 참조.


3.2. 캐나다[편집]




3.3. 멕시코[편집]




4. 유럽[편집]


파일:레일팀 로고.svg
레일팀 회원사



4.1. 영국[편집]




4.2. 아일랜드[편집]


  • Iarnród Éireann


4.3. 프랑스[편집]




4.4. 독일[편집]




4.5. 이탈리아[편집]




4.6. 네덜란드[편집]


  • NS
  • Arriva Netherlands
  • Keolis


4.7. 스웨덴[편집]


  • SJ
  • MTR Express


4.8. 덴마크[편집]




4.9. 노르웨이[편집]


  • NSB
  • Go-Ahead Nordic


4.10. 핀란드[편집]




4.11. 오스트리아[편집]




4.12. 스위스[편집]




4.13. 벨기에[편집]




4.14. 스페인[편집]




4.15. 포르투갈[편집]




4.16. 룩셈부르크[편집]


  • CFL


4.17. 러시아[편집]




4.18. 우크라이나[편집]




4.19. 체코[편집]


  • České dráhy
  • Správa železnic
  • Leo Express


4.20. 슬로베니아[편집]


  • Slovenske zeleznice


4.21. 슬로바키아[편집]


  • ZSSK


4.22. 세르비아[편집]


  • 세르비아 철도


4.23. 아제르바이잔[편집]


  • ADY


4.24. 벨라루스[편집]


  • 벨라루스 철도


4.25. 헝가리[편집]


  • MAV


4.26. 에스토니아[편집]


  • Elron


4.27. 루마니아[편집]


  • CFR


4.28. 조지아[편집]


  • 조지아 철도


4.29. 리투아니아[편집]


  • LG


4.30. 공동소유[편집]


  • 유로스타(Eurostar, 프랑스, 영국, 벨기에)
    • 탈리스(Thalys, 프랑스, 독일, 벨기에)[6]
  • TGV 리리아(TGV Lyria, 프랑스, 스위스)
  • 카렐리안 트레인즈(Karelian Trains, 러시아, 핀란드)
  • TILO(이탈리아, 스위스)


5. 오세아니아[편집]



5.1. 호주[편집]




5.2. 뉴질랜드[편집]




6. 아프리카[편집]



6.1. 모로코[편집]


  • ONCF


6.2. 알제리[편집]


  • SNTF


6.3. 이집트[편집]


  • 이집트 철도


7. 사라진 철도 기관/회사[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9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9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17:28:58에 나무위키 철도 회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17년 5월 31일서울메트로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가 합병되면서 출범한 공기업이다. 합병 이전의 기업 정보를 보고 싶다면 각 문서를 참조할 것.[2]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인천공항 셔틀트레인 관리.[3] 포항제철소선광양제철소선 관리.[4] 당진제철소 내부 철도 관리.[5] 아직 운영할 철도는 불확실하며 차후 김포 골드라인 등을 인수할 계획 정도만 있다.[6] 프랑스 국유철도 62%, 벨기에 국유철도(SNCB) 28%, 독일철도공사 10%로 지분이 나뉘어있다. 지분율로 따지면 프랑스국철의 자회사인 셈. 최근 유로스타와 합병을 하였고 2024년에 브랜드 폐지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