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원자량

덤프버전 :

분류

1. 개요
3. 필요성
4. 평균 원자량
5. 표준 원자량
5.1. 원소별 표준 원자량[1]



1. 개요[편집]



Relative atomic mass / Relative atomic weight

원자 질량 상수 [math(m_{\rm u} = 1{\rm\,Da} = 1.660\,539\,066\,60(50)\times10^{-27}{\rm\,kg})][2]를 기준으로 삼은 각종 원자 질량의 상댓값. [math(m_{\rm u})]는 질량수가 [math(12)]인 탄소 원자 [math(\rm^{12}C)]의 질량의 [math(\dfrac1{12})]과 같으며[3] [math(\rm^{12}C)]의 질량을 [math(12)]라 놓았을 때의 상대량으로 이해해도 좋다. 원소 [math(\rm X)]의 원자량은 기호 [math(A_{\rm r})]을 이용해서 [math(A_{\rm r}(\rm X))]와 같이 나타낸다. 표준 원자량의 경우 [math(A_{\rm r,\,standard}(\rm X))]로 나타낸다.


2. 차원[편집]


상대적인 값이기 때문에 차원이 없고 단위도 없다.

그러나 실제로 화학량론에서 계산을 할 때에는 원자량에 [math(\rm g/mol)]이라는 단위를 붙여서 쓰는데, 엄밀하게는 몰 질량 상수 [math(M_{\rm u} = 0.999\,999\,999\,65(30)\,{\rm g/mol})]을 원자량에 곱해서[4] 물리량 계산이 용이하도록 몰 질량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사실상 물질량질량으로부터 구하기 때문인데, [math(\rm g)] 단위가 붙어있는 질량을 [math(\rm mol)] 단위가 붙은 물질량으로 바꾸기 위해서 단위가 없는 원자량, 분자량 등을 이용하기보다 몰 질량을 이용하는 것이 자연스럽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론 어떤 물질의 질량을 [math(m)](단위는 [math(\rm g)]), 몰 질량을 [math(M)](단위는 [math(\rm g/mol)])이라고 할 때 물질량 [math(n)]은 다음과 같이 구하는데
[math(n = \dfrac mM)]
이때 만약 [math(M)] 대신 [math(A_{\rm r})]을 쓴다면 [math(m)]의 단위 [math(\rm g)]이 그대로 남기 때문에 차원도 맞지 않거니와 계산 후에 [math(\rm g)]을 [math(\rm mol)]로 바꿔주는 작업을 해야하기 때문에 부자연스럽다. [math(M = A_{\rm r}{\cdot}M_{\rm u})]이므로 원자량을 명시한 관계식으로 나타내면
[math(n = \dfrac m{A_{\rm r}{\cdot}M_{\rm u}})]
가 된다.

한편, [math(\rm mol)]을 단위로 하는 물질량 대신에 실제 질량 차원인 [math(\rm Da = 1.660\,539\,066\,60(50)\times10^{-27}\,{\rm kg})]을 쓰는 경우도 있는데, [math(M_{\rm u} = {\rm Da}{\cdot})][math(N_{\rm A})], 즉 [math(\rm1\,mol)]당 실제 질량을 나타낸 것이 [math(M_{\rm u})]이므로 [math(\rm Da)] 단위로 나타낸 수치와 [math(\rm g/mol)]로 나타낸 수치는 거의 같다고 보면 된다.

3. 필요성[편집]


[math(\rm^{12}C)] 원자 1개의 실제 질량 [math(m{\left(\rm{}^{12}C\right)})]는
[math(\begin{aligned}m{\left(\rm{}^{12}C\right)} &= 1.992\,646\,879\,92(60)\times10^{-23}\rm\,g \\ &= 19.926\,468\,799\,2(6\,0)\rm\,yg\end{aligned})]
으로 이와 같이 원자 1개의 실제 질량은 매우 작아서 다루기 어렵고[5] 사용하기에 불편하다. 따라서 [math(\rm^{12}C)]의 질량의 [math(\dfrac1{12})]을 기준으로 정하고, 이와 비교한 다른 원자의 상대적인 질량을 그 원자의 원자량으로 사용한다.


