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자이언트(드라마)

덤프버전 :



파일:자이언트 로고.png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4><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55595c><tablecolor=#1d1d1d><bgcolor=#008dd0> 10시 드라마
(2006~2010)
||
||<width=25%> 파일:연애시대 SBS 로고.png
(2006) ||<width=25%> 파일:101번째 프러포즈 SBS 로고.png
(2006) ||<width=25%> 파일:천국보다 낯선 로고.png
(2006) ||<width=25%> 파일:독신천하 로고.png
(2006) ||
|| 파일:눈꽃 SBS 로고.png
(2006~2007) || 파일:사랑하는 사람아 SBS 로고.png
(2007) || 파일:내 남자의 여자 로고.png
(2007) || 파일:강남엄마 따라잡기 로고.png
(2007) ||
|| 파일:왕과 나 SBS 로고.png
(2007~2008) || 파일:사랑해 SBS 로고.png
(2008) || 파일:식객 SBS 로고.png
(2008) || 파일:타짜 SBS 로고.png
(2008) ||
|| 파일:떼루아 SBS 로고.png
(2008~2009) || 파일:홍소장의 가을 로고.png

(2009) || 파일:은사시나무 로고.png

(2009) || 파일:드라마 자명고 로고.png
(2009) ||
|| 파일:드림 SBS 로고.png
(2009) || 파일:제중원 SBS 로고.png
(2010) || 파일:자이언트 로고.png
(2010) || 파일:아테나 전쟁의 여신 로고.png
(2010~2011) ||
||<-4><bgcolor=#008dd0> 9시 드라마
(2009~2011)
||
|| 파일:천사의 유혹 로고.png
(2009~2010) || 파일:별을 따다줘 로고.png
(2010) || 파일:오! 마이 레이디 SBS 로고.png
(2010) || 파일:커피하우스 SBS 로고.png
(2010) ||
|| 파일:나는 전설이다 로고.png
(2010) || 파일:닥터 챔프 로고.png
(2010) || 파일:괜찮아 아빠딸 로고.png
(2010~2011) || 파일:파라다이스 목장 로고.png
(2011) ||
||<-4> ||




1990년대 이후 한국 TV 드라마 시청률 TOP 100
[ 펼치기 · 접기 ]

1위
2위
3위
4위
첫사랑사랑이 뭐길래모래시계허준
5위
6위
7위
8위
젊은이의 양지그대 그리고 나아들과 딸태조 왕건
9위
10위
11위
12위
여명의 눈동자대장금파리의 연인보고 또 보고
13위
14위
15위
16위
진실질투바람은 불어도목욕탕집 남자들
17위
19위
20위
21위
국희
청춘의 덫
토마토M폭풍의 계절
22위
23위
24위
25위
주몽야인시대엄마의 바다제빵왕 김탁구
26위
27위
28위
29위
내 이름은 김삼순야망의 전설여인천하아들의 여자
30위
31위
32위
33위
용의 눈물하나뿐인 내편[통합시청률]별은 내 가슴에넝쿨째 굴러온 당신
34위
35위
37위
39위
야망서울의 달
정 때문에
마지막 승부
솔약국집 아들들
내 딸 서영이
40위
42위
43위
44위
왕가네 식구들
이브의 모든 것
댁의 남편은 어떠십니까신데렐라인어 아가씨
45위
46위
47위
49위
올인황금빛 내 인생사랑할 때까지
찬란한 유산
소문난 칠공주
장밋빛 인생
51위
52위
53위
54위
파일럿딸부잣집마지막 전쟁애정의 조건
55위
56위
57위
59위
미스터Q사랑을 그대 품안에선덕여왕
하늘이시여
웃어라 동해야
60위
61위
62위
63위
겨울새미우나 고우나왕과 비장미와 콩나물
64위
65위
66위
67위
수상한 삼형제너는 내 운명천국의 계단신고합니다
68위
70위
71위
72위
가족끼리 왜 이래
사랑과 성공
이 여자가 사는 법장희빈엄마가 뿔났다
73위
74위
77위
79위
코리아게이트가을동화
예감
해를 품은 달
그 여자네 집
전원일기
가을 여자
80위
81위
83위
84위
엄마야 누나야약속
좋은걸 어떡해
명랑소녀 성공기꿈의 궁전
85위
86위
87위
89위
사랑해 당신을산다는 것은발리에서 생긴 일
해피투게더
풀하우스
90위
93위
94위
95위
굳세어라 금순아
억새 바람
자이언트
모래 위의 욕망종합병원제3공화국
전설의 고향 1996
97위
98위
99위
100위
날마다 행복해우리들의 천국일출봉
[각주]
[각주]

