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숀 펜

덤프버전 :

숀 펜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역대 칸 영화제
파일:칸 영화제 로고.svg
남우주연상
제49회
(1996년)
제50회
(1997년)
제51회
(1998년)
다니엘 오떼유, 파스칼 뒤켄
(제8요일)
숀 펜
(더 홀)
피터 뮬란
(내 이름은 조)

역대 베니스 국제 영화제
파일:베니스 국제 영화제 로고.svg
볼피 컵 - 남우주연상
제54회
(1997년)
제55회
(1998년)
제56회
(1999년)
웨슬리 스나입스
(원나잇 스탠드)
숀 펜
(헐리벌리)
짐 브로드벤트
(뒤죽박죽)
제59회
(2002년)
제60회
(2003년)
제61회
(2004년)
스테파노 아코시
(사랑이라 불리는 여행)
숀 펜
(21 그램)
하비에르 바르뎀
(씨 인사이드)


역대 골든 글로브 시상식
파일:goldenglobe.png
남우주연상 - 드라마(영화)
제60회
(2003년)
제61회
(2004년)
제62회
(2005년)
잭 니콜슨
(어바웃 슈미트)
숀 펜
(미스틱 리버)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에비에이터)



파일:sezar-trophy.png
세자르 공로상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1976년1977년1978년
잉그리드 버그만다이애나 로스앙리 랑글루아자크 타티로버트 도프만
1978년1979년1980년
르네 고시니마르셀 카르네샤를 바넬월트 디즈니피에르 브롱베르제
1980년1981년1982년
루이스 드 푸네스커크 더글러스마르셀 파뇰알랭 레네조르주 댄시거즈
1982년1983년1984년
알렉산드르 노우츠킨장 네니안제이 바이다Raimu르네 클레망
1984년1985년
조르주 드 보르가르에드위지 푸이에르크리스티앙 자크다니엘 다리외크리스틴 구즈레날
1985년1986년
알렝 프와레모리스 자르베티 데이비스장 들라누아René Ferracci
1986년1987년1988년1989년
클로드 란츠만장뤽 고다르세르지 실버만베르나르 블리에폴 그리모
1990년1991년1992년
제라르 필리프장 피에르 오몽소피아 로렌미셸 모르강실베스터 스탤론
1993년1994년1995년
장 마레마르첼로 마스트로야니제라드 우리장 카르메잔느 모로
1995년1997년1997년
그레고리 펙스티븐 스필버그로렌 바콜앙리 베르누이샤를 아즈나부르
1997년1998년1999년
앤디 맥도웰마이클 더글러스클린트 이스트우드장뤽 고다르페드로 알모도바르
1999년2000년
조니 뎁장 로슈포르조지안 발라스코조르주 크라벤느장피에르 레오
2000년2001년2002년
마틴 스코세이지데리 코울샬럿 램플링아녜스 바르다아누크 에메
2002년2003년
제러미 아이언스찰리 리치베르나데트 라퐁스파이크 리메릴 스트립
2004년2005년2006년
미셸린 프레슬자크 뒤트롱윌 스미스휴 그랜트피에르 리차르
2007년2008년
마를렌 조베르주드 로잔느 모로로베르토 베니니로미 슈나이더
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
더스틴 호프먼해리슨 포드쿠엔틴 타란티노케이트 윈슬렛케빈 코스트너
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
스칼렛 요한슨숀 펜마이클 더글러스조지 클루니페넬로페 크루스
2019년2020년2021년2022년2023년
로버트 레드포드없음*
* 내정자(브래드 피트)의 수상 거부로 당해의 수상자를 공석 처리.





숀 펜
Sean Penn
파일:sean-penn.jpg
본명숀 저스틴 펜
Sean Justin Penn
출생1960년 8월 17일 (63세)
캘리포니아산타 모니카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거주뉴욕 주 뉴욕 시 맨해튼
직업배우, 영화 제작자
활동1973년 - 현재
데뷔1973년 《초원의 집》
신장173cm
학력산타모니카 고등학교 (졸업) (1974 -1978)
부모리오 펜(1921년-1999년)
母 일레인 라이언[1](1928년-)
형제마이클 펜, 크리스 펜
배우자마돈나 (1985 - 1989)
로빈 라이트 (1996 - 2010)
레일라 조지 (2020 - 2021)
자녀딜런 펜(1991년생)
아들 호퍼 잭 펜(1993년생)
링크파일:IMDb 로고.svg

1. 개요
2. 일생
3. 가족관계와 사생활
4. 출연
4.1. 영화
4.2. 드라마
5. 수상
6. 여담



1. 개요[편집]


파일:sean_penn.jpg
파일:sean_penn_.jpg

"그는 영화계에서 존재감을 발휘하며 잃어버린 적 없는 우리세대 최고의 배우라는 수식어를 얻게되었다."

