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샤니아 트웨인

덤프버전 :

샤니아 트웨인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세계 앨범 판매량 순위
List of best-selling albums
[ 펼치기 · 접기 ]

1위2위3위4위5위
파일:05103710_zi (2).jpg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71-gWXFAK9L._SL1500_.jpg
파일:보디가드사운드트랙.jpg
파일:Bat_Out_of_Hell.jpg
파일:spotifytheirgh.jpg
마이클 잭슨AC/DC휘트니 휴스턴&VA미트 로프이글스
ThrillerBack in BlackThe Bodyguard OSTBat Out of HellTheir Greatest Hits (1971–1975)
70,000,000장50,000,000장45,000,000장44,000,000장44,000,000장
6위7위8위9위10위
파일:The Dark Side of the Moon.jpg
파일:saturdaynightfever.jpg
파일:1977rumours.png
파일:spotifycoo.jpg
파일:Grease The Original Soundtrack from the Motion Picture.jpg
핑크 플로이드비 지스&VA플리트우드 맥샤니아 트웨인Various Artists
The Dark Side of the MoonSaturday Night Fever SoundtrackRumoursCome On OverGrease: The Original Soundtrack from the Motion Picture
44,000,000장40,000,000장40,000,000장40,000,000장38,000,000장
같이보기 : 세계 앨범 판매량 순위 (영국 / 미국), 연도별 최다 판매 앨범, 세계 음악가 음반 판매량




[ 1위 – 100위 ]

※ 2015년 빌보드가 발표한 빌보드 200 차트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 순위다. 얼마나 많은 앨범들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유지했는가를 기준으로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앨범을 많이 낸 뮤지션들이 더 유리한 결과가 나올 가능성도 크다.
1위2위3위4위5위
비틀즈롤링 스톤스바브라 스트라이샌드가스 브룩스엘튼 존
6위7위8위9위10위
머라이어 캐리허브 앨퍼트테일러 스위프트시카고마이클 잭슨
11위12위13위14위15위
레드 제플린브루스 스프링스틴 & E 스트리트 밴드로드 스튜어트에미넴휘트니 휴스턴
16위17위18위19위20위
빌리 조엘마돈나산타나이글스플리트우드 맥
21위22위23위24위25위
밥 딜런스티비 원더셀린 디옹에릭 클랩튼닐 다이아몬드
26위27위28위29위30위
존 덴버핑크 플로이드자넷 잭슨프린스캐롤 킹
31위32위33위34위35위
마일리 사이러스니켈백팀 맥그로밴 헤일런비치 보이스
36위37위38위39위40위
U2아델엘비스 프레슬리브리트니 스피어스어셔
41위42위43위44위45위
템테이션스린킨 파크JAY-Z앨런 잭슨본 조비
46위47위48위49위50위
건즈 앤 로지스샤니아 트웨인캐리 언더우드몽키즈에어로스미스
51위52위53위54위55위
제임스 테일러슈프림즈앨리샤 키스메탈리카데프 레파드
56위57위58위59위60위
폴 매카트니린다 론스태드저니메리 제이 블라이즈제쓰로 툴
61위62위63위64위65위
래스컬 플래츠포리너존 멜렌캠프사이먼 앤 가펑클케니 체스니
66위67위68위69위70위
키드 락앤디 윌리엄스조지 스트레이트백스트리트 보이즈마이클 볼튼
71위72위73위74위75위
피터 폴 앤 메리라이오넬 리치아레사 프랭클린요세프/캣 스티븐스밥 시거
76위77위78위79위80위
AC/DC비욘세펄 잼토비 키스더 후
81위82위83위84위85위
폴 사이먼무디 블루스저스틴 비버노라 존스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86위87위88위89위90위
넬리두비 브라더스핑크조쉬 그로반닐 영
91위92위93위94위95위
프랭크 시나트라그린 데이더 칙스어스 윈드 앤 파이어하트
96위97위98위99위100위
레이디 가가R. 켈리보이즈 투 멘케니 지비 지스
{{{-2 출처 같이 보기: 같이 보기: 빌보드 차트 올타임 아티스트 -
아티스트, 싱글, 남성(싱글), 여성(싱글)}}}





[ 펼치기 · 접기 ]

