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서석재

덤프버전 :

파일:정부상징(1949-2016).svg
총무처장관
[ 펼치기 · 접기 ]

총무처장 (1948~1955)
초대
허정
제2대
김병연
제3대
전규홍
제4대
한동석
제5대
정운갑

국무원사무국장 (1955~1960)
제6대
문봉제
제7대
신두영

국무원사무처장 (1960~1961)
제8대
이호
제9대
오위영
제10대
정헌주

내각사무처장 (1961~1963)
제11대
김병삼
제12대
이석제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직위명단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장관 부총리 겸 재정경제원장관이경식정재석홍재형나웅배한승수강경식임창열
부총리 겸 통일원장관한완상이영덕이홍구김덕나웅배권오기
외무부장관한승주공로명유종하
내무부장관이해구최형우김용태김우석서정화강운태조해녕
재무부장관홍재형박재윤
법무부장관박희태김두희안우만최상엽김종구
국방부장관권영해이병태이양호김동진
교육부장관오병문김숙희박영식안병영이명현
문화체육부장관이민섭주돈식김영수송태호
농림부장관허신행김양배최인기강운태정시채이효계
상공자원부장관 → 통상산업부장관김철수박재윤안광구임창열정해주
건설부장관허재영고병우김우석
정보통신부장관윤동윤경상현이석채강봉균
환경부장관황산성박윤흔김중위정종택강현욱윤여준
보건사회부장관 → 보건복지부장관박양실송정숙서상목이성호김양배손학규최광
노동부장관이인제남재희이형구진념이기호
건설교통부장관이계익정재석오명추경석이환균
해양수산부장관신상우조정제
정무제1장관김덕룡서청원김윤환김영구주돈식김덕룡신경식홍사덕
정무제2장관권영자김장숙김윤덕이연숙
총무처장관최창윤황영하서석재김기재조해녕김한규심우영
과학기술처장관김시중정근모구본영김용진권숙일
공보처장관오인환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 산업자원위원장
제15대 전반기
손세일
제15대 후반기
서석재
제16대 전반기
박광태

파일:통일민주당 심볼.svg 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사무총장
제2대
박종률
제3대
서석재
제4대
김정수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부산 제2선거구)
제10대
김영삼
박찬종
제11대
서석재

곽정출
선거구 조정
서석재[A]
곽정출[A]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부산 서구·사하구)
선거구 조정
서석재[B]
곽정출[B]
제12대
서석재

곽정출
선거구 조정
김영삼[1]
서석재[2]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부산 사하구)
선거구 개편
서석재[C]
곽정출[C]
제13-14대
서석재
[3]
제14대
박종웅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부산 사하구 갑)
선거구 개편
박종웅[4]
제15대
서석재
제16-17대
엄호성

[A] A B 서구·사하구 선거구의 제12대 국회의원 이다.[B] A B 부산 제2선거구의 제11대 국회의원 이다.[1] 서구 선거구의 제13대 국회의원 이다.[2] 사하구 선거구의 제13대 국회의원 이다.[C] A B 서구·사하구 선거구의 제12대 국회의원 이다.[3] 의원직 상실[4] 사하구 선거구의 제14대 국회의원 이다.

대한민국 제29대 총무처 장관
서석재
徐錫宰 | Seo Seok-jae
파일:서석재.jpg
출생1935년 2월 15일
경상남도 창원군 진전면
(現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사망2009년 12월 26일 (향년 74세)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 삼성서울병원
본관달성 서씨
재임기간제29대 총무처 장관
1994년 12월 24일 ~ 1995년 8월 3일
[ 펼치기 · 접기 ]