롤링 스톤#

미국배우. 할리우드 메이저 영화제와 세계 3대 영화제에서 남우주연상을 모두 수상해본 두 번째 배우이다. 한국에서는 연기로 손꼽히는 중년배우로만 알려져 있지만, 나름 청춘스타 출신이다.


2. 일생[편집]


브랫 팩이라고 불린 1980년대 청춘스타 군단의 말석에는 꼭 언급되던 인물. 한국에서는 1980년대 탑스타 마돈나와 결혼하기 전까지는 듣보잡에 가까웠고, 마돈나와 이혼 이후 알려지기 시작했다. 그러다 팀 로빈스 감독이 연출한 데드 맨 워킹에서 답이 없는 천하의 개쌍놈이지만 결국 예정된 죽음 앞에서 무너져내리며 인간적인 나약함을 드러내는 사형수 역을 맡으면서 비로소 국내 영화팬에게 연기파 배우로 이름을 떨치게 되었다.

아이 앰 샘》으로 다코타 패닝과 함께 순수하고 착하면서 지능이 낮은 아빠 역할로 이름을 알렸지만, 이전까지만 해도 마돈나의 전 남편이기도 했고 폭행사건에 휘말려 구설수도 많았다. 영화감독 리 다니엘스가 여자를 때리는 남자를 비난하면서 그 예 중 하나로 숀 펜을 들었다. 이에 숀 펜은 이런 루머로 수없이 고통받았다며 다니엘스에게 명예훼손으로 소송을 제기하였다. 나이가 들면서 온화해졌는지 사회적으로 활동방향이 선회하였고, 2012년에는 노벨평화상 총회의 평화의 인물에 뽑히기도 했다.

주목해야 할 부분은 연기인데 골든 글로브, 아카데미 시상식, 베니스 국제 영화제, 베를린 국제 영화제, 칸 영화제 세계 5대 유명 영화상의 남우주연상을 한 번씩 수상했다. 사생활에서는 구설수가 많았지만 연기에서는 그 누구도 토를 달지 않는 배우로 정신지체부터 성 소수자 인권운동가, 록커 등 광역계에 속하는 배우다. 윌럼 더포처럼 영화나 배역을 가리지 않는 편이여서 할리우드 바깥 감독들과도 많이 작업하기도 했다.


3. 가족관계와 사생활[편집]


파일:external/iv1.lisimg.com/600full-chris-penn.jpg

동생인 크리스 펜(1965-2006)도 배우였는데 사망했다. 위의 사진은 《저수지의 개들》에 나왔을 때이다. 잘 알려진 배역으로는 상술한 저수지의 개들에서의 나이스 가이 에디, Grand Theft Auto: San Andreas의 등장인물인 에디 풀라스키 경관텐페니 똘마니. 약물 과다복용으로 갑자기 살이 불더니 심근경색으로 사망했다.

딸 딜런 펜과 아들 호퍼 펜이 있다. 딸 딜런 펜은 모델 겸 배우이다. 2021년 제74회 칸 영화제에서 선보인 대담한 컷아웃 드레스로 화제가 되었다.#[2] 2021년 8월 19일, 미국 CBS 스티븐 콜베어 레이트 쇼에 부녀가 같이 초대를 받아 출연하였다.

숀 펜이 개성 있고 매력 있고 멋있는 배우임에는 분명하지만 젊었을 때도, 나이든 후에도 사실 외모가 크게 어필하는 수준까지는 아닌데도 미녀들이 줄줄 꼬인다. 다만 한국의 기준에서는 평범해 보일 수는 있지만 영미권에서는 숀 펜 같은 스타일이 남성적 매력이 강해서 인기가 많다고 한다.

  • 85년~89년: 마돈나와 시끌벅적하고 짧은 결혼 생활을 유지. 물론 초반엔 사이가 좋았지만 당시 최고의 팝스타였던 마돈나를 쫓아다니는 파파라치들과 싸웠고, 그게 원인이 되어 마돈나와 다툼으로 이어져 이혼하게 된 것이다. 87년에 마돈나가 이혼 소송을 했다가 취하했고 결국 89년에 이혼. 이 당시 숀 펜이 마돈나를 묶어놓고 9시간이나 폭행해서 이혼한 거라는 끔찍한 루머가 돌았고, 당사자인 마돈나가 직접 절대 그런 일 없다고 부인했음에도 불구하고 한 동안 이 꼬리표가 따라다녔다.
  • 96년~2010년: 로빈 라이트와 결혼생활. 결혼 14년만에 이혼했다. 둘 사이에 자녀로 딸 딜런 과 아들 호퍼를 두고있다.
  • 2011년: 섀넌 코스텔로와 연애. 일반인이지만 배우 뺨치는 외모
  • 2011년: 스칼렛 요한슨 (무려 24세 연하!!!) 이쯤 되면 도둑도 보통도둑이 아니다
  • 2012년: 체코 출신 모델 페트라 넴코바
  • 2014년: 샤를리즈 테론 (양심적으로(?) 15세 연하)
  • 2016년: 레일라 조지 - 1992년생 호주 출신 여배우. 숀 펜과는 5년간 열애하다 결혼했다. 그러나 결혼 1년만인 2021년 10월 15일, 이혼 소장을 제출했다. 남편보다 32세 연하이며 숀 펜의 딸보다도 한 살 어리다. 레일라 조지의 아버지는 영화 풀 메탈 자켓의 고문관 이병 역으로 유명한 빈센트 도노프리오로, 숀 펜보다 딱 한 살 많다.