[통합시청률] 기준 50위



SBS 창사 20주년 대하 드라마
자이언트 (2010)
GIANT
파일:자이언트.jpg
시청 등급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장르드라마, 복수, 가족, 오피스, 정치, 경제, 시대극, 피카레스크
방송 시간월요일, 화요일 22:00[1]
방송 기간2010년 5월 10일 ~ 2010년 12월 7일
방송 횟수60부작[2]
제작JS픽쳐스[3]
채널SBS


연출유인식, 이창민
극본장영철, 정경순[4]
프로듀서이명우
음악김준석
출연이범수, 박진희, 박상민, 황정음, 주상욱, 이덕화, 정보석, 김서형
타이틀곡
오프닝
'Introduction Of '자이언트' ' - 김준석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엔딩
'Epilogue Of '자이언트' ' - 김준석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시놉시스
5. 방영 목록 및 시청률
6. 인기
9. 해외 방영
10. 수상
11. 미디어 믹스
11.1. 리메이크 드라마
12. 기타
12.1. 드라마 관련
12.2. 캐스팅 관련
12.2.1. 중복 캐스팅
12.3.1. 배역/배우의 별명
12.3.2. 드립
13. 외부 링크



1. 개요[편집]


강남, 한강의 남쪽. 실개천이 흐르고 송아지 울음소리가 울려퍼지던 이 강남 땅에서 전 세계에서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개발의 서막이 시작됐다. 불과 40년만에 강남의 땅값은 수십만배나 올랐다. 이 황금의 땅을 둘러싼 싸움은 그 어떠한 전쟁보다도 비정하고 처절했다.

- 자이언트 1화에서 이범수(이강모 역)의 오프닝 내레이션


2010년에 방영한 SBS 월화 드라마, 창사 20주년 대하 드라마. 197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고속 성장 시대의 서울 강남 개발사를 다룬 드라마이다. 어느 정치군인야망에 의해 한 집안이 풍비박산 나며 어린 형제가 뿔뿔이 흩어졌고 훗날 그 아이들 중 한 명이 세계적인 건설회사를 세우면서 동시에 원수의 치부를 드러내어 복수하는 내용이다.

이 드라마의 시간적 배경은 1969년부터 2010년까지 총 41년[5]이며, 공간적 배경은 시간 순으로 부산직할시, 대전시[승격이전] 충청남도[6], 서울특별시 등이다.

극중 시대 배경은 1970년 ~ 1992년 까지이며, 마지막 배경은 2010년이다.[7]


2. 시놉시스[편집]


