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다비전

덤프버전 :




파일:MCULOGO WHITE.png
회색 배경: 일정 미공개
기울임체 : 예정된 작품

[ 영화 ]
[ 기타 ]

파일:abc백.png
시즌 1 · 2 · 3 · 4 · 5 · 6 · 7 시즌 1 · 2
파일:넷플릭스 로고 화이트.svg
시즌 1 · 2 · 3 시즌 1 · 2 · 3 시즌 1 · 2
시즌 1 · 2디펜더스퍼니셔
시즌 1 · 2
파일:hulu logo white.png
시즌 1 · 2 · 3
파일:프리폼백.png
클록 & 대거
시즌 1 · 2
단편 영상마블 원샷
컨설턴트 · 토르의 망치로 가던 길의 기묘한 사건 · 아이템 47
카터 요원 · 왕을 경배하라 · 팀 토르 · 팀 토르 2 · 팀 대릴
피터의 투 두 리스트
웹 시리즈WHiH 뉴스프런트
시즌 1 · 2
에이전트 오브 쉴드: 슬링샷
코믹스
타이인 코믹스
아이언맨: 아이 엠 아이언맨! · 아이언맨 2: 퍼블릭 아이덴티티 · 아이언맨 2: 에이전트 오브 쉴드 · 캡틴 아메리카: 퍼스트 벤저스 · 어벤져스 프렐류드: 퓨리의 대 주간 · 어벤져스: 블랙 위도우의 공격 · 아이언맨 2 어댑테이션 · 아이언맨 3 프렐류드 · 토르: 천둥의 신 어댑테이션 · 토르: 다크 월드 프렐류드 · 퍼스트 어벤져 어댑테이션 · 캡틴 아메리카: 윈터 솔져 프렐류드 ·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프리퀄 ·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프렐류드 · 어벤져스 ·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프렐류드: 셉터드 아일 · 앤트맨 서곡 · 앤트맨 - 스콧 랭: 삼류 사기꾼 · 제시카 존스 ·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 프렐류드 ·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 프렐류드 인피니트 코믹 · 닥터 스트레인지 프렐류드 · 닥터 스트레인지 프렐류드 인피니트 코믹 ·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 2 프렐류드 · 스파이더맨: 홈커밍 프렐류드 · 토르: 라그나로크 프렐류드 · 블랙 팬서 프렐류드 ·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프렐류드 · 앤트맨과 와스프 프렐류드 · 캡틴 마블 프렐류드 · 어벤져스: 엔드게임 프렐류드 ·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 프렐류드 · 블랙 위도우 프렐류드ㆍ이터널스: 500년 전쟁
테마파크




Disney+ 오리지널
완다비전 (2021)
WandaVision
파일:Wandavision 20.jpg
북미 포스터 ▼
파일:WandaVision FOR_ONLINE.jpg
장르슈퍼히어로, SF, 로맨스, 드라마, 가족, 미스터리
공개일파일:미국 국기.svg 2021년 1월 15일 ~ 2021년 3월 5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년 11월 12일
공개 회차9부작[1]
러닝 타임319분 (5시간 19분)
제작사마블 스튜디오
제작진제작케빈 파이기
루이스 데스포지토
빅토리아 알론소
맷 샤크먼
잭 셰이퍼[2]
연출맷 샤크먼
극본잭 셰이퍼
촬영제스 홀
편집진 베이커
노나 코다이
팀 로체
마이클 A. 웨버
음악크리스토프 벡 (오리지널 스코어)
크리스틴 앤더슨-로페즈 & 로버트 로페즈 (에피소드 주제가)[3]
미술마크 워싱턴
의상메이스 C. 루베오
출연엘리자베스 올슨
폴 베타니
캐서린 한
테요나 패리스
캣 데닝스
랜들 박
독점 스트리밍
Disney+

촬영 기간2019년 11월 10일 ~ 2020년 11월 13일
시청 등급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 전체 관람가 (1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 12세 이상 관람가 (2~9화)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TV-PG 아이콘.png (1~4화)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TV-14_icon.png (5~9화)
관련 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1. 예고편
2.2. 포스터
3. 시놉시스
4. 등장인물
4.1. 주요 인물
4.2. 조연 및 단역
4.3. 웨스트뷰 주민들
7. 에피소드 목록
10. 추측
11. 기타
12.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영웅 혹은 빌런

MCU의 첫 디즈니+ 오리지널 드라마이자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페이즈 4멀티버스 사가의 첫 번째 작품.