4. 출연[편집]



4.1. 영화[편집]


: 1980년대 헐리웃 청춘물의 교과서적인 작품. 당시 북미에서 대단한 흥행을 기록했다.
  • 범죄와의 전쟁 (1998)
: 원제 Colors. 80년대 Bloods, Crips 등 갱단이 판치는 south central LA를 배경으로 하는 경찰 드라마.
: 감독작. 제69회 칸 영화제 공식경쟁부문에 초청되었다. 자비에 돌란 연출작인 <단지 세상의 끝>, 니콜라스 윈딩 레픈 감독의 <네온 데몬> 등과 더불어 평가가 바닥을 쳤으며, 그 해 칸 영화제 경쟁부문 초청작 중 평점 최저를 찍는 불명예를 얻었다. 그 해 뿐만이 아니라, 0.2점이라는 역대 칸 영화제 경쟁 부문 스크린 데일리 별점 중 최하점을 찍었다.
: Hot Shots 에피소드에 엑스트라로 목소리 출연했다.
: 훌루 제작 SF 드라마로, 화성 인간 탐사를 다룬다.
  • 프로페서 앤 매드맨(2019) - 윌리엄 체스터 마이너
  • 국기의 날 (2021) - 감독작. 제74회 칸 영화제 경쟁작. 더 라스트 페이스급은 아니지만 이 역시 평이 좋지 않았고 딸인 딜런 펜도 발연기한다고 부녀가 쌍으로 까였다. 전작이 워낙 망작이라 초청 못 받을거라는 예상이 많아서 숀 펜이 칸 주최측 섹스 테이프 가지고 있냐는 식의 개드립마저 나올 정도.
  • 리코리쉬 피자(2021) - 잭 홀든


4.2. 드라마[편집]




5. 수상[편집]


  • 2012 노벨평화상 수상자 총회 평화의 인물상
  • 2012 방송영화비평가협회 조엘시겔상
  • 2011 제7회 취리히 영화제 평생공로상
  • 2010 헐리우드영화제 인류애상
  • 2010 두바이 국제영화제 평생공로상
  • 2009 밴쿠버 비평가 협회상 남우주연상
  • 2009 제15회 미국 배우 조합상 남우주연상
  • 2009 팜스프링스 국제영화제 데저트팜 공로상
  • 2009 방송영화비평가협회 앙상블연기상
  • 2009 제43회 전미 비평가 협회상 남우주연상
  • 2009 제81회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 남우주연상
  • 2008 팜스프링스 국제영화제 올해의 감독상
  • 2008 제34회 LA 비평가 협회상 신인상
  • 2008 피닉스 비평가 협회상 남우주연상
  • 2008 보스턴 비평가 협회상 남우주연상
  • 2008 오스틴 비평가 협회상 남우주연상
  • 2008 미국영화연구소상 올해의 영화상
  • 2008 제73회 뉴욕 비평가 협회상 남우주연상
  • 2008 제43회 전미 비평가 협회상 남우주연상
  • 2007 상파울로국제영화제 외국어영화상
  • 2004 밴쿠버 비평가 협회상 남우주연상
  • 2004 피닉스 비평가 협회상 앙상블연기상
  • 2004 라스베가스 비평가 협회상 남우주연상
  • 2004 미국 독립영화 시상식 특별상
  • 2004 플로리다 비평가 협회상 남우주연상
  • 2004 방송영화비평가협회 남우주연상
  • 2004 제61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 남우주연상
  • 2004 제76회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 남우주연상
  • 2004 제24회 런던 비평가 협회상 남우주연상
  • 2003 제37회 전미 비평가 협회상 남우주연상
  • 2003 보스턴 비평가 협회상 앙상블 캐스팅상
  • 2003 제60회 베니스 국제영화제 남우주연상
  • 2003 제51회 산세바스티안 국제영화제 평생공로상
  • 2002 제59회 베니스 국제영화제 유네스코상
  • 2002 산타바바라 국제영화제 드라마부문 남우주연상
  • 2000 덴버 국제영화제 존카사베츠상
  • 1999 산타바바라 국제영화제 앙상블상
  • 1999 샌프란시스코국제영화제 피터 J 오웬스상
  • 1998 제55회 베니스 국제영화제 남우주연상
  • 1997 제50회 칸 영화제 남우주연상
  • 1996 미국 독립영화 시상식 남우주연상
  • 1996 제46회 베를린국제영화제 은곰상
  • 1991 제44회 로카르노 국제영화제 황금 표범상
  • 1986 골든 애플 어워드 사워애플상
  • 1983 제9회 LA 비평가 협회상 신인상