1970년대 경제 개발기에 도시가 팽창하는 과정에서 벌어지는 한 남자의 성공과 복수, 그리고 사랑을 담은 드라마



3. 등장인물[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자이언트(드라마)/등장인물#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설정[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자이언트(드라마)/설정#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방영 목록 및 시청률[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00px-%EC%9E%90%EC%9D%B4%EC%96%B8%ED%8A%B8_%EC%8B%9C%EC%B2%AD%EB%A5%A0_%EC%B6%94%EC%9D%B4_%EA%B7%B8%EB%9E%98%ED%94%84.jpg
  • 1회 시청률 9.6%, 최종회 시청률 40.2%, 평균 시청률 21.8%(TNmS 기준)
  • 파란색은 최저 시청률, 빨간색은 최고 시청률.
회차방영일자TNmSAGB닐슨
전국수도권전국수도권
1회2010년 5월 10일9.6%9.6%10.0%12.1%
2회2010년 5월 10일14.0%14.7%13.5%12.1%
3회2010년 5월 11일11.3%11.4%11.6%12.4%
4회2010년 5월 17일12.4%11.6%11.0%10.4%
5회2010년 5월 18일12.8%12.7%13.3%13.1%
6회2010년 5월 24일13.9%14.2%13.9%14.8%
7회2010년 5월 25일14.3%13.8%14.7%14.7%
8회2010년 5월 31일15.5%14.8%14.8%14.8%
9회2010년 6월 1일17.0%16.6%15.4%16.3%
10회2010년 6월 7일14.7%14.6%13.8%13.8%
11회2010년 6월 8일14.2%13.4%14.9%14.6%
12회2010년 6월 22일13.9%13.7%12.4%12.5%
13회2010년 6월 28일13.8%14.0%12.8%12.9%
14회2010년 6월 29일15.7%15.4%14.4%15.2%
15회2010년 7월 5일13.8%13.2%14.3%14.4%
16회2010년 7월 6일15.0%13.8%14.8%14.7%
17회2010년 7월 12일17.0%16.3%16.4%17.6%
18회2010년 7월 13일16.8%15.6%18.2%18.4%
19회2010년 7월 19일16.4%15.7%16.4%16.6%
20회2010년 7월 20일17.0%15.9%18.9%19.6%
21회2010년 7월 26일15.9%14.8%17.4%18.4%
22회2010년 7월 27일17.3%16.0%19.1%20.7%
23회2010년 8월 2일18.2%17.2%19.2%20.2%
24회2010년 8월 3일20.1%18.7%20.7%20.8%
25회2010년 8월 9일21.6%21.0%21.4%22.2%
26회2010년 8월 10일22.7%22.0%22.9%23.7%
27회2010년 8월 16일22.8%22.7%22.4%22.2%
28회2010년 8월 17일24.0%23.8%24.9%25.3%
29회2010년 8월 23일22.3%21.4%22.4%23.4%
30회2010년 8월 24일21.6%21.1%21.0%21.1%
31회2010년 8월 30일22.3%21.6%20.9%21.4%
32회2010년 8월 31일23.1%22.2%22.2%22.8%
33회2010년 9월 6일23.7%22.9%22.6%23.1%
34회2010년 9월 7일24.4%23.6%24.2%23.9%
35회2010년 9월 13일23.4%22.1%23.6%23.8%
36회2010년 9월 14일24.8%23.3%24.2%24.5%
37회2010년 9월 20일21.5%20.5%20.6%19.9%
38회2010년 9월 21일17.7%16.7%17.6%17.6%
39회2010년 9월 27일22.7%22.0%22.3%22.1%
40회2010년 9월 28일24.9%24.4%23.1%23.0%
41회2010년 10월 4일21.7%21.1%22.5%22.3%
42회2010년 10월 5일22.0%21.1%24.7%25.1%
43회2010년 10월 11일27.4%27.2%27.9%28.3%
44회2010년 10월 12일23.9%23.5%24.0%23.9%
45회2010년 10월 18일29.0%29.5%28.9%30.4%
46회2010년 10월 19일28.4%28.4%28.5%28.8%
47회2010년 10월 25일29.0%29.1%28.1%29.3%
48회2010년 10월 26일29.8%30.0%29.2%30.9%
49회2010년 11월 1일29.2%29.5%28.0%28.7%
50회2010년 11월 2일29.1%29.1%29.8%30.2%
51회2010년 11월 8일30.5%30.4%29.5%30.3%
52회2010년 11월 9일29.8%29.5%29.7%30.0%
53회2010년 11월 15일30.8%31.2%29.2%29.3%
54회2010년 11월 16일30.1%29.9%29.7%29.8%
55회2010년 11월 22일31.4%31.8%30.7%30.2%
56회2010년 11월 23일29.0%29.2%29.1%29.1%
57회2010년 11월 29일31.9%31.7%31.4%32.3%
58회2010년 11월 30일32.6%32.6%32.7%32.8%
59회2010년 12월 6일33.4%33.2%32.7%33.2%
60회2010년 12월 7일40.1%40.1%38.2%38.6%
평균 시청률21.9%21.5%21.7%22.4%

  • 초기에는 허준에서 시작된 MBC의 주력 월화 사극의 명맥을 이어가는 동이에 밀려 부진했고, 훌륭한 연기력을 보이던 아역들이 성인배역으로 교체되면서 시청률이 더욱 떨어질 것이라는 예상이 있었지만, 의외로 스피디한 전개와, 다양한 인간 군상들이 등장해서 펼치는 이야기의 개연성이 훌륭하게 맞아 떨어지면서 시청률에서 큰 상승을 보였고, 결국은 근소한 차로 동이를 조금씩 밀어내기 시작. 2010년 8월 기준으로 복수의 서막이 오르기 시작했으며 본격적인 줄거리가 전개되었다.

