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N75 (r2판)

편집일시 :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심야버스 N75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기점[1]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진관공영차고지)종점[2]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서림동차고지)
종점
첫차23:30기점
첫차23:30
막차03:30막차03:30
배차간격30~40분 (1일 8회)
운수사명제일여객 / 한남여객운수인가대수8대[3]
노선진관공영차고지 - 구파발역.롯데몰 - 연신내역.로데오거리 - 구산역.예일여고 - 신사오거리.응암역 - 응암오거리 - 명지대학교 - 모래내시장.가좌역 - 동교동삼거리 - 신촌역 - 이대역 - 아현역 - 서대문역 - 광화문 - 시청앞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숙대입구역 - 녹사평역 - 용산구청.크라운호텔 - 반포대교 - 고속터미널 - 반포역 - 논현역 - 신논현역 - 강남역 - 교대역 - 남부터미널 - 성뒤마을.교육연수원 - 예술인마을 - 낙성대입구 - 서울대입구역 - 봉천역 - 신림역 - 서림동차고지


2. 개요[편집]


제일여객한남여객운수에서 운행하는 심야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85.9km다.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2022년 4월 18일에 신설되었다. #


4. 특징[편집]


  • 현존하는 심야버스들 중에서 굴곡이 가장 심하다.[4]

  • N40번의 노선조정 이후 오랜만에 고속터미널을 경유하는 심야버스 노선이다.

  • 사당역에서 평일 한정으로 24시간 운행하는 7770번과 연계된다. 다만 이노선도 N61번처럼 이 노선은 남부순환로상에서 좀 걸어가야한다.

  • N37번과 달리 경기도와의 협의 문제로 신림동 방향 운행 시 동산동능모퉁이.한국지역난방공사(서울시 ID 35-160, 경기도 ID 19-291) 정류소에 정차하지 않는다.

  • 401번[5], 421번[6], 721번[7], 761번[8], 5413번[9], 5516번[10], 7611번[11] 이 조합된 노선이다.

  • 한남여객운수 소속 차량 중에는 무려 전기버스가 존재한다. 어찌보면 전기버스가 처음으로 투입된 심야버스라고 할 수 있다.


5. 연계 철도역[편집]


연계하는 철도역은 많지만, 심야시간에 운행하기 때문에 지하철 환승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굵은 글씨는 막차가 끊기는 역이다.


[1] 제일여객(N75진관) 출발점[2] 한남여객운수(N75신림) 출발점[3] 회사별로 4대씩 배차.[4] 이는 은평구, 서대문구 지역에서의 도심지역 이동 수요와 N61번의 강남 - 신림 구간의 승차량 분산이 동시에 반영된 결과이다.[5] 용산구청~논현역 구간[6] 숭례문~녹사평역 구간[7] 가재울뉴타운~광화문 구간[8] 진관공영차고지~새절역 구간[9] 신림역~성뒤마을 구간[10] 서림동종점~신림역 구간[11] 새절역~아현역 구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