엔드게임 이후의 후일담을 다루는 페이즈4의 드라마들중 완다 막시모프의 이야기를 다룬다. 인피니티워와 엔드게임을 거친 이후의 완다에게 무슨일이 일어났을까? 를 답해주는 내용의 드라마이며, 당연히 완다가 주인공이다.

최초 방송은 2021년 1월 15일 한국 시간 오후 5시로 1, 2화를 동시 공개했다. 매주 금요일 같은 시각에 새 에피소드를 공개하였으며 3월 5일 종영하였다. 슈퍼히어로 장르물과 클래식 시트콤의 실험적 조합으로, 완다 막시모프비전이 교외 생활을 즐기던 중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님을 깨닫는 내용이다.

2021년 에미 시상식미니시리즈 부문 최고우수 작품상(Outstanding Limited/Anthology Series) 후보로 올랐으며, 현재 프라임타임 크리에이티브 아트 에미상까지 포함해 총 23개 부문에 후보로 지명되었다. 이는 미니시리즈 부문 최다 후보 지명이며, 마블 스튜디오는 완다비전으로 첫 에미상 노미네이션을 받게 되었다.


2. 공개 정보[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완다비전/공개 전 정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1. 예고편[편집]


슈퍼볼 예고편티저 예고편
메인 예고편미드시즌 예고편


2.2. 포스터[편집]


파일:WandaVision_New_Banner_2.webp
파일:WVBanner2pointO.jpg
메인 헤더

파일:WandaVision_Poster.webp
파일:WandaVision_Poster_3.webp
티저 포스터메인 포스터

파일:wanda-maximoff-wandavision-poster.jpg
파일:wandavision-disney-plus-vision.jpg
파일:Monica_Rambeau_Character_Poster_-_WandaVision.webp
파일:Agnes_Character_Poster_-_WandaVision.webp
파일:Darcy_Lewis_Character_Poster_-_WandaVision.webp
파일:Jimmy_Woo_Character_Poster_-_WandaVision.webp
캐릭터 포스터

파일:WandaVision_-_Wanda_Maximoff_Poster.webp
파일:WandaVision_New_Character_Poster_03.webp
파일:WandaVision_New_Character_Poster_02.webp
파일:WandaVision_New_Character_Poster_01.webp
스페셜 캐릭터 포스터

파일:WandaVision_Sitcom_Poster_01.webp
파일:WandaVision_Sitcom_Poster_02.webp
파일:Out_of_This_World_WV_Poster.webp
파일:WandaVision_Episode_5_Poster.webp
파일:A_Signal_With_Vision_WV_Poster.webp
파일:A_Signal_So_Clear_There_is_No_Compepitition_-_WV_Poster.webp
미드시즌 포스터


3. 시놉시스[편집]


이 모든 것이 꿈이 아니길. 단란한 가정을 꾸린 완다와 비전. 이제 행복할 일만 남았겠지?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에 클래식 시트콤을 접목한 《완다비전》. 아름다운 교외에서 알콩달콩 행복한 결혼 생활을 시작한 완다 막시모프(엘리자베스 올슨 분)와 비전(폴 베타니 분). 어느 순간부터 그들에게 미심쩍은 일들이 하나둘씩 생기는데. 연출은 맷 샤크먼, 극본은 잭 쉐퍼가 맡았다.



4. 등장인물[편집]



4.1. 주요 인물[편집]




4.2. 조연 및 단역[편집]


  • 로드리게스[4] - 셀레나 앤두즈 (양정화)
  • 몬티[5] - 앨런 헤크너 (황창영)
  • 에바노라 하크니스[6] - 케이트 포르베스 (박고운)
  • 스파키



4.3. 웨스트뷰 주민들[편집]