  • 위에도 서술했지만, 방영 전부터 드라마 자체에 대한 논란도 있었고, 초반에는 2달 먼저 시작한 동이에 시청률 경쟁에서 밀렸다.[8] 거기에 11회 이후 남아공 월드컵 중계 때문에[9] 결방도 하는 등 여러가지 악재가 있었다.

  • 이 작품이 그냥 작품도 아니고 창사특집 20주년으로 제작한 건데 생각보다 초반 시청률이 저조하자 SBS는 2010년 추석 연휴 때 1회부터 36회분을 편집해 총 6부로 편성한 'TV무비 자이언트'를 제작하기도 했다.

  • 경쟁작인 동이가 종영하자[10] 시청률이 4~5% 정도 오르면서 (45회부터) 본격적으로 월화 드라마 시청률 1위를 기록했다.

  • SBS에서 시청률 40%를 돌파한 마지막 드라마다. 자이언트 이후에는 SBS에서 30%를 넘는 주중 드라마도 없었다가, 펜트하우스가 시즌1 마지막회에서 수도권 시청률 30.5%를 기록하면서 약 11년만에 30%를 넘는 드라마가 나왔다.[11]



6. 인기[편집]


이범수(이강모 역), 박진희(황정연 역), 박상민(이성모 역), 황정음(이미주 역), 주상욱(조민우 역), 이덕화(황태섭 역), 정보석(조필연 역), 김서형(유경옥 역) 등 연기력이 훌륭한 배우들이 출연했다. 아역도 네임밸류가 화려한데, 여진구(이강모의 아역), 남지현(황정연의 아역), 김수현(이성모의 아역), 노영학(조민우의 아역)의 어린 시절의 연기력을 감상할 수 있다. 이례적으로 역대급 악역으로 회자되는, 극중 최종 보스조필연이 팬들의 사랑을 받기도 했다. 그 때문에 정보석이 그 해 SBS 연기대상 대상 후보로까지 거론되었으나 결국 무산되어서 뒷말이 무성하게 나오기도 했다.

동시간대 방영한 경쟁 드라마인 MBC <동이>나 방영 초반에 2010 남아공 월드컵 단독 중계와 겹치면서 화제성에서 밀렸으나, 후반부로 갈수록 배우들의 출중한 연기력과 탄탄한 작품성에 힘 입어서 2010년 최고 인기 드라마로 올라섰다. 또한 마지막화 40.1%라는 최고 시청률을 찍고 유종의 미를 거두었다.


7. 탐구[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자이언트(드라마)/재현오류#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아역 배우들은 8회 초후반까지 나왔다. 어린 강모(여진구)와 어린 정연(남지현)이 영화를 보고 나오다 시위가 터진다. 이들이 본 영화는 구봉서, 서영춘 주연의 '당나귀 무법자'(1970.10.8)이다.#극장 간판에는 '청춘대작전'으로 전혀 다른 명칭이 나온다.

  • 강모와 미주와 공식적으로 재회하는 장면에서 강모가 날짜를 찾기 위해 1979년 6월 30일자 신문을 보게 되는데 신문에 실린 내용처럼 실제로 당일 한국 대통령 박정희와 미국 대통령 지미 카터의 한미정상회담이 열렸다. 고증에 세세한 신경을 쓴 듯하다.


8. 평가[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자이언트(드라마)/평가#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해외 방영[편집]


2012년 1월 12일부터 일본 후지BS1에서 방영했다. 성우진은 다음과 같다.

  • 이강모 - 코니시 카츠유키[12]
  • 황정연 - 박로미
  • 이성모 - 사토 타쿠야(2번항목)
  • 이미주 - 히라노 아야
  • 조민우 - 유사 코지
  • 조필연 - 나가타 마사야스[13]
  • 황태섭 - 마치다 마사노리

한편, 15년동안 한국 드라마를 1만시간(500여편) 시청한 일본인 남성 후지와키 구니오(藤脇邦夫)가[14] 같은 방송사에서 방영된 모래시계와 자이언트를 최고의 한국 드라마로 꼽기도 했다. 한국 드라마 1만시간 시청한 日 남자.. 모래시계-자이언트가 최고의 작품


10. 수상[편집]


  • 1970~80년대 강남 개발을 다룬 드라마를 중 가장 큰 인기를 누렸으며 2010년 최고의 우수 작품상을 받았다.

