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버스 3006

덤프버전 :



파일:진해_6073_3006.jpg
파일:창원_1250_3006.jpg
진해여객 소속창원버스 소속
읍면 노선 외 환승 인정 시간 25분 적용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시간표
4.2. 노선
4.3. 사건사고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창원시 CI_White.svg 창원시 급행좌석버스 3006번
기점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퇴촌동(창원대학교종점)종점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안골동(신항파출소)
종점
첫차05:20기점
첫차05:20
막차22:20막차22:30
평일배차26~41분주말배차26~41분
운수사명대운교통, 진해여객, 창원버스인가대수9대[1][2][3]
노선창원대학교종점 - 창원대삼거리 - 창원의집입구 - 지귀상가 - 농협하나로마트클럽 - 시티7 - 트리비앙아파트.한국폴리텍대학 - 창원시청(정우상가) - 은아아파트 - 대동백화점 - 가음정사거리 - 남산공원환승센터 - 성주동행정복지센터 - 안민터널[4] - 롯데마트 - 덕산해군아파트 - 진해구청·장전주유소 - 어은동 - 웅천성내 - 호반베르디움.리젠시빌란트 - 시티프라디움1차.리젠시빌라트 - STX아파트 - 웅동농협앞 - 청안해오름 - 용원휴요양병원 - 해인로즈빌 - 안골포초등학교 - 코아루아파트 - 웅동2동행정복지센터 - 용원종점 - 부영8단지 - 부영2단지 - 부영4단지 - 신항파출소


2. 개요[편집]


창원시의 급행좌석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88.1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2010년 12월 15일 용원 지역 주민들의 창원 소계동으로의 이동 편의를 위해 757번으로 신설되었다.[5] 기사
그리고 155번의 수요 분산 목적 또한 있을 것이다. 155번과 거의 100% 겹쳤던 시절에도 출퇴근시간대에는 아예 못 타는 사람이 있을 정도로 가축수송 중이니 대체 노선이 아예 없던 당시에는.....

  • 2011년 11월 8일부터 12일까지 어은동(장수마을회관) 경유로 변경하는 안건에 대해 의견조회를 받았다.


  • 2018년 4월 21일에 주말 운행댓수가 8대에서 7대로 감차되었다. 따라서 기존 25~30분 배차에서 30~45분 배차로 변경 운행하게 되었다.

  • 2019년 6월 20일부터 남문지구를 추가로 경유하게 되었다. 운행거리가 늘어나 1대당 왕복 5회에서 4회 운행으로 줄어들면서 1일 운행횟수가 50회에서 40회로 줄어들어 배차간격이 6~7분 늘어나고 소계동에서 출발하는 막차가 22시 50분에서 22시 40분으로 당겨졌다.

  • 2019년 9월 9일부터 종점이 신항지구로 연장되었다. 신항발 첫차는 5시 20분으로 당겨지고 막차는 양방향 모두 10분 당겨졌다.

  • 2022년 2월 9일부터 기점이 소계동에서 창원대학교로 변경되어 창원역의창구 일대[6]를 더 이상 경유하지 않게 되었다. 변경 됨으로써 시티7 부터 창원대 종점까지 모든정류장을 정차하는 간선화가 되었다.


  • 2023년 7월 31일부터 361번 노선 신설로 인하여 기사 부족으로 인해 평일 10대에서 9대로 감차되었다.

  • 2023년 11월 11일부터 호산나노인복지센터솔직히 타는사람이 아무도없다. 장복터널쪽으로 비유하면 목장입구, 양곡로, 관음사입구 정류장 수준. 정류장에 추가 정차하게 되었으며 기존 9대 배차에 36회 29분 간격에서 9대 배차 39회 26분 간격으로 단축되었다.

4. 특징[편집]


  • 읍면 노선 외 환승 인정 시간 25분이 적용된다.

  • 모든 차량들이 이 노선에만 배차되는 창원시에서 보기 드문 형태의 노선이다.

  • 신설 당시에는 대우 BS106도 같이 운행했지만 현재는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차량으로만 운행한다.[7]

  • 운행 거리가 왕복 88km로 창원시 소속의 급행 노선 중 두번째로 길다.[8]

  • 2022년 2월 초까지는 703번과 함께 원이대로 전 구간(가음은아아파트 - 창원역)을 경유했던 노선이었다. 그렇기에 만약 창원에 S-BRT 노선이 계획대로 착공되면 해당 노선과 703번은 S-BRT 구간을 모두 완주하게 될 수 있었다. 그러나 2022년 2월 9일부로 기점이 창원대학교로 바뀌면서 의창구 일대를 가지 않게 되는 바람에 옛말이 되었다.