4. 평균 원자량[편집]


자연계에 존재하는 동위 원소의 존재 비율을 고려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낸 원자량이다. 동위원소를 분별해서 한 종류의 동위원소만이 존재하는 순물질을 실험에 쓰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원자량이라고 하면 평균 원자량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예를 들어 탄소의 경우 원자량이 [math(12)]인 [math(\rm^{12}C)]가 [math(98.94(10)\,\%)], 원자량이 [math(13.003\,354\,835\,336(252))]인 [math(\rm^{13}C)]가 [math(1.06(10)\,\%)] 존재하므로 [math(\rm C)]의 평균 원자량은 [math(12\times0.9894 + 13.003\,354\,835\,336\times0.0106 = 12.01)](유효숫자 4자리)[6]로 계산할 수 있다. 총 84종[7]의 원소에서 평균 원자량을 구할 수 있다. 나머지는 측정이 불가능하므로 가장 안정적인 동위 원소의 원자량을 적거나 질량수로 표기한다.


5. 표준 원자량[편집]


평균 원자량에 대한 표준값으로, IUPAC의 산하 위원회인 CIAAW에서 제정한다. 보통은 평균 원자량에 기반한 값을 표준 원자량으로 정하지만, 샘플에 따라 값이 차이가 있는 경우나 평균 원자량을 구할 수 없는 원소일 경우에는 표준 원자량을 범위로 나타내기도 한다. 일종의 약속이기 때문에 학계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는 값이다.


5.1. 원소별 표준 원자량[8][편집]



주기율표
[ 펼치기 · 접기 ]

범례

배경색: 원소 분류
알칼리 금속
||
밑줄: 자연계에 없는 인공 원소 혹은 극미량으로만 존재하는 원소로, 정확한 원자량을 측정하기 어려움.
글자색: 표준 상태(298 K(25 °C), 1기압)에서의 원소 상태, ● 고체 · ● 액체 · ● 기체



