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하라어

덤프버전 :

암하라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아프리카아시아어족
Afroasiatic languages
[ 펼치기 · 접기 ]

셈어파동셈어군아카드어 · 에블라어
북서셈어군아람어(서신아람어 · 투로요어 · 아시리아 신아람어 · 칼데아 신아람어 · 만다야어 · 시리아어 · 사마리아 아람어 ) · 가나안어(히브리어 · 사마리아 히브리어 · 페니키아어 · 퓨니크어) · 아모리어
남서셈어군아랍어 ( 아랍어 방언 · 이집트 아랍어 · 하사니야어 · 차드 아랍어 · 수단 아랍어 · 주바 아랍어 · 중앙아시아 아랍어 · 마그레브 아랍어 ) · 몰타어
남부셈어군사바어 · 하드라마우트어 · 라지흐어 · 소코트라어 · 메흐라어 · 하라시스어 · 그으즈어 · 암하라어 · 티그리냐어 · 티그레어
이집트어파콥트어 · 고전 이집트어
베르베르어파누미디아어 · 관체어 · 카빌어 · 리프어 · 실하어 · 샤위아어 · 투아레그어 · 제나가어 · 시와어 · 가다메스어 · 타마지트어
차드어파하우사어 · 론어 · 볼어 · 바데어 · 부라어 · 투막어
쿠시어파소말리어 · 오로모어 · 아파르어 · 베자어
오모어파월라이타어
* 표시가 된 것은 사멸된 어군 혹은 언어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78930 10%,#FCDD09 10%,#FCDD09 90%,#da121a 90%)"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ext-align: left"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border:1px solid #fff"
[[에티오피아|[[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height=35&align=left]]]]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에티오피아
관련 문서
}}}}}}
<^|1><height=34><bgcolor=#ffffff,#1f202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



አማርኛ[1]
암하라어
언어 기본 정보
주요사용지역에티오피아
원어민약 2,200만 명
어족아프리카아시아어족
셈어파
남셈어군
에티오피아어군
남에티오피아셈어군
암하라어
문자그으즈 문자
언어 코드
ISO-639-1am
ISO-639-2amh
ISO-639-3amh
명칭
암하라어አማርኛ
영어Amharic Language
아랍어اللغة الأمهرية
이탈리아어Lingua amarica
일본어アムハラ語
중국어阿姆哈拉语/阿姆哈拉語
히브리어אמהרית
태국어ภาษาอัมฮารา

ናሙዊኪ, እርስዎ እየሰሩበት ያለው የእውቀት ዛፍ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1. 개요
2. 문자
3. 자음
4. 모음
5. 문법
6. 한국에서의 학습
7. 외부 링크
8. 들어 보기



1. 개요[편집]


에티오피아의 공용어. 셈어파에 속하며 셈어파에서는 아랍어에 이어서 두번째로 사용자 수가 많은 언어이다. 2007년 기준으로 2200만 명이 모국어로, 400만명이 제2언어로 사용했다. 에티오피아 황실의 모어였고, 에티오피아에서 암하라인은 마치 미국와스프파키스탄의 펀자브인 같은 포지션이다 보니 특히 도시 지역에서는 암하라어가 모어가 아닌 다른 에티오피아인들 사이에서도 링구아 프랑카로 사용된다.[2] 한국 내 차드 출신 유학생들도 암하라어를 대충이나마 구사하는 편이다.

아프리카 쪽의 언어들 중에선 스와힐리어, 하우사어, 줄루어, 코사어와 함께 알려져 있다. 또한, 아프리카 내에선 영향력이 큰 언어 중에 하나이기도 하다.