  • 2023년 4월 15일 이후 기준으로 시티7에서 진해구청까지의 구간은 155번과 매우 유사해 155번의 바이패스 역할을 하고 있다.[9] 또한 급행 버스이므로 일부 정류장에는 정차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구간에 있는 155번과 3006번이 모두 서는 정류장에선 먼저 오는 노선 아무거나 타도 된다.[10]

  • 2023년 6월 10일 개편으로 315번, 3002번과 함께, 남문지구와 신항지구를 모두 경유하는 노선이다.[11][12]

  • 3002번과 함께 신항-용원-청안동-웅동1동-웅천동 구간은 동일하게 경유하지만, 웅천성내 이후 회전 교차로에서 경유하는 루트에 차이가 있다.[13]

  • 남문지구를 경유하면서 인가대수는 그대로하고 대당 운행 횟수를 5회에서 4회로 줄이는 바람에 일 50회에서 40회 운행으로 줄어들어서 배차간격이 기존에 비해 6~7분이나 늘어났다.

  • 안 그래도 진해구로 가는 급행버스 중 수요가 제일 많은데 위의 이유로 배차간격이 늘어났으며 남문지구와 신항지구 주민들까지 추가되다 보니 출퇴근시간과 주말 오후 저녁 시간대에는 입석이 생기는 일도 많다.[14]

  • 진해여객, 창원버스는 신형차량[15]에다가 천연가스버스 차량을, 대운교통은 간선에서 운행하던 차량을 좌석개조한 차량이며 몇 대 안되는 디젤 차량으로 운행한다.

  • 진해여객 유일한 좌석 노선이다.

  • 창원대학교 종점에 가스 충전소가 없어서 가스 차량들인 창원버스, 진해여객은 불모산 공영차고지에서 가스 충전을 한다. 나머지 대운교통 디젤차량 2대는 신항 부영 4단지 아파트에 정차한 후 바로 우측 옆에 있는 SK 주유소에서 주유를 한다. 그래서 대운교통 디젤 차 주유로 운행이 10분 가량 늦어질 때도 있다.[16]

  • 개편 이후로 757번 시절에 정차했던 정류장이 3006번이 되고 나서 급행노선 특성을 따랐는지 일부 정차하지 않고 통과하고 있다.[17][18]

  • 창원시의 3000번대 버스 중 유일하게 동지역만 운행하는 노선이다.[19]

4.1. 시간표[편집]


파일:창원시 CI_White.svg 창원시 급행좌석버스 3006번 평일시간표
[ 시간표 펼치기 · 접기 ]

신항파출소발창원대학교발
20 4605시20 47
12 3806시14 41
05 32 5907시08 35
26 5308시02 29 56
20 4709시23 50
14 4110시17 44
08 3511시11 38
02 29 5612시05 32 59
23 5013시26 53
17 4414시20 47
11 3815시14 41
05 32 5916시08 35
26 5317시02 29 56
20 4718시23 50
14 4119시17 44
08 3520시11 38
02 29 5921시05 30 55
3022시20


파일:창원시 CI_White.svg 창원시 급행좌석버스 3006번 주말,공휴일시간표
[ 시간표 펼치기 · 접기 ]

신항파출소발창원대학교발
20 5605시20 57
3306시34
10 4707시12 49
2408시27
02 3909시04 42
17 5410시19 56
3211시00 34
09 4612시11 49
2413시26
01 3914시04 41
16 5415시18 56
3116시33
08 4617시11 48
2318시26
01 3819시03 40
2120시18 58
04 4721시39
3022시20


4.2. 노선[편집]