  • 한편, 이 작품은 2011년 12월 열린 제24회 한국방송작가상 드라마 부문(2010년 중후반기부터의 내용 위주) 최종 후보에 올랐으나 독창적 작품세계 구현, 우리 사회에 건강한 영향력을 끼치고 방송작가의 자긍심을 높인 부분에서 미흡하다는 이유로 탈락했다.[15]


11. 미디어 믹스[편집]



11.1. 리메이크 드라마[편집]


파일:3823-01.jpg
https://youtu.be/gu8g75KP8oY
2019년중국에서 리메이크되었다. 제목은 '축몽정연(築夢情緣)'으로, 곽건화양미가 각각 주연 이강모황정연에 대응되는 역을 맡았다. 1920년대 중국 남부 상해광동 지역을 배경으로 원작과 같이 개발과 세 남매의 이야기를 다룬다. 소품과 세트, 영상미가 화려하면서도 조화로워 호평을 받았지만, 정작 플롯에서는 중국의 역사에 최대한 맞추기 위해 원작 후반부의 비자금 장부 공작 스토리가 빠져 이야기가 꽤 느슨한 편이다. 결말 부분도 조필연 역에 대응하는 역이 법으로만 심판받고 이성모 역이 죽지 않는 등 원작의 엔딩과는 거리가 있어 보인다.


12. 기타[편집]



12.1. 드라마 관련[편집]


  • 1979년 10.26사태, 1980년 5.18 1986년 아시안게임, 1987년 6월 항쟁등이 알게 모르게 드라마와 녹아들었다.

  • 2010년 11월 15일 방영분에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이 나왔다. 서류에 자세히 보면 '박종철' 이름이 언급되어 있다. 게다가 후반부에 천주교 측에 자료를 넘기면서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까지 언급되었고, 그 다음화 극중 신문기사의 제목이 "탁 치니 억하고 죽었다!"였다.[16]

  • 야인시대 심영 배역으로 유명한 김영인 씨도 조연으로 등장하여 화제가 되기도 했다.[17]

  • 결말을 2회 남겨두고 정보석이 결말에 대한 떡밥을 던졌다. #

  • 다음날 나온 기사에 따르면 원래 반전은 @@@의 죽음이었다.란다. 해피 엔딩을 원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지금의 결말로 바뀐 것이라고 관계자가 기사에서 설명하고 있다.[18]


12.2. 캐스팅 관련[편집]


  • 대본을 집필한 장영철 작가의 전작이 드라마 대조영이기 때문인지 은근히 대조영에 등장했던 배우들이 많이 출연한 드라마이기도 하다. 당장 거론되는 인물만 해도 정보석, 이덕화, 임혁, 김정현, 김규철, 김학철[19], 윤용현 등등.

  •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에 나왔던 재연 배우들이 자이언트에서 일회성이지만 얼굴을 비췄다. 37화에서 재연배우 김민진이 신체포기각서 문제로 황정연에게 상담받는 역을 맡았고, 38화에서는 예전 서프라이즈에서 나왔던 재연배우 한 명이 한강건설이 맡은 수서 B지구 공사의 하청업자로 나왔고, 53화에서 역시 서프라이즈에 출연했었던 재연 배우 최윤준이 한강건설 회사 건물 경비원으로 분했다. 또한 39화에서는 외국인 재연배우 한 명이 보떼 보일러 관계자로 나왔다.

  • 이명박 정부와 독재정권, 군사정권을 옹호하는 형태로 극이 진행될 거라면서 모티브로 추정한 인물만 보고 색안경을 낀 사람들의 혹독한 비판을 받았으며, 이런 루머로 인해 배우 섭외도 7순위, 8순위로 염두에 두던 배우들에게까지 제의가 왔을 만큼 어려움을 겪었다고 한다. 당시 이강모 역으로 캐스팅이 유력했던 김명민의 출연여부도 큰 이슈가 된 것도 이러한 연유였다.


