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성남시 중원구(선거구)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문서는 국회의원 선거구에 대해서 다루고 있습니다. 성남시에 설치된 일반구에 대한 내용은 중원구 문서
중원구번 문단을
중원구#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국회선거구
파일:국회휘장.svg
성남시 중원구
중원구
城南市 中院區
Seongnam Jungwon
||
파일:국회선거구 성남시 중원구.svg
선거인 수219,400명 (2020)
상위 행정구역경기도 성남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중원구 전역
성남동, 중앙동, 도촌동, 금광1동, 금광2동, 은행1동, 은행2동, 하대원동, 상대원1동, 상대원2동, 상대원3동
신설년도1996년
이전 선거구성남시 중원구·분당구
국회의원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윤영찬



1. 개요[편집]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를 관할하는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로, 성남 4개 선거구 중 하나이다. 현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소속의 윤영찬 의원이다.

성남 본시가지산성대로(단대천) 남부지역[1]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도촌지구 및 여수지구, 갈현동이 나머지 축에 속한다.

그 중 본시가지 지역은 평화민주당 시기부터 민주당계 정당의 철옹성 중 하나였으며, 경기동부연합의 근거지라는 배경 때문인지 민주당계 정당 외에도 아닌 진보정당이 20% 넘는 득표를 얻은 적이 있다. 같은 원도심(덕양구 원당) 지역으로서 민주당 외에도 진보정당[다만] 강세 지역인, 고양시 갑 지역구와 성향이 비슷하다.

여수지구와 도촌지구, 갈현동은 분당신도시와 연담화되어 있는 탓에 분당과 같은 보수 텃밭으로 오해할 수 있으나, (원도심보다는 친민주 표심이 약하지만) 경기도 신도시들이 으레 그렇듯 민주당 경합우세 지역이다[2]. 분당구중원구의 경계인 양현로를 사이에 두고, 보수계 정당 플래카드로 도배된 야탑동과 민주당 플래카드가 걸려있는 여수동 지역이 극명한 대비를 이룬다.

7회 지방선거에서 성남시장 출신의 이재명 경기도지사 후보가 도내에서 가장 높은 득표율(64%)을 기록한 지역이자 20대 대선에서 이재명 후보가 원래 민주당세가 막강한 호남을 제외하고 전국 시군구 중 가장 높은 득표율(57%)을 기록한 지역이다.[3] 자세한 이야기는 중원구 문서의 정치 문단을 참조.

국회의원은 새누리당(현 국민의힘) 소속 신상진 의원(현 성남시장)이 이곳에서 4선(17대~20대)을 했다. 이는 신상진 의원의 개인기 뿐만 아니라 성남 본시가지를 기반으로 한 시민운동가 출신이라는 점 때문이며, 또한 17대 및 19대 때는 다른 당 의원들의 의원직 상실로 인해 반사이익을 얻어 본인이 재보선에서 당선된 경우이다. 17대 때는 전임자 이상락 의원이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의원직을 상실해 2005년 재보선에서 당선되었고, 또 19대 때는 헌법재판소통합진보당 해산 결정으로 인해 김미희 의원이 의원직을 상실해 재보선을 통해 당선되었다.


2. 역대 국회의원 명단 및 역대 선거 결과[편집]


총선당선인당적임기
제14대오세응
ta-hash-start=w-70803c1acb1ee113c07ec6bddc4929bd[[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제15대조성준
ta-hash-start=w-e64ec084e0775960b9d3e16a5c75547b[[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제16대
ta-hash-start=w-8909a6e385b0fbc1f3885c00ae838de7[[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제17대이상락
ta-hash-start=w-3fd36f654cc79b4593ef567de1158abc[[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2004년 5월 30일 ~ 2004년 12월 10일[4]
신상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5년 5월 1일 ~ 2008년 5월 29일
제18대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제19대김미희
ta-hash-start=w-caf1a3dfb505ffed0d024130f58c5cfa[[파일:통합진보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2년 5월 30일 ~ 2014년 12월 19일[5]
신상진
ta-hash-start=w-22edbb43c1e840c6a6fb39a7a03f1a59[[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5년 4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제20대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제21대윤영찬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년 5월 30일 ~


2.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이전[편집]


성남·광주 선거구였다.