비전의 직장 상사.
  • 하트 부인 - 데브라 조 럽[7] (서지연)
  • 노음 - 아시프 알리[8] (서반석)
비전의 직장 동료. 비전을 걸어 다니는 컴퓨터라며 칭찬한다. 시대가 바뀌어도 같은 공간, 같은 자리의 직장 동료로 출연한다.
  • 도티 존스 - 에마 콜필드 포드 (서지연)
웨스트뷰에서 강한 영향력을 가진 여성. 필 존스의 부인이다. 아그네스의 언급으로는 컨트리클럽 멤버십, 파티, 심지어 자녀 입학까지 간섭할 수 있는 인물이다. 완다와 대화를 나누던 중 기묘한 경험을 한다. 한동안 출연이 없다가 화단의 장미를 돌보는 모습으로 잠깐 등장.
  • 필 존스 - 데이비드 렌겔 (황창영)
도티의 남편. 비전의 직장에서 아서 하트에게 찍혀 짤린다. 모금 공연 당시 피아노를 치는 모습을 보인다.
  • 베벌리(베브) - 졸레네 퍼디 (박고운)
도티 측근 여성. 행사 준비 위원회 의장을 맡았으나 도티에 의해 파면당한다.
  • 헐버트(허브) - 데이비드 페이턴 (홍범기)
완다와 비전의 옆집 이웃. 웨스트뷰 자율방범대원이다.
아그네스와 장난스럽게 인사하는 모습으로 등장한 집배원. 이후에 택배원으로 역할이 바뀌어 등장한다.
  • 스탠 넬슨 - 랜디 오겔스비 (장광)
완다의 임신을 진단한 의사.
  • 넬슨 부인 - 로즈 블랑코
스탠 넬슨의 부인.

[ 스포일러 주의 ]
  • 웨스트뷰 주민들의 이름은 일종의 시트콤 내 배역명으로, 실존하는 마을 주민들이 배우로서 역할을 맡고 있는 셈이었다. 행동과 성격 등도 어디까지나 배역의 특징일뿐 실제 본인과는 상관없다. 다소 재수없는 캐릭터인 도티도 실제론 아이 걱정에 여념없는 평범한 엄마라든가. 주민들의 실제 이름은 다음과 같다.
    • 아서 하트 → 토드 데이비스
    • 하트 부인 → 샤론 데이비스
    • 노음 → 아빌라쉬 탠던
    • 필 존스 → 해롤드 프록터
    • 도티 존스 → 세라 프록터[1]
    • 베벌리 → 이사벨 마츠에다
    • 헐버트 → 존 콜린스
    • 데니스 → 아모스 글릭
    • 스탠 넬슨 → 랜디 오겔스비
    • 넬슨 부인 → 로즈 블랑코
    • 피에트로 막시모프 → 랄프 보너

  • 할로윈때 완다의 힘으로 헥스 범위가 늘어나 소드 요원들까지 휘말린다.
    • 소드 요원들 → 서커스 단원들
    • 달시 루이스 → 탈출 전문 곡예사

노음은 비전이 능력을 이용해 잠깐 제정신으로 돌려놓았더니 그 시대엔 존재할 리가 없는 핸드폰을 찾거나 완다가 머릿속을 지배하고 있다며 도움을 요청하는 모습을 보인다. 허브는 제럴딘과 헥스의 정체를 아는 듯한 행동을 하는데, 이후 아그네스가 조종하여 한 행동으로 드러난다. 데니스가 쌍둥이에게 "걱정 마라. 너희 엄마가 멀리 못 가게 할 거다."라고 말한 것, 의사가 "이 마을은 빠져나가기 어렵다"고 말한 것도 모두 복선이었던 것.
[1] 세라 프록터는 마녀일 가능성이 있는데, 그녀는 실제 마녀 재판에서 살아남은 마녀중 하나다



5. 줄거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완다비전/줄거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사운드트랙[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완다비전/사운드트랙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에피소드 목록[편집]



회차제목공개일러닝 타임각본
감독
1Filmed Before a Live Studio Audience
스튜디오 사전 제작
2021. 1. 15.29분잭 셰이퍼
맷 샤크먼
2Don't Touch That Dial
다이얼 접근 금지
33분그레첸 엔더스
3Now in Color
이제는 컬러
2021. 1. 22.29분메건 맥도넬
4We Interrupt This Program
프로그램에 끼어들기
2021. 1. 29.32분메건 맥도넬
보박 에스파저니
5On a Very Special Episode...
유난히 특별한 사건
2021. 2. 5.38분피터 캐머런
매켄지 도르
6All-New Halloween Spooktacular!
으스스하게 화려한 할로윈
2021. 2. 12.34분피터 캐머런
척 헤이워드
7Breaking the Fourth Wall
무너지는 제 4의 벽
2021. 2. 19.34분캐머런 스콰이어즈
8Previously On
지난 이야기
2021. 2. 26.43분로라 도니
9The Series Finale
마지막 회
2021. 3. 5.46분잭 셰이퍼