12.2.1. 중복 캐스팅[편집]


대조영

왼쪽이 자이언트, 오른쪽이 대조영에서의 배역이다.
장영철 작가 사단

  • 이덕화 - 황태섭, 설인귀
  • 임혁 - 백파, 대중상
  • 정보석 - 조필연, 이해고
  • 김규철 - 노갑수, 신홍
  • 김학철 - 오병탁, 흑수돌
  • 김정현 - 황정식, 미모사
  • 윤용현 - 고재춘, 계필사문
  • 장순국 - 주영국, 고돌발
  • 이계영 - 광명건설 천수만 회장, 이기우(고구려 장수)
  • 서영탁 - 건대협 백회장, 이맹(당나라 대신)
  • 한경선[20] - 시덕엄마, 초린의 시녀
  • 황택하 - 유찬성, 모개

이하는 단역.
  • 우봉식[21] - 유경옥 부하, 팔보
  • 박유승 - 한명석의 비서, 이문의 부하
  • 김하림 - 만보건설 주주, 안시성 주민
  • 정동규 - 조필연의 철거민 폭행사건 담당 형사, 방계(고구려 유민촌 촌장)
  • 신원균 - 방송국PD징계하는 방송국장(40회 중반 잠시 등장), 무염(대중상의 부하)
  • 한춘일 - 학교 경비원, 거란 내시
  • 한태일 - 유언장 감정사, 오골성주

야인시대

왼쪽이 자이언트, 오른쪽이 야인시대에서의 배역이다.
  • 김학철 - 오병탁, 조병옥
  • 윤용현 - 고재춘, 신영균
  • 이효정 - 한명석, 유진산
  • 김영인 - 인쇄소 박기사, 심영
  • 정명준[A] - 삼청교육대 취재 기자, 김영삼
  • 김영선[A] - 반도생명 사장, 신성모
  • 이종구 - 건대협 박회장, 전진한
  • 이승형 - 문성중, 채원기
  • 이경영 - 오세광, 장도영
  • 이계영 - 천수만, 김희갑/조병옥 담당 의사
  • 라재웅 - 만보건설 직원, 오상사
  • 유형관 - 염재수, 한용운
  • 김하림 - 만보건설 주주 박기동, 고깃집 아저씨
  • 서영탁 - 건대협 백회장, 노덕술
  • 이성호 - 박운기 의원, 조선총독부 경무국장/사사오입 개헌 서울대 수학과 교수
  • 이용진[A] - 삼청교육대 근로봉사대 연대장, 중앙정보부 이 반장
  • 최윤준[A] - 한강건설 본사 경비원, 이천경찰서 형사
  • 김유철 - 이미주의 매니저, 고사이마찌
  • 최민서 - 이강모 취조형사, 젊은 홍만길

천추태후

  • 이은정 - 지나, 독연
  • 윤용현 - 고재춘, 야율적노
  • 이덕화 - 황태섭, 강감찬
  • 임혁 - 백파, 서희
  • 유효린 - 지연수, 소찰리

샐러리맨 초한지
-
  • 이범수 - 이강모, 유방
  • 이덕화 - 황태섭, 진시황
  • 김서형 - 유경옥, 모가비
  • 이기영 - 민홍기, 박범증
  • 유형관 - 염재수, 소하
  • 윤용현 - 고재춘, 윤번쾌
  • 송경철 - 남영출, 팽월
  • 김성오 - 차부철, 박문수
  • 정보석 - 조필연, 조필연

지붕뚫고 하이킥
-
  • 정보석 - 조필연, 정보석
  • 황정음 - 이미주, 황정음
  • 정규수 - 이대수, 분식집 주인

태종 이방원
-
  • 주상욱 - 조민우, 태종 이방원
  • 박진희 - 황정연, 원경왕후 민씨
  • 이경영 - 오세광, 심효생


12.3. SBS 빽드 연속 무료 스트리밍 [편집]


2022년 9월 1일 첫 스트리밍을 개시하여 2023년 3월 3일부터 4일 간 <샐러리맨 초한지>와 합동 스밍했고, 2024년 4월 8일 10시부터 3차 스트리밍을 개시했으나 초반부터 화질 오류로 5분 늦춰질 듯하다가 30분으로 또 조정. 출연진 중 KBS 대하드라마 <대조영>에 나온 배우들이 많다 보니 이와 연관된 드립이나 별명이 나오기도 한다.