2.2. 성남시 을 (13대)[편집]


성남·광주 선거구가 분리되면서 성남시 갑, 성남시 을, 광주시 세 개의 선거구가 되었다.


2.2.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성남시 을
중원출장소 일원[6]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오세응(吳世應)30,0562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32.13%낙선
2양건주(梁健柱)7,4484위

ta-hash-start=w-453967200e1a3da44c065d694e98a58b[[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7.96%낙선
3이찬구(李讚九)37,1871위

ta-hash-start=w-8eb0a23b70975a5e167147f4b0a881b6[[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35.47%당선
4김기평(金基平)19,7543위

ta-hash-start=w-b9c9d41d2ba7e081da0b4cdc2117fc46[[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21.11%낙선
5정완립(鄭完立)3,0965위


3.34%낙선
선거인 수141,893투표율
65.92%
투표수93,541
무효표수844


2.3. 성남시 중원구·분당구 (14대)[편집]


성남시가 구를 설치함에 따라 중원구 선거구로 선거구명이 변경되었다. 중원구에서 분리된 분당구 역시 이 선거구로 편입됐다.


2.3.1. 제1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성남시 중원구·분당구
중원구, 분당구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오세응(吳世應)51,9891위
[include(틀:민주자유당)]39.68%당선
2조성준(趙誠俊)41,5832위
[include(틀:민주당(1991년))]31.74%낙선
3이찬구(李讚九)25,0633위
[include(틀:통일국민당)]19.13%낙선
4김기평(金基平)5,0524위

ta-hash-start=w-1eea769bdb81b3ed58e7b399430b3e49[[파일:신정치개혁당 글자.svg
3.85%낙선
5임동현(林東顯)3,9555위

파일:민중당 1990년 글자.svg

3.01%낙선
6홍대원(洪大源)3,3556위

무소속

2.56%낙선
선거인 수195,832투표율
67.68%
투표 수132,537
무효표 수1,540


2.4. 성남시 중원구 (15대~)[편집]



2.4.1. 제15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분당구가 단일 선거구로 분구되었다.
성남시 중원구
중원구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완립(鄭完立)27,3552위
26.00%낙선
2조성준(趙誠俊)40,0221위
38.04%당선
3김일주(金一柱)7,3184위
6.95%낙선
4강희규(姜熙圭)21,7003위
20.62%낙선
5정형주(丁炯周)8,7945위
8.36%낙선
선거인 수191,053투표율
56.29%
투표 수107,545
무효표 수2,356


2.4.2. 제16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성남시 중원구
중원구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일주(金一柱)23,1232위
25.11%낙선
2조성준(趙誠俊)40,1871위
43.64%당선
3최인식(崔仁植)5,8814위
6.39%낙선
4정형주(鄭亨柱)19,7813위
21.48%낙선
5황한섭(黃漢燮)3,1094위
3.38%낙선
선거인 수190,735투표율
48.88%
투표 수93,224
무효표 수1,143


2.4.3. 제17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성남시 중원구
중원구 일원[중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신상진(申相珍)27,0322위
24.79%낙선
2김태식(金台植)11,0824위
10.16%낙선
3이상락(李相樂)42,7701위
39.22%당선
4김기평(金基平)1,4566위
1.33%낙선
5정형주(鄭亨柱)22,6403위
20.76%낙선
6이영성(李英成)4,0845위
3.74%낙선
선거인 수203,254투표율
54.13%
투표 수110,014
무효표 수950
이때 민주노동당+새천년민주당+열린우리당의 표를 다 합하면 무려 70.14%가 나온다, 하지만 재보궐선거에선...


