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종로구 을

덤프버전 :

||
선거인 수209,925명 (1960)
상위 행정구역서울특별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종로구 일부
계동, 원서동, 돈화문동, 탑동, 운현동, 대묘동, 비파동, 이현동, 통내동, 종로5가동, 대학동, 종로6가동, 충신동, 낙산동, 혜화동, 명륜1가동, 명륜3가동, 명륜2, 4가동
신설년도1958년
폐지년도1963년
이후 선거구종로구, 중구
국회의원

한근조

1. 개요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3. 서울특별시 제3,4선거구 (제헌 ~ 3대)
4. 서울특별시 제2선거구 (4대 ~ 5대)



1. 개요[편집]


서울특별시 종로구 일부 구역을 관할 했던 선거구로 제헌 국회의원 시절부터 존속했던 선거구이다. 법령상 공식명칭은 서울특별시 제2선거구였다.[1]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한양도성 지역 선거구 통폐합으로 사라졌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이름선수정당[2]비고
서울 종로구 을(1948-1963)
제헌장면초선
무소속

[3]
이인초선[4]
2대오화영초선
3대김두한초선
4대한근조초선

5대재선

3. 서울특별시 제3,4선거구 (제헌 ~ 3대)[편집]



3.1. 제헌 총선[편집]


서울특별시 제3선거구
,화서동, 권농동, 와룡동, 운니동, 묘동, 돈의동, 경운동, 익선동, 낙원동, 종로3가, 관수동, 장사동, 종로4가, 훈정동, 봉익동, 예지동, 인의동, 원남동, 연지동, 종로5가, 종로6가, 충신동, 효제동, 동숭동, 이화동, 혜화동, 명륜동1가, 명륜동2가, 명륜동3가, 명륜동4가, 계동, 연건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오정방(吳正邦)1,2836위

조선건국청년회

3.15%낙선
2장면(張勉)23,1881위

무소속

57.05%당선
3최성장(崔性章)2,1664위

대한정의단

5.32%낙선
4최규설(崔圭卨)5,4992위

무소속

13.53%낙선
5성헌경(成憲慶)7699위

무소속

1.89%낙선
6양재건(梁在健)1,1567위

무소속

2.84%낙선
7이명호(李明鎬)3,5283위

무소속

8.68%낙선
8배용균(裵用均)9798위

무소속

2.40%낙선
9김윤근(金潤根)2,0715위

무소속

5.09%낙선
선거인 수97,587투표율
78.5%
투표 수40,639
무효표 수


3.2. 1949년 재보궐선거[편집]


서울특별시 제3선거구
,화서동, 권농동, 와룡동, 운니동, 묘동, 돈의동, 경운동, 익선동, 낙원동, 종로3가, 관수동, 장사동, 종로4가, 훈정동, 봉익동, 예지동, 인의동, 원남동, 연지동, 종로5가, 종로6가, 충신동, 효제동, 동숭동, 이화동, 혜화동, 명륜동1가, 명륜동2가, 명륜동3가, 명륜동4가, 계동, 연건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인(李仁)12,3701위

무소속

40.38%당선
2백남훈(白南薰)9,8942위

무소속

38.75%낙선
3장택상(張澤相)6,7933위

무소속

30.53%낙선
4이규창(李圭昌)3,2934위

무소속

25.08%낙선
5박명환(朴明煥)3,2085위

무소속

21.86%낙선
6만애덕(萬愛德)2,8586위

무소속

18.52%낙선
선거인 수97,587투표율
56.30%
투표 수39,205
무효표 수789

장면 의원의 주 미국대사 부임으로 인해 치러진 1949년 재보궐선거에서 초대 법무부장관을 지냈던 무소속 이인 후보가 당선되었다.

3.3. 제2대 총선[편집]


서울특별시 제4선거구
,화서동, 권농동, 와룡동, 운니동, 묘동, 돈의동, 경운동, 익선동, 낙원동, 종로3가, 관수동, 장사동, 종로4가, 훈정동, 봉익동, 예지동, 인의동, 원남동, 연지동, 종로5가, 종로6가, 충신동, 효제동, 동숭동, 이화동, 혜화동, 명륜동1가, 명륜동2가, 명륜동3가, 명륜동4가, 계동, 연건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오화영(吳華英)21,1991위

무소속

58.54%당선
2백남훈(白南薰)15,0102위
41.45%낙선
3백준관(白駿寬)
낙선
4이희원(李禧元)
낙선
선거인 수투표율
?%
투표 수
무효표 수

3.4. 제3대 총선[편집]


서울특별시 제4선거구
화서동, 권농동, 와룡동, 운니동, 묘동, 돈의동, 경운동, 익선동, 낙원동, 종로3가, 관수동, 장사동, 종로4가, 훈정동, 봉익동, 예지동, 인의동, 원남동, 연지동, 종로5가, 종로6가, 충신동, 효제동, 동숭동, 이화동, 혜화동, 명륜동1가, 명륜동2가, 명륜동3가, 명륜동4가, 계동, 연건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두한(金斗漢)8,7621위
28.63%당선
2박청명(朴聽明)1,7695위
5.78%낙선
3최봉하(崔鳳夏)5,3404위
17.44%낙선
4한근조(韓根祖)8,2992위
27.11%낙선
5김동성(金東成)-후보사퇴
-
6김옥천(金玉千)5566위
1.81%낙선
7여운홍(呂運弘)5,4503위
17.80%낙선
8김복록(金福錄)4287위
1.39%낙선
선거인 수투표율
투표 수50,603
무효표 수

4. 서울특별시 제2선거구 (4대 ~ 5대)[편집]



4.1. 제4대 총선[편집]


서울특별시 제2선거구
계동, 원서동, 돈화문동, 탑동, 운현동, 대묘동, 비파동, 이현동, 통내동, 종로5가동, 대학동, 종로6가동, 충신동, 낙산동, 혜화동, 명륜1가동, 명륜3가동, 명륜2, 4가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중제(李重帝)6,9483위
18.50%낙선
2한근조(韓根祖)20,9111위
55.68%당선
3김현국(金鉉國)7044위
1.87%낙선
4김두한(金斗漢)8,9872위
23.93%낙선
선거인 수42,431투표율
56.30%
투표 수29.593
무효표 수596

4.2. 제5대 총선[편집]


서울특별시 제2선거구
계동, 원서동, 돈화문동, 탑동, 운현동, 대묘동, 비파동, 이현동, 통내동, 종로5가동, 대학동, 종로6가동, 충신동, 낙산동, 혜화동, 명륜1가동, 명륜3가동, 명륜2, 4가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최근우(崔謹遇)2,7913위
6.69%낙선
2장기영(張基永)10,3832위
24.89%낙선
3이내범(李來範)1,8025위
4.32%낙선
4안규현(安奎玹)2,8672위
6.87%낙선
5최주열(崔柱烈)6357위
1.52%낙선
6한근조(韓根祖)20,4341위
48.99%당선
7이창규(李唱珪)8266위
1.98%낙선
8김재호(金載浩)1,9724위
4.72%낙선
선거인 수209,925투표율
74.5%
투표 수81,303
무효표 수

[1] 제헌 총선 ~ 3대 총선 까지는 중구 선거구가 제1,2선거구 역할을 맡고 있었다.[2] 선출 당시[3] 1949년 주미대사 부임으로 사퇴함.[4] 장면 의원의 주미대사 부임으로 인한 사퇴로 치러진 1949년 재보궐선거에서 당선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