※ 2018년 빌보드에서 Hot 100 차트 60주년 기념으로 1958년부터 2018년까지 차트에 오른 곡들을 분석해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둔 여성 아티스트들을 발표했다. 얼마나 많은 싱글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오래 유지했는가를 누적치로 계산하여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영향력이나 음악성과 같은 평론적인 요소들이 반영된 것은 아니며 순전히 상업적인 성공도가 기준이다.
1위2위3위4위5위
마돈나머라이어 캐리자넷 잭슨휘트니 휴스턴리아나
6위7위8위9위10위
올리비아 뉴튼 존아레사 프랭클린테일러 스위프트케이티 페리다이애나 로스
11위12위13위14위15위
도나 서머코니 프랜시스비욘세브렌다 리바브라 스트라이샌드
16위17위18위19위20위
셰어핑크글로리아 에스테판레이디 가가디온 워윅
21위22위23위24위25위
폴라 압둘앨리샤 키스켈리 클락슨린다 론스태트셀린 디옹
26위27위28위29위30위
브리트니 스피어스토니 브랙스턴아델제니퍼 로페즈크리스티나 아길레라
31위32위33위34위35위
모니카
헬렌 레디
신디 로퍼니키 미나즈로버타 플랙테일러 데인
36위37위38위39위40위
메리 제이 블라이즈티나 터너케샤데비 깁슨시나 이스턴
41위42위43위44위45위
칼리 사이먼브랜디마일리 사이러스페툴라 클라크퍼기
46위47위48위49위50위
나탈리 콜알리야베트 미들러아샨티앤 머레이
51위52위53위54위55위
팻 베네타에이브릴 라빈조디 워틀리샤카 칸페이스 힐
56위57위58위59위60위
미시 엘리엇에이미 그랜트스티비 닉스캐롤 킹쥬스 뉴턴
{{{-2 출처 같이 보기: 틀:빌보드 차트 올타임 남성 아티스트,
틀:빌보드 차트 올타임 아티스트}}}




파일:68851B94-96D5-40BE-8370-02BA69ECD8DF.png
OC[1]
파일:E29654FF-977F-45B4-8021-733C3816B59E.jpg
이름Shania Twain[2][3]
샤니아 트웨인
본명Eilleen Regina Edwards
아일린 레지나 에드워즈
출생1965년 8월 28일 (58세)
캐나다 온타리오 주 윈저
국적
파일:캐나다 국기.svg

직업가수, 배우, 작가, 프로듀서
데뷔1993년 앨범 ‘Shania Twain’
배우자로버트 존 머트 랭(1993년~2010년)
프레데릭 티보드(2011년~현재)
자녀에자 랭(2001년생)[4]
신체160cm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IMDb 로고.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
2. 출생과 어린 시절
3. 데뷔
4. 디스코그래피
4.1. 앨범
4.2. 싱글
5. 수상
6. 뮤직비디오
7. 가정사
8. 기타



1. 개요[편집]


파일:9CA0E532-C57B-43E2-B04A-3D4E4D3C4FA1.jpg

Queen of Country Pop[5]


캐나다 출신의 전설적인 싱어송라이터.

가스 브룩스가 1980년대에 컨트리 음악의 대중성을 널리 알려서 공헌을 했다면 샤니아 트웨인은 1990년대를 장악하여 보수적인 컨트리 음악에서 여성이 슈퍼스타로 돋아날 계기를 마련함과 동시에 팝과 컨트리를 접목시킨 크로스 오버 장르로 선구적인 성과를 일으켰다. 특히 ‘The Woman In Me’[6], ‘Come On Over[7], ‘Up!’[8] 이 세 앨범은 연이어 미국 판매량 1천만 장을 돌파하는 괴력을 발휘했는데, 특히 ‘You're Still The One’으로 유명한 앨범 ‘Come On Over’는 2021년 현재 4천만 장 판매고를 돌파하여 여성 솔로 가수 앨범 판매고 1위를 기록하고 있는 중이다. 외모 면에서도 테일러 스위프트 이전엔 이 사람이 있었다고 할 정도로 넘사벽의 미모를 자랑한다.[9]


2. 출생과 어린 시절[편집]


1965년 캐나다 온타리오 윈저(Windsor)에서 클래런스 에드워즈(Clarence Edwards)와 샤론 에드워즈(Sharon Edwards) 사이의 세 자매 중 둘째딸로 태어난다. 2살 때 부모가 이혼하여 어머니와 가족들과 함께 티민스(Timmins)로 이주하였고 그 곳에서 어머니는 오지브와족 인디언인 제리 트웨인(Jerry Twain)과 재혼한다. 이후 성은 트웨인으로 바뀌게 된다.
어려운 경제 사정으로 일찌기 사냥과 벌목을 배웠고 가족 부양을 위해 맥도날드 아르바이트와 클럽에서 노래를 부르며 돈을 벌었다. 10살 때부터 이미 작사를 시작했을 정도. 1987년 어머니와 양아버지가 교통사고로 사망하자 남은 형제들[10]을 부양하기 위해 온타리오 주 헌츠빌로 이주하여 그 곳의 리조트 근처에서 노래를 부르며 돈을 번다.


