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수원 버스 300

덤프버전 :

||
공항
시외
프리미엄
경기순환
좌석
[ 펼치기 · 접기 ]

고양시
광주시
111광주시 미경유
남양주시
330-2, -3회송/편도
안산시
포천시
화성시
기타
21김포
200광명
300수원
700부천
8000평택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사건사고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수원시 CI_White.svg 수원시 좌석버스 300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수원 300 노선도.svg
기점경기도 평택시 진위면 견산리(하북차고지)종점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호계동(롯데백화점.범계역)
종점
첫차04:30기점
첫차05:40
막차22:30막차23:40
평일배차6~8분주말배차6~10분
운수업체삼경운수인가대수30대[1]
노선하북차고지 - 진위역 - 오산역·오산터미널 - 오산대역·물향기수목원 - 외삼미동 - 병점 - 비상활주로 - 수원버스터미널 - 권선사거리·SK뷰아파트 - 수원고용복지플러스센터·동수원사거리·삼성생명 - 창룡문 - 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수원종합운동장 - 한일타운.경기일보.홈플러스 - 경기도인재개발원 - 지지대고개 - 고천·의왕시청 - 현대.대림아파트 - 호계사거리·호계전통시장·윌스기념병원 - 무궁화한양아파트·방축사거리 → 목련단지 → 범계사거리·호평지하도 → 롯데백화점.범계역(회차) → 목련선경아파트 → 범계중학교 → 방축사거리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삼경운수에서 운행하는 좌석버스 노선이다. 왕복 운행거리는 약 73km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4. 특징[편집]



















4.1. 사건사고[편집]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휴먼시티수원 심볼.svg 수원시 - 파일:안양시 CI.svg 안양시 간 버스
· · · · · · ·


파일:휴먼시티수원 심볼.svg 수원시 - 오산시 간 시내버스 파일:오산시 CI.svg
· · · ·
116-2,-5병점역 미경유
· · · · ·


파일:오산시 CI.svg 오산 - 파일:평택시 CI.svg 평택 간 시내버스
· · · · · ·
※ 평택시를 경유한 뒤 다른 지자체로 가는 버스는 기재하지 않았음


파일:휴먼시티수원 심볼.svg 수원시 - 파일:평택시 CI.svg 평택시 간 버스
300일반좌석
301일반시내
6800직행좌석
8471, 8472직행좌석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10:40:44에 나무위키 수원 버스 300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현재는 20~22대 가량 운행한다. 단, 2020년부터는 코로나 관련 감차로 인해 평일에는 16-18대 정도, 감차되는 일요일의 경우에는 약 10-12대 정도로 운영된다. 따라서 주말에는 배차간격이 15-20분 정도로 늘어나게 된다.[2] 분리 초기에는 300, 301번은 승객 여러분들의 편의를 위해 범계역 중앙차로 정류장에서도 승차합니다.라는 현수막을 걸고 다녔으나, 어느 정도 안정화된 후에는 이러지는 않는다.[3] 삼경운수가 300번, 2007번 두 노선만 운영하는데도 회사가 운영되는 이유는 300번, 2007번의 엄청난 가축수송 덕분이다.[4] 1위는 7770번.[5] 2023년 4월 기준 직행좌석까지 포함해도 5위[6] 의왕시와 안양시는 900번이 있었지만 시내버스로, 수원시는 909번이 있었지만 직행좌석버스로 형간전환되었다. 평택시에는 8000번이 다닌다. 화성시 서부에는 1004번, 1004-1번이 다닌다. 그러나 화성시 동부(동탄, 병점, 봉담, 향남)에는 병점을 제외하면 일반좌석버스가 없다.[7] 수원버스터미널-한일타운 구간은 계열사900번이 300번과 비슷한 배차간격으로 다니긴 한다. 단, 900번은 81번처럼 요금이 싸지만 300번보다 다소 느리다.[8] 하지만 사실상 1시간이 넘어간다.[9] 물론 900번, 310번 등의 대체재는 있으나 301번처럼 수원역, 고등동을 경유하기 때문에 시간차가 다소 크다. 대신 81번처럼 요금 면에서는 300번보다는 이득이고 301번처럼 수원 최고의 상권인 수원역을 경유한다. 병점-한일타운은 25번이 있지만 수원버스터미널을 가지 않는다.[10] 81번은 병점-수원시청까지는 300번과 같이 가다가 수원시청사거리에서 우회전하여 수원시청역으로 간다.[11] 오산교통에서는 8번202번도 마찬가지이다.[12] 하지만 요즘은 수원버스터미널도 발권해준다. 다만 이용은 지방에서 오는 차량 타이밍에 잘 맞춰야 한다. 정해진 배차시간이 없다.[13] 일부가 아니라 사실상 모든차량에 버젓이 적혀있다.[14] 단, 창룡문지하차도는 들어간다.[15] 다만 수원역, 세류역은 경유하지 않고 수원터미널에서 탄다면 00시 05분~10분, 병점역에서 탄다면 병점사거리 정류소에도 00시 20분 쯤에 매서운 속도로 막차가 지나갈 수 있으니 주의할 것. 그리고 새벽 1시 이전에는 하북차고지에 도착한다. 다만 301번은 정자지구, 화서문, 수원역, 세류역 등을 경유함에 교통체증에 따라 병점사거리에 잘하면 새벽 1시에 도착할 가능성도 있다.[16] 그런데 그 이후 잔여좌석 표기가 이상하게 뜨는 차량이 있다. 뉴슈퍼 차량 대다수는 38인승인데, 그 차량만 40석 넘게 다니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17] 이때 벨트 미착용 시 발생하는 사고에 대해서는 승객 본인이 책임을 져야 한다.[18] 다만 시트 제조업체의 문제이긴 하지만 안전벨트가 뒤로 넘어가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19] 하지만 간혹 왕복 2차선에서 추월해가는 경우도 더러 보인다. 단, 반대편차선에 마주오는 차량이 없는 경우에만 해당되는 사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