배우자전순발
자녀2남 3녀
학력부산중학교 (졸업)
부산고등학교 (졸업)
동아대학교 (경제학 / 학사)
병역대한민국 육군 일병 귀휴전역
종교불교
신체164cm
의원 선수5
의원 대수11, 12, 13, 14, 15
경력동아고등학교 교사
신민당 총재[1] 비서관
신민당 조직국장
민주한국당 조직위원회 부위원장
제11대 국회의원 (부산 서구 / 민주한국당)
민주한국당 정무위원
민주한국당 원내부총무
민주한국당 부산직할시 지부장
제12대 국회의원 (부산 사하구 / 신한민주당)
제12대 국회 전반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간사
민주화추진협의회 상임위원
제13대 국회의원 (부산 사하구 / 통일민주당)
통일민주당 당무위원
통일민주당 조직강화특별위원회 위원장
통일민주당 중앙당 기획위원장
통일민주당 사무총장
제14대 국회의원 (부산 사하구 / 무소속)
민주자유당 당무위원
제29대 총무처 장관 (문민정부)
제15대 국회의원 (부산 사하구 갑 / 신한국당)
국민신당 최고위원
제15대 국회 후반기 산업자원위원회 위원장
새정치국민회의 부총재
국민통합21 선거대책위원회 고문단장
국민통합21 상임고문
열린우리당 특임고문
이투데이 대표이사 회장

[1] 김영삼 총재

1. 개요
2. 생애
3. 기타
4. 소속 정당
5. 선거 이력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


2. 생애[편집]


1935년 2월 15일 경상남도 창원군 진전면[1]에서 태어났다. 부산고등학교[2], 동아대학교를 졸업하고 부산 동아고등학교 교사로 재직하였다. 1968년 당시 신민당 국회의원 김영삼의 비서관으로 정치계에 입문하였다.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한국당 후보로 부산직할시 서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정의당 곽정출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민주한국당을 탈당하여 신한민주당에 입당하였고, 해당 선거에서 신한민주당 후보로 부산직할시 서구-사하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역시 민주정의당 곽정출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87년 김영삼이 신한민주당을 탈당하여 통일민주당을 창당하자 그를 따라 통일민주당으로 들어갔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일민주당 후보로 부산직할시 사하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통일민주당 사무총장으로 활동하였다. 그러나 1989년 동해시 국회의원 재보궐선거(선거무효소송 인용판결로 인한 민주정의당 홍희표 국회의원의 의원직 상실)에서 신민주공화당 이홍섭 후보 매수 사건에 연루되어 구속되었다.[3] 이 여파로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자유당의 공천을 받지 못하였고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그 해의 제14대 대통령 선거 당시 전국의 불교조직과 사조직 '나라사랑실천본부'(나사본)를 관리하며 '김영삼 대통령 만들기'에 결정적 역할을 했다. 그러나 1993년에 1989년의 후보 매수사건에 대한 대법원 확정판결로 의원직을 상실하였다. 이후 1993년 성탄절 특사로 사면복권되면서 피선거권을 회복했다.#

1994년 12월 김영삼 대통령에 의하여 총무처 장관으로 임명되었다. 1995년 전직 대통령 4천억 비자금 설을 주장하여 노태우를 공격했다가 장관직에서 사퇴하였다. 그러나 이후 박계동의 노태우 5천억 비자금, 전두환 5천억 비자금 폭로로 이어지면서 전직 대통령 비자금 사건 수사 및 5.18 민주화운동, 12.12 군사반란 관련 재판을 이끌어냈다. 자세한 내용은 1995년 노태우 비자금 사건 참고.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국당 후보로 부산광역시 사하구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4] 1997년 제15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김영삼이회창 사이에 감정이 악화되자 신한국당을 탈당해 이인제국민신당에 입당했다.[5] 이후 1998년 국민신당과 새정치국민회의의 통합으로 새정치국민회의로 당적을 옮겨 부총재를 지냈다. 또한 대한민국 국회 산업자원위원장을 역임하였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을 탈당하여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엄호성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02년 제16대 대통령 선거 당시에는 정몽준국민통합21에 몸담기도 했다.

2009년 12월 26일 숙환으로 별세했다.


3. 기타[편집]


그의 비서로 정치에 입문한 박재호는 현재 더불어민주당 소속 국회의원이다.