2.4.4. 2005년 재보궐선거[편집]


성남시 중원구
중원구 일원[중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조성준(趙誠俊)12,7173위
21.60%낙선
2신상진(申相珍)20,4351위
34.72%당선
3정형주(鄭亨柱)16,1202위
27.39%낙선
4김강자(金康子)6,8154위
11.58%낙선
5강성현(姜聲顯)5017위
0.85%낙선
6김태식(金台植)1,4145위
2.40%낙선
7양동기(梁東基)8546위
1.45%낙선
선거인 수204,521투표율
29.10%
투표 수59,511
무효표 수655
지난 선거에 비하면 진보정당 총합 득표율은 많이 낮아지긴 했지만, 그래도 당시 상황을 생각해보면 총합 60.57%는 많이 높은 편이긴 했다, 다만 중도-좌파 진영에서 민주노동당, 열린우리당, 새천년민주당이 모두 출마했기에 표가 제대로 갈리고 신상진은 그 덕을 제대로 맛보고 어부지리로 당선된다.


2.4.5. 제18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성남시 중원구
중원구 일원[중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조성준(趙誠俊)29,4462위
36.62%낙선
2신상진(申相珍)34,5461위
42.96%당선
4정형주(鄭亨柱)10,9413위
13.61%낙선
6김기평(金基平)4,8324위
6.01%낙선
7권혁서6485위
0.81%낙선
선거인 수206,957투표율
39.17%
투표 수81,071
무효표 수658
재보궐선거 때와 비슷하게 또 민주노동당과 통합민주당의 표가 제대로 갈린 반면, 현역 신상진 의원이 지역 기반을 잘 다지며 충분한 경쟁력을 보인 끝에, 조성준 후보를 6%p 차이로 제치고 재선 의원이 되었다.


2.4.6. 제19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성남시 중원구
중원구 일원[중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신상진(申相珍)45,4082위
46.11%낙선
4김미희(金美希)46,0621위
46.77%당선
6김기평(金基平)1,0395위
1.05%낙선
7이대의(李大儀)2,7643위
2.80%낙선
8김재갑-사퇴
-
9윤용호(尹容鎬)1,0366위
1.05%낙선
10정형만(鄭亨晩)2,1594위
2.19%낙선
선거인 수206,897투표율
48.48%
투표 수100,304
무효표 수1,836
지난 두 차례의 선거에서는 민주-진보 진영이 분열로 인해 신상진 의원이 과반 미만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당선되었지만, 이번에는 민주당과 통합진보당이 야권연대를 이루는 데 성공하며 김미희 후보가 단일 후보로 나섰고, 현역 신상진 의원과 피말리는 접전 속에서 600여 표 차이로 승리하였다.

2.4.7. 2015년 재보궐선거[편집]


성남시 중원구
중원구 일원[중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신상진(申相珍)36,8591위
55.90%당선
2정환석(鄭煥錫)23,4902위
35.62%낙선
4김미희(金美希)5,5813위
8.46%낙선
선거인 수209,799투표율
31.52%
투표 수66,137
무효표 수207
2014년 통합진보당이 해산되며 치러진 재선거. 신상진 전 의원이 다시 출마를 하였으며, 새정치민주연합에서도 정환석 후보를 공천하였다. 그리고 통진당 해산 전 현역 의원이었던 김미희 의원까지 출마하며 3파전 구도로 치러졌으나, 낮은 투표율과 신상진 전 의원의 개인기 등의 여파로 인해 과반을 훌쩍 넘는 55.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2.4.8. 제20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성남시 중원구
중원구 일원[중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신상진(申相珍)49,7141위
43.41%당선
2은수미(殷秀美)44,5462위
38.89%낙선
3정환석(鄭煥錫)20,2573위
17.68%낙선
선거인 수210,248투표율
55.07%
투표 수115,794
무효표 수1,277
새누리당에선 현역 신상진 의원을 공천하였으며,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에선 비례대표 의원인 은수미 의원을 공천하였다. 국민의당에선 지난해 재보선에서 새정치민주연합 소속으로 출마한 정환석 후보를 공천하였다.