파일:창원시 CI_White.svg 창원시 급행좌석버스 3006번 노선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신항파출소
523338 · 523339
부영4단지
630348
부영4단지
630342
부영2단지
630347
부영2단지
630341
부영5단지
523340
-
이지더원아파트
630345
부영8단지
630339
용원종점
512902
용원종점
512909
웅동2동행정복지센터
513005
웅동2동행정복지센터
513006
웅동농협하나로마트
513001
웅동농협하나로마트
513002
코아루아파트
514004
코아루아파트
514003
안골포초등학교
511006
안골포초등학교
511005
해인로즈빌아파트
630213
해인로즈빌아파트
630212
용원휴요양병원
503003
용원휴요양병원
503004
청안해오름
513807
청안해오름
513808
웅동농협앞
513803
웅동농협앞
513804
STX아파트
514505
STX아파트
514506
호산나노인복지센터
514011
호산나노인복지센터
514010
농업기술센터
514009
농업기술센터
514008
시티프라디움1차.리젠시빌란트
502903
시티프라디움1차.리젠시빌란트
502909
사도마을
502902
사도마을
502901
호반베르디움.리젠시빌란트
502916
호반베르디움.리젠시빌란트
502917
세스페데스공원
502908
세스페데스공원
502907
웅천성내
514007
웅천성내
514006
어은동
630224
어은동
630252
케이조선입구
518149
케이조선입구
518150
진해구청
518143
진해구청.장전주유소
518144
녹수아파트
518141
풍호동사거리
518142
자은본동
518139
우성아파트.아이존빌입구
518138
자은포스코
518137
-
덕산해군아파트
518135
덕산해군아파트
518134
벚꽃마을삼성아파트입구
518133
자은동행정복지센터
518132
냉천사거리
518129
대동아파트앞
518128
롯데마트
518125
롯데마트
518122
안민터널
518123
-
안민터널사거리
201237
안민터널사거리
201236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창원2사업장
201227
-
성주동행정복지센터
209301
성주동행정복지센터.성주사역
201226
남산공원환승센터
218819
남산버스정류소
218824
가음정사거리
218815
가음정사거리
218822
더샾센트럴파크3단지
214222
LG사원아파트
214221
사파삼익아파트
214217
토월성원아파트
214218
대동백화점
214215
대동백화점
214216
은아아파트
114227
은아아파트
214212
정우상가
114225
창원시청.한서병원
214210
트리비앙아파트.한국폴리텍대학
114221
트리비앙아파트.한국폴리텍대학
214206
문성고등학교
114217
문성고등학교
114218
시티7
114213
시티7
114214
농협하나로클럽
119108
농협하나로클럽
119107
지귀상가
119112
지귀상가
119111
대동그린코아
119116
봉곡상가입구
119115
창원의집입구
119122
창원의집입구
119121
우영프라자
120502
우영프라자
120501
창원대종점
120508 · 120505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신항동로
신항동로
신항북로
부영5/6단지 ▼
신항5로
이지더원아파트/애플타운 ▼
신항동로
부영13단지 ▼▲ 부영8단지
신항4로
용원종점 ▼▲ 부영14단지
용원동로
{{{-2 정우상가 ▼}}114225
용원로용원남로
용원로
▲ 시티7 114213|안골로
농협하나로클럽 ▼}}119108-2 ▲
안청남로
창원의집입구 ▼}}119122-2 ▲ 농협하나로클럽 119108-2> 안청북로
창원대종점 ▼}}120508-2 ▲ 웅천성내 514007 안청로
▲ 창원대종점 120508-2> 진해대로
용원휴요양병원 ▼
남의로
의곡마을 ▼▲ 용원휴요양병원
웅동로
마천공단입구 ▼▲ 웅동농협앞
남영로
STX아파트 ▼▲ 마천공단입구
월남로
호산나노인복지센터 ▼▲ STX아파트
웅천로
▲ 농업기술센터
웅천동로
세스페데스공원 ▼
남영로
사도마을 ▼▲ 호반.리젠시빌란트
웅천동로1번길
시티1차 ▼
웅천동로
웅천동 ▼▲ 시티프라디움2차
웅천로
어은동 ▼▲ 천자봉공원묘원
어은로
STX조선입구 ▼▲ 어은동
진해대로
▲ 롯데마트
해원로
한화디펜스 ▼
공단로
성주동주민센터 ▼▲ 성주사역
성주로
가음정레포츠공원환승센터 ▼▲ 성산구청
창원대로
가음은아아파트 ▼▲ 가음정사거리
원이대로
농협하나로마트클럽 ▼▲ 시티7
창이대로
창원대삼거리 ▼▲ 창원의집입구
사림로
우영프라자 ▼
퇴촌로
}}}


4.3. 사건사고[편집]


  • 2018년 7월 23일에 오후 9시 43분경 진해방향 안민교 위에서 1톤 트럭이 이 노선 차량(대운교통 소속)을 들이받아 1톤 트럭 운전자가 숨지고 이 버스에 탑승한 승객 10명이 경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관련 기사[20][21]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창원시 CI_White.svg 용원 경유 버스 노선
[ 펼치기 · 접기 ]

급행좌석30023006
지선305315
마을352[b]353
부산좌석58-1[b]1009[a]
부산마을강서1[a]강서9-1[ab]강서17[ab]
[a]청안동 미경유 노선
[b]신항 미경유 노선