3. 데뷔[편집]


가족들이 독립을 한후 1993년 데모테이프를 머큐리 내쉬빌 레코드사에 보내 계약을 맺는다. 이 시기에 이름을 "샤니아"[11]로 개명한 후 북미에서 데뷔 앨범을 발매하는데 이는 캐나다까지 관심을 갖게 된다. 성적은 미국 컨트리 앨범 차트에서 67위에 그쳤지만 평론가들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으며 유럽에선 더 큰 인기를 얻는다. 이후 Country Music Television Europe의 올해의 뜨는 비디오 스타 상(Rising Video Star of the Year Award)을 받는다.


4. 디스코그래피[편집]



4.1. 앨범[편집]


Shania Twain 앨범 차트인 기록
연도앨범명파일:빌보드 로고.svg파일:오피셜 차트 로고.svg비고
1993Shania Twain-#1131집
1995The Woman in Me#5#72집
1997Come On Over#2#13집
2002Up!#1#44집
2017Now#1#15집
2023Queen of Me#10#16집


4.2. 싱글[편집]


Shania Twain 싱글 차트인 기록
연도곡명파일:빌보드 로고.svg파일:오피셜 차트 로고.svg비고
1995Whose Bed Have Your Boots Been Under?#31-
Any Man of Mine#31#118
The Woman in Me (Needs the Man in You)#74-
(If You're Not in It for Love) I'm Outta Here!#74
1996You Win My Love-[12]
God Bless the Child#75
1997Love Gets Me Every Time#25
Don't Be Stupid (You Know I Love You)#40#5
1998You're Still the One#2#10
From This Moment On#4#9
When-#18
That Don't Impress Me Much#7#3
1999Man! I Feel Like a Woman!#23#3
You've Got a Way#49-
Come On Over#58
2000I'm Holdin' On to Love (To Save My Life)-[13]
2002I'm Gonna Getcha Good!#34#4
2003Up!#63#21
Ka-Ching!-#8
Forever and for Always#20#6
Thank You Baby! (For Makin' Someday Come So Soon)-#11
She's Not Just a Pretty Face#56-
When You Kiss Me-#21
2004It Only Hurts When I'm Breathing#71-
Party for Two#58#10[14]
2005Don't!-[15]#30
2011Today Is Your Day#66-
2012Endless Love-[16][17]
2023Unhealthy-#20[18]


5. 수상[편집]


  • 제38회 그래미 어워드 최우수 컨트리 앨범상
  • 제41회 그래미 어워드 최우수 컨트리 노래상
  • 제41회 그래미 어워드 최우수 여성 컨트리 보컬상
  • 제42회 그래미 어워드 최우수 컨트리 노래상
  • 제42회 그래미 어워드 최우수 여성 컨트리 보컬상


6. 뮤직비디오[편집]


You’re still the one (1998년 호주 멜버른 라이브)

Honey, I’m home (1999년 마이애미 라이브)

Up! (2003년 시카고 라이브)


정규 앨범 Come on Over에 수록된 곡. 가사 내용 중에 브래드 피트가 들어가 있단 이유로 화제를 불러 일으켰는데 가사 내용은 "당신이 브래드 피트라고? 그래서 어쩌라는건지." 대략 이런 의미이다.