6. 여담[편집]


  • 아이 앰 샘에서 천성이 착한 아버지 역할을 맡은 것과 반대로 실제로는 헐리우드에서도 알아주는 더러운 성깔의 소유자이다. 폭행 관련 가십거리에도 꾸준히 오르는데, 이를 뒷받침 하듯 자신의 별장 앞 해변에 파파라치를 욕하는 문구를 쓰기도 했다. 폭행도 대부분 끈질기게 달라붙는 파파라치나 기자들을 대상으로 한 것.

  • 숀 펜의 아버지인 레오 펜은 감독이었다. 그런데 미국이 전후 매카시즘의 광풍에 휘말릴 때, 앞장서서 동료들을 고발하고 누명을 씌워 살아남은 엘리아 카잔에 의해 그 리스트에 있었다. 나중에 만났는데 엘리아 카잔이 아버지인 레오 펜에게 인사했는데 무시하고 지나쳤다. 꼬마였던 숀 펜은 '아버지는 늘 모든 사람에게 친절했는데 충격이었다'고 말했다.

  • 절친 니콜라스 케이지가 오락영화에 출연하는 것을 못마땅하게 여긴 숀 펜은 작가주의 영화에 출연할 것을 강요한 적이 있다. 당연히 니콜라스 케이지의 심기는 불편해졌고 둘의 사이는 심각하게 나빠졌다.

  • 톰 크루즈티모시 허튼과 숀 펜은 친한 친구 사이이다.[3]

  •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와도 절친한 친구 사이인데 한참 다우니 주니어가 마약에 찌들어 살 때는 보다 못해 직접 데니스 퀘이드와 함께 로다주의 집에 쳐들어가 그를 마약치료 센터에 강제로 집어넣은 적도 있다고 한다. 함께 갔던 데니스 퀘이드는 멕 라이언의 전 남편이자 한때 이쪽도 마약하면 유명한 배우였다. 마약뿐만아니라 인격적으로 문제가 많아 여러 구설수와 추문으로 악명높다.

  • 그의 아들인 호퍼 펜 역시 마약 중독으로 고생을 했었다고 한다. 호퍼가 약을 하다 병원으로 실려오게 되었는데, 그가 눈을 뜨자 아버지인 숀이 "버스정류장 벤치로 갈래? 아니면 재활원으로 갈래?"라고 물었다고. 그 말을 들은 호퍼는 침대를 택하겠다며 결국 재활원으로 갔고 지금은 약을 끊었다고 한다.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벌어지자 이번에는 키이우 전장 한복판에서 바이스와 함께 다큐멘터리를 만들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억만장자들이 우크라이나를 위한 전투기 구입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이 다큐멘터리는 당초 우크라이나 전쟁이 터지기 전에 이 다큐멘터리를 기획했을 때는 코미디언이었다가 대통령이 된 젤렌스키를 경쾌한 분위기로 다루려 했다고 했다. 이후 코로나19 팬데믹이 닥치고 만남이 어려워지면서 일정이 지연돼 2022년 2월 23일에야 처음으로 대면하게 됐다. 이날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기 하루 전이었다. 당시 두 사람은 다음날부터 촬영을 시작하기로 했는데, 펜을 포함한 촬영진이 밤에 호텔에 돌아와 자려고 할 때 러시아의 침공이 시작됐다고 그는 회고했다.# 2022년 11월 당신이야말로 세계 최고의 배우의 자격이 있다면서 자신의 오스카 상 트로피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에게 양도했다. 젤렌스키는 거절했지만 숀 펜이 전쟁이 끝나면 돌려주면 된다고 설득해 수락했다고 한다.

  • 2022년, 공항의 금연 구역에서 당당하게 흡연을 하여 논란이 되었다. 국내 기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08:55:36에 나무위키 숀 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영화 프릭스아이 엠 샘에서 조연으로 출연했다.[2] 숀 펜이 감독하고 딜런이 출연한 국기의 날이 경쟁 부문에 들어 참석했는데 정작 영화 평은 안 좋았다.[3] 이 셋은 영화 생도의 분노에 함께 출연한 적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