12.3.1. 배역/배우의 별명[편집]





12.3.2. 드립[편집]


  • 대조영 관련 드립: 위 <대조영> 출연자들이 나온 터라 만두, 토산 등의 요소와 엮인다.
  • 이혼 드립: 2024년 4월 SBS에서 유튜브 스트리밍을 해줄 때 주인공 3남매 역을 맡은 이범수, 박상민이 과거 이혼을 했었고, 황정음이 이혼위기인 상황이라서 채팅창에 이혼과 드라마 제목인 자이언트를 합쳐 자이혼트라는 말이 올라왔다.[22]


13. 외부 링크[편집]



13.1. 커뮤니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자이언트 갤러리#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기본 65분, 일부 회당 59분 ~ 73분. 총 3953분이며, 시간으로 환산하면 65시간 53분.[2] 원래 50부작으로 기획되었으나 10회 연장했다.[3] 애초 올리브나인이었으나 재정 문제로 변경됐다.[4] 애초 정형수 작가로 낙점되었으나 캐스팅 문제로 마찰을 겪어 연출자 이명우 PD와 동반 하차했으며 유인식, 이창민 PD가 공동 연출을 맡았다.[5] 2010년은 극 초반부와 종반부에만 등장하여, 실질적인 시간적 배경은 1970년부터 1992년까지이다.[승격이전] 광역행정구역으로 승격되기 이전인 1970년을 배경으로 한다.[6] 이강모가 본격적으로 복수를 시작하는 한강건설이 충청남도에서 설립되었다.[7] 드라마는 크게 여섯 시기로 나뉘며, 시기마다 등장인물들의 모습도 다르다. 연도별로 1970년, 1971년, 1979년, 1982년, 1986년, 1987년, 1992년, 2010년. 강남의 개발사를 중심으로 남매들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8] 자이언트 초반부가 동이의 중반부였는데, 시청률이 1.5배에서 2배 차이였다. 동이가 끝날 무렵에는 거의 비슷해진다.[9] SBS 독점 중계였다.[10] 10월 12일 종영했다. 자이언트는 이때 44회.[11] 다만, 이건 닐슨 기준이고 TNmS 기준으로는 야왕, 별에서 온 그대, 피고인 등 몇편 더 있다.[12] 이 작품을 기점으로 코니시 카츠유키는 이범수의 전담 성우가 되었다. 원 이범수 전담 성우는 모리쿠보 쇼타로였다.[13] 정보석 전담 성우다.[14] 출판업을 했는데 최근 ‘정년 후의 한국 드라마’라는 책을 펴냈다고 한다.[15] 해당 드라마 외에도 SBS 시크릿 가든, KBS 2TV 결혼해주세요, MBC 반짝반짝 빛나는이 최종 후보에 올랐지만 <자이언트>와 똑같은 이유로 탈락했고 결국 제 24회 한국방송작가상 드라마 부문은 수상작이 없었다.[16] 여담으로 이강모 아역배우인 여진구가 영화 1987에서 박종철 역을 맡았다.[17] 신문편집장 역[18] 바뀌기 전 결말의 흔적은 OST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 메인 OST인 '에델바이스'의 가사에는 "되돌아 가고 싶다 다시 살 수 있다면 사랑하는 사람과 평생 소박하게 나 살고파", "추억 속에 묻어야 했던 사랑이 보고싶다" 등 자신을 행적을 후회하며, 사랑을 그리워하는 가사들이 들어가있다.[19] 사실 김학철은 대조영 말고도 드라마 인간시장의 리메이크인 2004 인간시장에 출연하기도 했다. 이 작품의 작가도 대조영의 작가와 동일.[20] 2015년 7월 4일 드라마 촬영 이후 귀가하던 도중에 몸에 이상을 느껴 병원을 찾았고 뇌출혈 진단을 받았다. 별도의 수술없이 회복하던 중에 갑자기 의식불명 상태가 되어 사망했다. 요정 컴미에서 옥경이 엄마로 출연한 배우다.[21] 2014년 3월 9일 사망했다.[A] A B C D 한 회만 출연한 단역이다.[22] 그 전에 스트리밍을 해줄때 까지는 남주인공 2명과 관련된 사생활은 아무말 없었으나, 2024년 3월 황정음의 결혼생활에 큰 잡음이 생기면서 이런 드립이 생긴것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3 00:43:32에 나무위키 자이언트(드라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