원자 번호기호원소명[math(A_{\rm r,\,standard})][9][10]비고[11]
1H수소[1.007 84, 1.008 11][m]
2He헬륨4.002 602(2)[g][r]
3Li리튬[6.938, 6.997][m]
4Be베릴륨9.012 1831(5)
5B붕소[10.806, 10.821][m]
6C탄소[12.0096, 12.0116]
7N질소[14.006 43, 14.007 28][m]
8O산소[15.999 03, 15.999 77][m]
9F플루오린18.998 403 163(6)
10Ne네온20.1797(6)[g][m]
11Na나트륨22.989 769 28(2)
12Mg마그네슘[24.304, 24.307]
13Al알루미늄26.981 5384(3)
14Si규소[28.084, 28.086]
15P30.973 761 998(5)
16S[32.059, 32.076]
17Cl염소[35.446, 35.457][m]
18Ar아르곤[39.792, 39.963]
19K칼륨39.0983(1)
20Ca칼슘40.078(4)[g]
21Sc스칸듐44.955 908(5)
22Ti티타늄47.867(1)
23V바나듐50.9415(1)
24Cr크로뮴51.9961(6)
25Mn망가니즈54.938 043(2)
26Fe55.845(2)
27Co코발트58.933 194(3)
28Ni니켈58.6934(4)[r]
29Cu구리63.546(3)[r]
30Zn아연65.38(2)[r]
31Ga갈륨69.723(1)
32Ge저마늄72.630(8)
33As비소74.921 595(6)
34Se셀레늄78.971(8)[r]
35Br브로민[79.901, 79.907]
36Kr크립톤83.798(2)[g][m]
37Rb루비듐85.4678(3)[g]
38Sr스트론튬87.62(1)[g][r]
39Y이트륨88.905 84(1)
40Zr지르코늄91.224(2)[g]
41Nb나이오븀92.906 37(1)
42Mo몰리브데넘95.95(1)[g]
43Tc테크네튬
44Ru루테늄101.07(2)[g]
45Rh로듐102.905 49(2)
46Pd팔라듐106.42(1)[g]
47Ag107.8682(2)[g]
48Cd카드뮴112.414(4)[g]
49In인듐114.818(1)
50Sn주석118.710(7)[g]
51Sb안티모니121.760(1)[g]
52Te텔루륨127.60(3)[g]
53I아이오딘126.904 47(3)
54Xe제논131.293(6)[g][m]
55Cs세슘132.905 451 96(6)
56Ba바륨137.327(7)
57La란타넘138.905 47(7)[g]
58Ce세륨140.116(1)[g]
59Pr프라세오디뮴140.907 66(1)
60Nd네오디뮴144.242(3)[g]
61Pm프로메튬
62Sm사마륨150.36(2)[g]
63Eu유로퓸151.964(1)[g]
64Gd가돌리늄157.25(3)[g]
65Tb터븀158.925 354(8)
66Dy디스프로슘162.500(1)[g]
67Ho홀뮴164.930 328(7)
68Er어븀167.259(3)[g]
69Tm툴륨168.934 218(6)
70Yb이터븀173.045(10)[g]
71Lu루테튬174.9668(1)[g]
72Hf하프늄178.486(6)[g]
73Ta탄탈럼180.947 88(2)
74W텅스텐183.84(1)
75Re레늄186.207(1)
76Os오스뮴190.23(3)[g]
77Ir이리듐192.217(2)
78Pt백금195.084(9)
79Au196.966 570(4)
80Hg수은200.592(3)
81Tl탈륨[204.382, 204.385]
82Pb[206.14, 207.94]
83Bi비스무트208.980 40(1)
84Po폴로늄
85At아스타틴
86Rn라돈
87Fr프랑슘
88Ra라듐
89Ac악티늄
90Th토륨232.0377(4)
91Pa프로트악티늄231.035 88(1)
92U우라늄238.028 91(3)[g][m]
93Np넵투늄
94Pu플루토늄
95Am아메리슘
96Cm퀴륨
97Bk버클륨
98Cf캘리포늄
99Es아인슈타이늄
100Fm페르뮴
101Md멘델레븀
102No노벨륨
103Lr로렌슘
104Rf러더포듐
105Db더브늄
106Sg시보귬
107Bh보륨
108Hs하슘
109Mt마이트너륨
110Ds다름슈타튬
111Rg뢴트게늄
112Cn코페르니슘
113Nh니호늄
114Fl플레로븀
115Mc모스코븀
116Lv리버모륨
117Ts테네신
118Og오가네손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11:00:15에 나무위키 원자량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CIAAW. Atomic weights of the elements 2020.[2] 괄호 안의 값은 그 숫자의 자리수만큼 끝값에서 나타나는 오차를 의미한다. 즉 [math(1.660\,539\,066\,60(50)\times10^{-27}{\rm\,kg} \\ = (1.660\,539\,066\,60\pm0.000\,000\,000\,50)\times10^{-27}{\rm\,kg})]이다.[3] 즉, [math(\rm^{12}C)]의 질량은 정확하게 [math(\rm12\,Da)]이다.[4] 수치를 보면 알 수 있듯이 [math(M_{\rm u} \fallingdotseq\rm1\,g/mol)]이기 때문에 사실상 [math(\rm g/mol)] 단위만 붙여주는 것과 같다.[5] 양성자, 중성자, 전자의 정지 질량이 알려져 있기는 하지만 질량-에너지 동등성에 의해 핵자 결합 에너지로 질량 일부가 손실되기 때문에 이들 상수를 이용해서 단순 양론적으로 계산 할 수는 없다.[6] CIAAW에서는 좀 더 정밀하게 [math([12.0096,\,12.0116])]로 그 범위를 제시한다.[7] 원자 번호 1~83번(단 43번과 61번 제외) + 90, 91, 92번.[8] CIAAW. Atomic weights of the elements 2020.[9] 오차가 큰 것은 범위([math([a,\,b])]) 나타냄. 괄호 안의 숫자는 맨 마지막 자리에서 그 수만큼 오차가 있음을 의미함. ex.) 헬륨의 표준 원자량 [math(4.006\,602(2) = 4.006\,602\pm0.000\,002)].[10] '—'로 나타낸 것은 자연계에 극미량으로만 존재하거나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원소로 정확한 원자량을 측정하기 어려움을 의미. 일반적으로 질량수로만 나타냄.[11] 각주 [g][r]에서 말하는 평균 물질(normal material)이란 다음 세 가지를 제외한 물질을 말한다.
(1) 고의적이거나 밝혀지지 않았거나 혹은 의도하지 않은 동위원소 개량의 영향을 받는 것. 대표적으로 원자로에 쓰이는 농축 연료봉 등.
(2) 외계 물질.
(3) 이례적인 동위원소 시료, 이를테면 가봉의 오클로(Oklo)에서 생산되는 천연 핵반응 산물 혹은 다른 독특한 현상에 의한 것 등.
[m] A B C D E F G H I J 밝혀지지 않았거나 의도하지 않은 동위원소 분별법의 영향으로 산업에서 이용되는 물질에서는 동위원소 구성이 다를 수 있음. 이들 산업 재료에 의해 표에 기재된 원자량에서 꽤 큰 오차가 나타날 수 있음.[g]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 \ ] 평균 물질의 한도를 벗어난 동위원소의 지질학적인 존재량과 구성이 알려져 있음. 이러한 물질에 포함된 원소의 원자량과 표에 기재된 것의 차이는 오차 범위보다 클 수 있음.[r] A B C D E F 지구상에 존재하는 평균 물질에 포함된 동위원소의 구성 범위가 넓어 정확한 표준원자량을 구하기 어려움. 표에 제시된 원자량 및 오차는 평균 물질에 적용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