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구(대구 선거구)

덤프버전 :

||
선거인 수73,188명 (2000)
상위 행정구역대구광역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중구 전체
동인동, 삼덕동, 대신동, 대봉1동, 대봉2동, 성내1동, 성내2동, 성내3동, 남산1동, 남산2동, 남산3동, 남산4동
신설년도1988년
이전 선거구중구·서구 (대구 제 1 선거구)
이후 선거구중구·남구
국회의원
무소속

백승홍




1. 개요[편집]


대구광역시 중구를 관할했던 선거구로, 소선거구제 실시와 함께 13대 총선부터 신설되었고, 17대 총선부터 도심 공동화에 따른 인구 감소로 인하여 남구 선거구와 합구되어 중구·남구 선거구가 되었다.

1990년대까지 중선거구제 시절 같은 선거구였던 서구 갑[1]과 함께 대구 정치 1번지로 높은 위상을 자랑했으나, 1994년 재보궐선거 이후 수성구 갑이 신정치 1번지로 주목받기 시작한 이후로는 대구 정치 1번지 위상은 꽤 떨어졌다.

이 선거구 출신 유명 인사는 이만섭국회의장, 박준규국회의장, 유성환 국시론 파동의 주인공인 유성환 전 의원, 유승민 전 의원의 아버지인 유수호 전 의원이 있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편집]


총선당선자당적임기
제13대유수호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제14대
ta-hash-start=w-f61b7e97c5fee93f699be6ae95a81c51[[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제15대박준규
ta-hash-start=w-81ef0f4401b9bec98b849df4f0febfd3[[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제16대백승홍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2.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중구
대구 중구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유수호(劉守鎬)47,5941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56.87%당선
2김현규(金鉉圭)31,6602위
[include(틀:통일민주당)]37.83%낙선
3구영(具永)5495위

ta-hash-start=w-467018f7a1af7ae551500ef2981385d7[[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0.65%낙선
4이수만(李守萬)2,7833위

ta-hash-start=w-95ff10efed131b13760a9725d63f00d0[[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2.32%낙선
5서병환(徐秉煥)1,0994위

무소속

1.31%낙선
선거인 수105,892투표율
79.58%
투표 수84,269
무효표 수584

민정당 유수호 후보는 박정희 정부 시절 판사로써 소신있는 판결을 내려 판사 재임용에서 탈락했고, 변호사 시절에도 무료 변론 등 사회활동에 앞장섰다. 다만 본격적인 정계입문 과정에선 경북고 동기인 노태우, 김윤환, 정호용 등과의 인연으로 인해 민정당을 선택했다.

민주당은 구미시-군위군-칠곡군-선산군 선거구에서 3선을 기록한 야권 중진인 김현규 의원을 공천했다. 김현규 후보는 소선거구제 하에서 민정당 실력자인 김윤환을 상대하기 어렵다고 판단했는데, 하필 대구의 중심지인 중구 선거구에 마땅한 거물 후보가 없자 지역구를 옮겨 출마했다.

유수호 후보가 19% 차이로 승리했다.


2.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중구
대구 중구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유수호(劉守鎬)29,6251위

ta-hash-start=w-80864380748522eb0867561290d7d542[[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46.87%당선
2이강철(李康哲)12,1223위
[include(틀:민주당(1991년))]19.18%낙선
3박양식(朴陽植)21,4542위

ta-hash-start=w-7eb34878362f67244415aaf134f35cbe[[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33.94%낙선
선거인 수93,739투표율
68.47%
투표 수64,182
무효표 수981

이 선거에서 당선된 유수호 의원은 김영삼14대 대선 후보로 선출되자 민자당을 탈당, 통일국민당에 입당하였다.


2.3. 제15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중구
대구 중구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유성환(兪成煥)17,0792위

ta-hash-start=w-227e072d131ba77451d8f27ab9afdfb7[[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32.22%낙선
2이수만(李守萬)9917위

ta-hash-start=w-90b47c06d2875f483cc23294f3308d59[[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1.86%낙선
3이강철(李康哲)7,1833위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13.55%낙선
4박준규(朴浚圭)17,6311위

ta-hash-start=w-ffe0e9efa6cca63e0a9a41f25ec55eaf[[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33.26%당선
5한병채(韓柄寀)3,6865위

파일:무당파국민연합.svg


6.95%낙선
6김영철(金映徹)1,1266위

무소속

2.12%낙선
7유병율(柳炳律)3448위

무소속

0.64%낙선
8이우대(李愚大)1679위
0.31%낙선
9임철(林哲)4,7904위
9.03%낙선
선거인 수83,545투표율
64.51%
투표 수53,896
무효표 수899

15대 총선 대구 중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유성환박준규(1위/2위)
득표수
(득표율)
17,079
(32.22%)
17,631
(33.26%)
-552
(▼1.04)
64.51%
동인1·2가동30.72%27.96%△2.7680.88
동인3가동30.80%34.68%▼3.8863.74
동인4가동27.69%34.06%▼6.3764.05
삼덕1·2가동36.23%37.11%▼0.8862.82
삼덕3가동32.72%31.02%△1.7067.32
봉산동38.91%33.95%△4.9666.63
동성동35.87%36.66%▼0.7961.92
서성동33.53%38.37%▼4.8462.94
남성동35.08%32.23%△2.8564.79
북성동33.71%38.45%▼4.7464.38
달성동31.37%35.21%▼3.8466.17
대신1동34.37%32.17%△2.2061.57
대신2동37.37%31.62%△5.7566.04
남산1동33.29%32.87%△0.4261.10
남산2동32.83%30.83%△2.0062.44
남산3동30.37%30.80%▼0.4361.58
남산4동30.72%33.61%▼2.8964.82
대봉1동28.65%37.35%8.7063.55
대봉2동31.36%31.49%▼0.1362.15

출구조사에선 신한국당 유성환 후보가 앞섰으나 대구의 반 신한국당 정서로 인하여 자유민주연합 박준규 후보가 당선, 9선 고지에 오르고 3선 국회의장을 지내게 된다.


2.4. 제16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중구
대구 중구 일원[2]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백승홍(白承弘)24,5581위
58.37%당선
2이치호(李致浩)4,8903위
11.62%낙선
3박양식(朴陽植)1,4845위
3.52%낙선
4김현규(金鉉圭)3,5264위
8.38%낙선
5최우석(崔祐碩)1328위
0.31%낙선
6박진호(朴晋鎬)1337위
0.31%낙선
7이광수(異光洙)3326위
0.78%낙선
8임철(林哲)7,0132위
16.67%낙선
선거인 수73,188투표율
58.20%
투표 수42,599
무효표 수531

서구 갑서구 을서구 단일 선거구로 합구되자 서구 을의 현역 의원인 강재섭이 서구에 공천을 받고 서구 갑 현역의원 백승홍이 중구로 이동해 당선됐다. 백승홍 의원은 이후 한나라당을 탈당해 17대 총선4회 지선에서 무소속으로 서구 국회의원과 대구광역시장에 도전하지만 낙선하고 이후 정계를 떠난다.

[1] 정호용의 사퇴로 치러진 1990년 4·3 재보궐선거 당시 전국적으로 주목받았다.[2] 동인동, 삼덕동, 대신동, 대봉1동, 대봉2동, 성내1동, 성내2동, 성내3동, 남산1동, 남산2동, 남산3동, 남산4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