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자백보강법칙

덤프버전 :

||


1. 개요
2. 의의
3. 보강증거의 의미
4. 죄수(罪數)와 보강증거
5. 자백보강법칙을 위배한 재판
6. 여담


헌법 제12조 ⑦피고인의 자백이 고문ㆍ폭행ㆍ협박ㆍ구속의 부당한 장기화 또는 기망 기타의 방법에 의하여 자의로 진술된 것이 아니라고 인정될 때 또는 정식재판에 있어서 피고인의 자백이 그에게 불리한 유일한 증거일 때에는 이를 유죄의 증거로 삼거나 이를 이유로 처벌할 수 없다.
형사소송법 제310조(불이익한 자백의 증거능력) 피고인의 자백이 그 피고인에게 불이익한 유일의 증거인 때에는 이를 유죄의 증거로 하지 못한다.


1. 개요[편집]


'자백보강법칙' 혹은 '자백의 보강법칙'은 형사소송법 제 310조에 규정된 자백에 대한 법칙이다. 자백이 유일한 증거일 경우 법관이 유죄의 심증을 얻었다 할지라도 유죄로 인정할 수 없다는 뜻이다.


2. 의의[편집]


제309조의 자백배제법칙과 함께 자백증거의 사용을 제한한다. 또한 명시적으로 자유심증주의에 대한 예외를 규정한 것이다. 이는 허위자백으로 의한 잘못된 재판을 방지하고, 피고인의 인권침해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다.


3. 보강증거의 의미[편집]


예컨대 검사가 '피고인의 자백+A증거'를 증거로 거시한 경우 여기에서 'A증거'가 피고인의 자백과 성질상 같은 것이라면 자백보강법칙에 의해 무죄를 선고해야 될 것이고, 'A증거'가 독립한 증거라면 피고인에게 유죄를 선고해야 할 것이다.





4. 죄수(罪數)와 보강증거[편집]


죄수와 자백이 결합된 문제이다. 실체적 경합의 경우 개개의 범죄에 대해 보강증거가 필요하다. 상상적 경합의 경우 한 죄에 대한 보강증거가 다른 죄에 대한 보강증거가 될 것이다. 포괄일죄의 경우 개별행위가 독립된 구성요건을 가진 상습범의 경우는 개개의 범행 행위마다 보강증거가 필요하지만, 영업범에서는 그러하지 않다.(95도1794)


5. 자백보강법칙을 위배한 재판[편집]


자백보강법칙을 위배한 재판은 그 자체로 항소상고가 가능하다. 하지만 무죄의 증거가 새로 발견된 이유가 아니기에 재심사유가 되지는 않는다.


6. 여담[편집]


2019년 탈북 선원 강제 북송 사건에서 잠시 이슈가 되었다. 북송 반대론자들이 북송 반대의 논거로 들고 나왔으나 1968년 이래로 대한민국 대법원은 서로가 서로간의 자백이면 보강증거가 된다고 판시하고 있다. 북송 비판론/반대론의 입장에 선다면 '자백으로만은 유죄가 불가능하니 북송하면 안된다'가 아니라 '대한민국 대법원에 의해 유죄판결을 받게 해야 한다'는 식으로 주장하는 것이 보다 설득력 있는 논증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08:02:52에 나무위키 자백보강법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