8. 평가[편집]


















[ 펼치기 · 접기 ]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
20XX-XX-XX 기준
)













## 🔶🔶🔶 일단 위키 링크는 사이트 정식 명칭 MYmovies.it로 걸어둠
파일:마이무비스.it 로고.png
[[https://www.mymovies.it/film/2020/wandavision|
스코어
4.0 / 5.00
비평 별점
비평가 별점 / 5.00
관객 별점
4.0 / 5.00
]]
||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완다비전/평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9.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와의 연계[편집]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연계 작품
이전 연계작〈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 〈어벤져스: 엔드게임〉 / 〈캡틴 마블〉
이후 연계작〈닥터 스트레인지: 대혼돈의 멀티버스〉 / 〈더 마블스〉 / / 〈애거사: 코븐 오브 카오스> / 〈비전 퀘스트〉










10. 추측[편집]


드라마 진행 중 팬들 사이에서 돌았던 추측들이다.



11. 기타[편집]















음, 많은 것들이 자꾸 뒤바뀌고 망가졌어요. 이야기가 바뀌곤 했는데 무엇보다도 현실 세계 장면들이나 피날레가 그랬죠. 다른 것들도 해 보려는 시도가 많이 있었습니다. 한때는 10화로 기획하기도 했는데 몇 개를 접기도 했어요. 뭐 리듬을 더 낫게 하려고 그랬죠. 하지만 끊임없이 바뀌었고, 그러다가 촬영을 마쳤는데 애틀랜타에서 팬데믹이 일어났고 그때 후반 작업(post-production)을 하면서 더욱 많은 변화들을 겪었는데 아이디어들이 떠올랐고 그래서 결과적으로 거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어요.

맷 샤크먼 #












파일:wi5yez3ycxe61.png

12. 둘러보기[편집]


파일:MCULOGO WHITE.png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페이즈 4



역대 네뷸러상 시상식
파일:네뷸러상 로고.png
레이 브래드버리상
제56회
(2020년)
제57회
(2021년)
제58회
(2022년)
굿 플레이스
"Whenever You're Ready"
완다비전 시즌 1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