4.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ta-hash-start=w-f5b0e516bb635da95ca6c4d230800d44[[파일:민중당(1965년) 흰색 로고타입.svg
1966 - 1967정계 입문

ta-hash-start=w-9111aa5bef3f0de7ffb46447f0fe687c[[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1967 - 1969합당[6]
정계 입문

무소속

1969자진 정당 해산

ta-hash-start=w-abe6e2d00d0d6fd6f3e9d361944ff0dd[[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1969 - 1980정당 재등록

무소속

1980 - 1985정당 해산

ta-hash-start=w-befa1d1faf9bc95c1a29d30ea9a751a2[[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1981 - 1985창당

무소속

1985탈당[7]

파일:신한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985 - 1987창당

무소속

1987탈당[8]

ta-hash-start=w-c7194685a175f368541ec160792b2a7c[[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987 - 1990창당

ta-hash-start=w-74d4f365b7b005b6c8a3d1cc4251aab0[[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990 - 1991합당[9]

무소속

1991 - 1992탈당[10]

ta-hash-start=w-9b7b0109c992b2904b1cb4640cebc223[[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992 - 1995입당

ta-hash-start=w-71b8f4c91921e25092de624c38a95691[[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1995 - 1997당명 변경

무소속

1997탈당[11]

ta-hash-start=w-f05d42369013b74d2a2dc2074a7ef99a[[파일:국민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1997 - 1998창당

ta-hash-start=w-b7ccf7d1f8918ac61f426ce8a55fae37[[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1998 - 2000합당[12]

ta-hash-start=w-354680832fcea7e2b7057a5ac2c489f8[[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0합당[13]

무소속

2000 - 2002탈당[14]
2002입당
2002 - 2005탈당
2005 - 2007입당
2007합당[15]
2007 - 2009탈당
정계 은퇴
사망

5.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81제11대 국회의원 선거부산 2[A]74,447 (39.06%)당선 (1위)초선[16]
1985제12대 국회의원 선거부산 2[B]122,309 (51.74%)재선[17]
1988제13대 국회의원 선거부산 사하83,731 (58.71%)3선[18]
1992제14대 국회의원 선거68,300 (44.73%)4선[19]
1996제15대 국회의원 선거부산 사하 갑44,988 (64.41%)5선[20]
2000제16대 국회의원 선거9,257 (13.95%)낙선 (2위)[21]

역대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파일:ECM0120060058_0166S-1.png
파일:ECM0120060062_0102S-1.png
11대 총선 (부산 2[A])12대 총선 (부산 2[B])
파일:ECM0120060065_0081S-1.png
파일:ECM0120060135_0071S-1.png
13대 총선 (부산 사하구)14대 총선 (부산 사하구)
파일:ECM0120060195_0039S-1.png
파일:ECM0120060225_0057S-1.png
15대 총선 (부산 사하구 갑)16대 총선 (부산 사하구 갑)

[A] 서구[B] 사하구

6. 둘러보기[편집]









[1]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2] 강경식 장관이 부산고 8회 동기생이다.[3] 참고로 이홍섭 후보가 통일민주당 이관형 후보와 묵호초등학교 동창생이었다.[4] 이 당시 경쟁 후보로 통합민주당 조경태가 있었다.[5] 이때 15대 총선때 맞대결하던 조경태가 오히려 신한국당의 후신 새누리당으로 넘어왔다.[6] 신한당과 신설 합당.[7] 신한민주당 창당을 위한 탈당.[8]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9] 민주정의당, 신민주공화당과 신설 합당, 이른바 3당 합당.[10] 공천 불복으로 인한 탈당.[11] 국민신당 창당을 위한 탈당.[12] 새정치국민회의에 흡수 합당.[13] 새천년민주당에 흡수 합당.[14] 당시 부산지역 정서를 고려하면 민주당계 정당 타이틀로 당선되기가 희박했기 때문에 무소속으로 총선 출마했다.[15] 대통합민주신당에 흡수 합당.[A] 서구[16] 1985년 탈당
신한민주당 입당
[B] 사하구[17] 1987년 탈당
통일민주당 입당
[18] 1990년 민주자유당 합류(3당합당)
1991년 탈당(1989년 후보 매수사건)
[19] 1992년 민주자유당 입당, 1993년 피선거권 상실로 인한 의원직 상실(1989년 후보 매수사건)[20] 1997년 탈당, 국민신당 창당
1998년 새정치국민회의 흡수합당
2000년 탈당
[21] 6번 선거 중 첫 낙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