7. 가정사[편집]


안 그래도 소녀가장으로 시작한 샤니아 트웨인이었고 부양 가족들이 너무 많다는 이유로 해외투어를 잘 하지 못했다.
그러던 와중 데뷔 시기부터 함께한 프로듀서이자 남편이었던 17세 연상의 로버트 존 머트 랭(Robert John Mutt Lange)과 2008년 별거에 들어갔음이 샤니아 트웨인측에서 공식적으로 발표된다.
이전까지 남편 로버트는 대중 앞에 잘 나서지 않는 은둔 성향의 인물로 유명했고[19] 잉꼬부부로서의 애정을 과시했지만[20] 남편 로버트는 불륜을 하게 되는데 하필이면 불륜 상대가 샤니아 트웨인의 절친인 마리 앤 티보였던 것이다. 충격을 받은 샤니아는 이후 poor me라는 곡으로 자신의 심경을 담은 곡을 내보이면서 이 후 2년 동안 절망에 빠져 지낸다. 2010년 결국 둘은 이혼하여 15년의 결혼생활에 종지부를 찍는다. 그리고 샤니아 트웨인은 남편을 빼앗은 친구 마리 앤 티보의 전 남편인 프레데릭 티보와 2011년 재혼한다.


8. 기타[편집]


  • 아일랜드계와 북아일랜드&잉글랜드계, 프랑스계, 포르투갈계, 스위스-독일계 캐나다인, 와이언도트 캐나다 원주민 조상이 있다.[21]

  • 2012년 자서전에서 양아버지로부터 어린 시절부터 폭행과 성추행을 당했음을 밝혔고# 2017년 식스티미니츠(60 minutes)에서도 언급하였다.#

  • 2018년 가디언지와의 인터뷰 중 다음 발언으로 반 트럼프 팬들로부터 비난을 받은 후 사과했다. "저[22]라면 트럼프에게 투표했을거에요. 그 사람은 공격적이긴 하지만 솔직해 보였기 때문이에요. 여러분들은 솔직한 것과 예의바른 것 중 무얼 원하세요? 둘 중 하나만 골라야만 한다면? 제가 투표한다면 저는 허튼소리들은 원치않아요. 저라면 투명하게 느껴지는 쪽에 투표했었을거에요. 그리고 정치라는게 투명하지 못하다는 평판을 갖고 있죠, 그렇지 않나요?"("I would have voted for him because, even though he was offensive, he seemed honest. Do you want straight or polite? Not that you shouldn't be able to have both. If I were voting, I just don't want bullshit. I would have voted for a feeling that it was transparent. And politics has a reputation of not being that, right?")

  • 90년대 세계적인 캐나다 가수 출신이라 그런지 셀린 디옹과 친분이 두텁다. 인터뷰에서 셀린 디옹의 영향을 받았고 친한 바를 밝힌 적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23:46:32에 나무위키 샤니아 트웨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캐나다 훈장, 오피서(Officer)[2] 1967년~1992년까지는 예명을 아일린 트웨인으로 썼다.[3] 미국 표준 발음은 "샤나야(샤나이아)"인데, Shania를 "샤니아"로 발음하는 경우도 많이 볼 수 있다. 영어에는 발음이 두 개 이상으로 갈리는 경우가 많은데, 이 Shania도 그런 경우 중 하나이다.[4] 전남편 로버트와의 아들이다.[5] https://en.wikipedia.org/wiki/Honorific_nicknames_in_popular_music#T[6] 1,200만 장[7] 4,000만 장[8] 1,100만 장[9] 10대 티가 물씬 나는 테일러와 달리, 샤니아는 섹시함의 그 자체이다.[10] 자매들 외에 친모와 양부 사이에서 아들 마크(Mark)가 태어났고, 양부 제리는 그의 고아 조카 대릴(Darryl)을 입양하였다.[11] 오지브와족 말로 "나의 길을 간다"라는 의미이다[12] 버블링 언더 #8[13] 버블링 언더 #2[14] with Billy Currington[15] 버블링 언더 #22[16] 버블링 언더 #16[17] Lionel Richie의 곡을 피처링[18] Anne-Marie의 곡을 피처링[19] 인도의 금욕적 밀교를 따른 삶을 사는 인물이었으며 금주를 철저히 따르는 신조에 따라 샤니아 트웨인과의 결혼식에서도 샴페인 조차 들이지 않았다.[20] 남편 로버트는 샤니아와의 결혼식에서 브라이언 아담스과 같이 만든 곡인 (Everything I Do) I Do It For You(브라이언 아담스의 1991년 6집 앨범에 실려 미국과 영국에서 수주동안 1위를 하였고 같은 해 개봉한 케빈 코스트너 주연의 영화 '로빈 후드' OST에도 실렸다)를 불렀고, 샤니아는 자신과 남편 이야기를 토대로 You Are Still The One을 썼다.[21] 출처: EthniCelebs Shania Twain.[22] 그녀는 캐나다 국적이므로 미국 대선 투표권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