2. 문자[편집]


분절 문자의 계보
[ 펼치기 · 접기 ]

>>> ※ 오른쪽 문자는 왼쪽 문자에서 파생됨 >>>
이집트 상형 문자신관문자민중문자메로이트 문자
원시 시나이 문자우가리트 문자
페니키아 문자고대 히브리 문자사마리아 문자
아람 문자카로슈티 문자
브라흐미 문자바티프롤루 문자칸나다 문자
텔루구 문자
팔라바 문자
참 문자
그란타 문자싱할라 문자
말라얄람 문자
타밀 문자
크메르 문자태국 문자
라오 문자
카위 문자발리 문자
순다 문자
자바 문자
바이바이인 문자
버마 문자
굽타 문자실담나가리 문자데바나가리 문자캐나다 원주민 문자
모디 문자
구자라트 문자
난디나가리 문자
카이티 문자
가우디 문자동부 나가리 문자
오리야 문자
네팔 문자란자나 문자소욤보
티베트 문자파스파 문자
타나 문자
시리아 문자나바테아 문자아랍 문자타나 문자
페르시아 문자
자위 문자
응코 문자
소그드 문자돌궐 문자로바시 문자
위구르 문자몽골 문자만주 문자
팔라비 문자아베스타 문자
히브리 문자
팔미라 문자
만다야 문자
그리스 문자에트루리아 문자로마자체로키 문자
오세이지 문자
프레이저 문자
데저렛 문자
홋착 문자
룬 문자
오검 문자
콥트 문자
고트 문자
아르메니아 문자
조지아 문자
글라골 문자
키릴 문자아부르 문자
리비코-베르베르 문자티피나그 문자
고대 히스파니아 문자
남아랍 문자그으즈 문자
고대 북아랍 문자
한글 · 비저블 스피치 · 주음부호



파일:eacad1c506f18f670a7d289d3ce238bc.gif

표기할 때에는 에티오피아의 독자적인 문자인 그으즈(Gəʿəz, ግዕዝ) 문자의 일종인 암하라 문자로 표기한다. 그으즈 문자는 아부기다에 속하며[3][4], 원래는 아랍 문자처럼 자음만을 표기했으나 모음 갯수가 많은 에티오피아 언어를 표기하기 위해 모음부호를 붙이는 식으로 발전하여 지금의 형태가 되었다. 참고로 힌디어처럼 알파벳뿐만 아니라 문장부호나 숫자도 독자적인 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다른 셈계 언어와 달리 글자를 왼쪽부터 써나간다. 또한, 같은 그으즈 문자를 쓰는 티그리냐어, 티그레어와 매우 가까운 편이다.


3. 자음[편집]


양순음순치음치경음후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순음화 연구개음성문음
방출음무성음유성음방출음무성음유성음방출음무성음유성음방출음무성음유성음방출음무성음유성음
파열음pbtdkɡkʷʼɡʷʔ
파찰음tsʼtʃʼ
마찰음fszʃʒh
비음mnɲ
전동음r
설측접근음l
접근음jw


4. 모음[편집]


전설모음중설모음후설모음
고모음iɨu
중모음eəo
저모음ä


5. 문법[편집]


문법적인 부분에선 아랍어와 달리 주어+목적어+서술어순으로 나타나는 언어이다. 인두음은 아랍어와 달리 일찌감치 사라졌다.


6. 한국에서의 학습[편집]


한국에서는 배우기가 쉽지 않은 언어라서 한국어로 된 책은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단, 암하라어는 한국에서 특수외국어에 포함된 언어들 중의 하나에 속해 있다. ECK교육에서 암하라어 강좌를 제공하고 있다.#

2023년 2학기 부터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학부 동아프리카전공에서 처음으로 암하라어 강의가 개설된다.


7. 외부 링크[편집]




8. 들어 보기[편집]



암하라어 토크 쇼


암하라어로 읽는 잠언


암하라어와 티그리냐어를 비교하는 영상.


Abby Lakew의 곡 የኔ አበሻ(Yene Habesha)

Abdu Kiar와 Melat Kelemework의 곡 Weye Weye.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04:21:07에 나무위키 암하라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Amarəñña[2] 마찬가지로 암하라어와 비슷하게 송가이어송가이 제국에서 상류층들의 언어로 사용되었다.[3] 아부기다라는 말 자체가 고대 에티오피아어인 그으즈어 አቡጊዳ에서 나온 말이다.[4] 하지만 음절 문자의 특징도 있다. 모음 기호를 붙힌다기 보다는 그냥 규칙적인 형태의 음절 문자에 가깝다. 보통은 모음 기호 모양에 따라 규칙적으로 바뀌지만 먗몇 자음에 따라서 기호가 뭐가 붙냐에 따라 글자 모양이 달라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