파일:창원시 CI.svg | 파일:창원대.png 창원대학교 경유버스
창원대학교 종점 (120505), 창원대학교입구(120503, 120504)
직행704752
간선100101
110122
150[정문]170[정문]
지선214
김해58[정문]59[정문]
97[정문]98[정문]
창원대동문 (108920), 창원중앙역(종점) (108913)
직행752
지선210211
220[중앙역]221[중앙역]
222[중앙역]
[정문] 창원대학교종점에서 정차 후 출발 / [중앙역] 창원중앙역에서 정차 후 출발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30 18:48:29에 나무위키 창원 버스 3006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기존 10대 배차에서 진해여객 업체에서 기사 부족으로 155번과 함께 1대씩 감차[2] 대운교통 2대 / 진해여객 4대 / 창원버스 3대[3] 주말 / 공휴일 7대 운행[4] 155번, 156번과 함께 터널 앞 정류소는 창원 방향만 정차.[5] 당시에는 국내의 유일한 757번 버스 노선이었다.[6] 의창동·소답동·도계동·명서동 전 구역.[7] 간혹 고급좌석버스인 현대 유니버스가 투입하는 경우가 있었다.[8] 제일 긴 급행 노선은 3002번. 만약 가덕도신공항이 개항되어, 가덕신공항발 창원행 교통편 확충 등을 이유로 3002번과 3006번 중 하나 혹은 모두가 가덕도로 연장될 경우 왕복 100km가 넘어가버린다. 다만 가덕도신공항은 국제선 전용 공항으로 계획중이라 시내버스 노선을 끌어오는 대신 그냥 공항버스 노선을 별도로 신설하거나, 일반 시내버스 노선이 들어간다 해도 3006번이 신항지구에 들어갔다는 이유로 300X번 계열의 별도 노선으로 신설하거나 진해지선 노선 정도만 들어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9] 2022년 2월 8일까지는 도계동에서 명서초등학교까지의 구간과도 유사했었다.[10] 만약 두 버스가 동시에 온다면 300원 더 내기 싫은 게 아닌 이상 일부 정류장을 무정차하는 이 노선이 더 빠르므로 이 노선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11] 창원 시가지에서 용원, 남문을 가는 유일한 버스여서 장거리 승객이 많은 노선이다. 특히 노선이 창원대학교 종점과 경남관광고등학교, 창원공업고등학교, 창원기계공업고등학교, 문성고등학교까지 총 5개의 학교가 겹쳐 차량이 미어터진다. 그래서 간혹 학생들 하교시간에 차량이 만원이 되면 시티7까지 승객을 받고 나머지는 무정차로 하차할 승객만 내리고 가며 또는 은아아파트, 대동백화점에서 만석이면 하차할 승객 말고는 무정차로 간다.[12] 이마저도 기사 마음대로이며 출퇴근시간에 차량에 사람이 많아도 어떤 기사는 하차할 승객만 받고 어떤기사는 뒷문 승차를 허용해서라도 승객을 더 받고 운행한다.[13] 2023.08.28 일부 노선 구간 개편으로 3002번이 기존에 용원하나로마트 이후 청안동, 웅동1동, 남문지구 외 웅천동 미경유하여 국도 2호선으로 가는것이 아닌 웅천동 구간까지 동일 구간 경유로 변경되었지만 웅천성내 이후 회전교차로에서 3006번은 3시 방향 어은동으로, 3002번은 12시 방향인 국도2호선 진해대로로 빠져나간다.[14] 수요가 많아도 차량을 증차는 커녕 감차만 자주 한다.[15] 대운교통만 신형차량이 아니다.[16] 3002번도 마친가지이다.[17] 용원초등학교, 안청초등학교, 부영2,3차아파트, 의곡마을, 마천공단입구, 천자봉공원묘원, 상리마을, 성산구청, 남산동, 가음은아아파트, 한림아파트, 장애인복지회관입구, 까치아파트입구, 유목교, 창원대학교입구, 창원종합운동장(노블파크아파트) 등등.[18] 안민터널(창원방면) 정류장과 안민터널사거리 정류장은 757번 시절에 정차하지 않았는데 정차한다.[19] 급행 노선 전체로 따지면 6000번도 존재한다.[20] 해당차량은 수리하여 운행했었으나 차량 노후화로 인해 현재는 예비차량으로 격하 되었다가 대차 되었다.[21] 해당차량은 1182호였으며 1182,1183두차량이 예비로 격하되었다가 대차 되었다. 1153,1164호가 입석차량에서 좌석차량으로 개조 되어 운행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