선거 결과, 야권이 분열되어 있었기 때문에 지역 기반을 잘 다진 신상진 후보가 은수미 후보를 약 4.5%p 차이로 제치고 4선 고지에 오르는 데 성공하였다. 국민의당 소속으로 나선 정환석 후보는 1년 전에 비해 득표율이 반토막이 나버리며 부진했다.

낙선한 은수미 후보는 2년 후에 치러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성남시장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2.4.9. 제21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성남시 중원구
중원구 일원[중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윤영찬(尹永燦)65,9471위
54.62%당선
2신상진(申相珍)50,3152위
41.67%낙선
7김미희(金美希)3,6873위
3.05%낙선
8오성은(吳成銀)7874위
0.65%낙선
선거인 수192,279투표율
63.51%
투표 수122,114
무효표 수1,378

21대 총선 중원구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윤영찬신상진
득표수
(득표율)
65,947
(54.62%)
50,315
(41.67%)
+ 15,632
(△12.95)
122,114
(63.50%)
성남동55.98%40.27%△15.7159.50
중앙동52.53%43.76%△8.7758.31
금광1동52.96%42.92%△10.0360.57
금광2동53.35%42.55%△10.7957.23
은행1동53.70%42.06%△11.6462.15
은행2동52.96%43.32%△9.6460.67
상대원1동53.27%43.29%△9.9858.79
상대원2동52.07%43.37%△8.7056.14
상대원3동53.18%42.75%△10.4356.67
하대원동50.67%46.03%△4.6367.05
도촌동55.68%41.68%△14.0069.66
후보윤영찬신상진격차
거소·선상투표48.90%44.16%△4.74
관외사전투표63.19%32.70%△30.49
재외투표74.10%22.32%△51.79
제1야당 미래통합당에서는 현역 신상진 의원이 이변 없이 단수공천되었다.

여당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은수미가 지선에서 성남시장으로 당선되면서 새 인물이 필요했다. 윤영찬 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 조신 전 국가교육회의 기획단장이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경선 끝에 윤영찬이 승리, 공천이 확정되었다.

그 외 민중당에서는 김미희 전 국회의원이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선거 결과 더불어민주당 윤영찬 후보가 미래통합당 신상진 후보를 상대로 압승하며 지역구를 탈환했다. 민중당 김미희 후보가 윤영찬 후보의 표를 분산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있었으나 현실은 중원구에서 경기동부연합의 위상이 얼마나 추락했는지만 보여주고 말았다. [7]

여담으로 이 선거에서 낙선한 신상진 후보는, 2년 뒤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성남시장으로 당선되었다.

2.4.10. 제2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성남시 중원구
중원구 일원[중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0
00.00%
20
00.00%
30
00.00%
선거인 수투표율
00.00%
투표 수
무효표 수

더불어민주당에서는 현역인 윤영찬 의원이 재선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이 외에 현근택 민주연구원 부원장이 최근 성남시 중원구 쪽에 플랜카드를 거는 등 행보를 보이고 있어서 이 곳으로의 출마가 유력하다.


[1] 성남동, 중앙동, 상대원1동, 상대원2동, 상대원3동, 금광1동, 금광2동, 은행1동, 은행2동.[다만] 중원구는 진보당이, 원당은 정의당 강세 지역이다.[2] 경기도 신도시들이 죄다 민주당 텃밭인 와중에 과천시분당신도시만이 거의 유이하게 보수 초강세 지역이다.[3] 두 번째로 이재명의 득표율이 높은 곳은 성남시 수정구이다.[4] 당선무효[5] 정당해산으로 의원직 상실[6] 성남동, 중동, 단대2동, 단대3동, 은행1동, 상대원1동, 상대원2동, 상대원3동, 분당동, 이매동, 여수동, 판교동, 금곡동, 운중동[중원] A B C D E F G H 성남동, 중앙동, 도촌동, 금광1동, 금광2동, 은행1동, 은행2동, 하대원동, 상대원1동, 상대원2동, 상대원3동.[7] 특히 민주당 지지층 중 젊은 연령층은 NL계열에 대한 비토가 상당히 심하기 때문에, 정의당이 아닌 민중당으로 표가 갈라지는 일은 거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