[1] 원래는 10부작으로 제작할 계획이었으나 9부작으로 진행하는 것이 이야기 전개에 더 적합하다고 제작진이 판단하여 변경되었다. #[2]올라프의 겨울왕국 어드벤처〉의 각본을 맡았고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작품 중 〈캡틴 마블〉의 각본과 〈블랙 위도우〉의 각본 원안을 집필하였다. 〈캡틴 마블〉의 경우 크레딧에 올라가지는 않았다. #[3] 부부가 함께 작곡 활동을 하며, 겨울왕국 시리즈와 〈코코〉 OST 작곡가로 유명하다. 로버트 로페즈는 최연소 및 최단기 EGOT 멤버로도 유명하다.[4] 소드의 요원[5] 소드의 요원[6] 아그네스의 어머니[7] 시트콤인 That 70's show프렌즈에서 주조연을 맡아 출연한 바 있다. 미국의 유명 시트콤을 오마주하는 본 작의 컨셉과도 맞아떨어지는 캐스팅.[8] 스탠드업 코미디언 겸 배우이자 작가이며 LA에 거주 중이다.[9] 노 웨이 홈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언급된 소서러 슈프림이 웡일 가능성도 있다.[10] 완다가 어렸을 당시 집에 스타크제 무기가 떨어져서 불발된 적이 있다. 1화 작중 광고에서 스타크제 토스터를 광고하는데, 원작 코믹스에서는 "우리 아이들이 가짜고 이 모든 것이 거짓"이라고 말하는 비전에게 화난 완다가 "너는 고작 토스터일 뿐이잖아!"라고 일갈한 것을 연상시킨다.[11] 히드라에서 완다와 피에트로로 실험할 때 책임자였다.[12]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에서 완다가 어벤저스와 작전하다가 폭발 사고를 낸 도시. 소코비아 협정의 시발점이자 어벤저스 시빌 워의 원인이 되었고 완다에게 큰 트라우마를 안겨줬다. 5화 광고에서 소개하는 키친 타월 브랜드의 이름으로 등장한다.[13] 코믹스에서의 에이브 브라운은 샹치(마블 코믹스)와 마찬가지로 쿵푸 계열 비초인 격투의 달인이었다. 1970년대에만 잠깐 등장하고 말았을 정도의 마이너한 캐릭터이며, 원작에서는 스파이더맨과 무관하고 MCU의 브라운과도 이름과 흑인이란 점을 빼면 공통점이 없다.[14] 일각에서는, 소드의 책임자 헤이워드가 어떤 큰 비밀을 숨기고 있다고 묘사되는 것을 기반으로, 소드가 어떠한 연유로 멀티버스에 접속해서 저쪽 세계의 퀵실버를 데려와 정보원으로 이용하고 있는 거 아닌가 하는 가설을 내놓기도 한다. 다음 영화의 주인공인 닥터 스트레인지가 멀티버스에서 데려왔다는 의견도 있다.[15] 8화에서 밝혀진 바로는 아그네스는 완다가 어떻게 웨스트뷰 타운을 헥스로 변모시켰는지를 알아내기 위해서 모종의 인물을 완다의 오빠 피에트로 행세를 하도록 세뇌시킨 것이고, 최종화에서 그 모종의 인물은 그냥 웨스트뷰 주민인 걸로 밝혀진다.[16] Cataract는 백내장, Vision은 시력이라는 뜻도 갖고 있다. 또한 비전 사체의 눈은 심한 백내장 증상과 유사한 모습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비전과 연관된 프로젝트라는 의견이다.[17] 이 가설을 고려하면, 6화에서 왜 헤이워드 국장 대행이 비전의 위치를 추적하고 있는지도 설명된다.[18] 7화에서 비전도 생전의 자기는 비록 정신은 자비스가 모태가 되었지만, 육체는 원래 범지구적인 학살을 의도해 만들어진 무기 아니었냐고 지적하는 씬이 나온다.[19] 예상한 대로 와칸다에서 사망한 비전의 사체를 재조립한 후 헥스에 잠입시켰다가 완다에게 격추당한 드론에 남은 완다의 에너지를 이용해 마침내 비전의 사체를 재가동시킨다.[20] 런어웨이즈가 후반부에서 다크 디멘션으로 되돌려 보낸다.[21] 에오쉴이 완전히 영화와 분리된 시점은 시즌 6서부터다.[22] 실제로 마블에서 완다비전의 시트콤 연출에 대해 딕 반 다이크에게 직접 자문을 구하기도 했다.[23] 참고로 〈풀 하우스〉는 엘리자베스 올슨의 친언니들인 메리케이트 올슨애슐리 올슨이 아역으로 출연해 미국인들의 사랑을 받았던 시트콤이다. 〈풀 하우스〉가 방영된 지 20여년이 지난 현재, 그들의 동생인 엘리자베스 올슨이 직접 〈풀 하우스〉를 오마주하여 미국에서 감회가 새롭다는 반응이 많았다. 실제로 해당 회차가 공개되고 나자, 트위터 실시간 트렌드에 〈풀 하우스〉와 올슨 자매가 오르며 많은 미국인들이 추억 회상에 잠겼다.[24] 실제로 〈모던 패밀리〉의 클레어역인 줄리 보웬이 완다비전의 시트콤 연출에 대해 극찬을 남기기도 했다.#[25] 1화 촬영 당시만 해도 코로나 시국이전이다보니 가능했다.[26] 노래가 너무 중독성있는 탓에 완다비전이 공개되기도 전에 케빈 파이기가 계속 흥얼거렸다고 한다. 노래가 빌런의 정체를 밝히는 대형 스포 곡이라, 주위에서 케빈 파이기에게 스포되니까 노래 그만 좀 부르라고 타박했다고.#[27] Wanda And Vision(전자의 뜻)이나 Wanda's Vision(후자의 뜻)과 같이 의미가 확실하게 고정되는 제목을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미뤄보면 이런 중의적인 뜻을 노린 작명이다.

이 문서의 r1048~1059 버전에 FANDOM 위키의 저작권을 침해하는 내용이 있습니다.

저작권을 침해하는 내용이 포함된 버전으로 문서를 되돌리거나 링크하는 행위는 금지됩니다. 만일 되돌리거나 링크할 경우 저작권 침해로 간주되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15:55:52에 나무위키 완다비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