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부경대학교

덤프버전 :




파일:부경대학교 심볼.svg 부경대학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국립고등교육기관
[ 펼치기 · 접기 ]

지역명
대학교육대학
파일: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심볼.svg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 · 파일:인천대학교 엠블럼.svg 인천대학교
파일:한경국립대학교 UI.svg파일:한경국립대학교 UI 블루.svg 한경국립대학교 · 파일:한국체육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체육대학교
파일:경인교육대학교 엠블럼.svg 경인교육대학교 · 파일:서울교육대학교 교표.svg 서울교육대학교
파일:강릉원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강릉원주대학교 · 파일:강원대학교 엠블럼.svg 강원대학교파일:춘천교육대학교 엠블럼.svg 춘천교육대학교
파일:공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공주대학교 · 파일:충남대학교 엠블럼(Blue).svg 충남대학교 · 파일:충북대학교 심볼.svg 충북대학교
파일:한국교원대학교 심볼.svg 한국교원대학교 · 파일:한국교통대학교 심볼.svg 국립한국교통대학교 · 파일:한밭대학교 엠블럼.svg 국립한밭대학교
파일:공주교육대학교 교표.svg 공주교육대학교 · 파일:청주교육대학교 엠블럼.svg 청주교육대학교
파일:경북대학교 엠블럼.svg 경북대학교 · 파일:경상국립대학교 엠블럼.svg 경상국립대학교 · 파일:금오공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금오공과대학교 · 파일:부경대학교 엠블럼.svg 국립부경대학교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 · 파일:안동대학교 엠블럼마크(원).png 국립안동대학교 · 파일:창원대학교 심볼.svg 국립창원대학교 · 파일:KMOU_LOGO.png 국립한국해양대학교
파일:대구교육대학교 엠블럼.svg 대구교육대학교 · 파일:부산교육대학교 로고.svg 부산교육대학교
파일:진주교육대학교 UI.svg 진주교육대학교
파일:군산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군산대학교 · 파일:목포대학교 심볼.svg 국립목포대학교 · 파일:목포해양대학교 교표.svg 국립목포해양대학교
파일:순천대학교 엠블럼.svg 국립순천대학교 · 파일:전남대학교 교표.svg 전남대학교 · 파일:JBNU EMBLEM_B.png 전북대학교
파일:광주교육대학교 UI.svg 광주교육대학교 · 파일:전주교육대학교 엠블럼.svg 전주교육대학교
파일:제주대학교 엠블럼.svg 제주대학교-
분류명칭
파일:한국방송통신대학교 심볼.svg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파일:한국농수산대학교 UI.svg 한국농수산대학교
파일:한예종_엠블럼.svg 한국예술종합학교
파일: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엠블럼.svg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 파일: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 엠블럼.svg 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 파일:한국학중앙연구원 엠블럼.svg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파일:KAIST_emblem.svg 한국과학기술원 · 파일:GIST_emblem.svg 광주과학기술원 · 파일:DGIST_emblem.svg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파일:UNIST_emblem.svg 울산과학기술원
파일:공군사관학교 마크.svg 공군사관학교 · 파일:국군간호사관학교 마크.svg 국군간호사관학교 · 파일:육군사관학교 부대마크.svg 육군사관학교 · 파일:육군3사관학교 부대마크.svg 육군3사관학교 · 파일:해군사관학교 마크.svg 해군사관학교
그 외
파일:국방대학교 엠블럼.svg 국방대학교
파일:경찰대학 엠블럼.svg 경찰대학 · 파일:한국전통문화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전통문화대학교 · 파일: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의 대학
[ 펼치기 · 접기 ]
각 대학의 제1캠퍼스(본교)는 캠퍼스를 표기하지 않고, 2캠퍼스(이원화)부터 "OO대학교(AA캠퍼스)"과 같이 표기함. 분교는 캠퍼스명 표시에서 OO대학교 AA캠퍼스로 괄호 없이 표시함.

이원화캠퍼스 목록 / 전문대학 목록 / 대학 목록 / 원격대학 목록


파일:한국공학교육인증원 로고.svg
[ 펼치기 · 접기 ]

2020학년도 기준
대학EACCACETAC어코드대학EACCACETAC어코드
가천대학교O--워싱턴가톨릭대학교O--워싱턴
강릉원주대학교OO-서울/워싱턴강원대학교O--워싱턴
거제대학교--O시드니건국대학교OO-서울/워싱턴
건양대학교OO-서울/워싱턴경기대학교OO-서울/워싱턴
경남대학교OO-워싱턴경복대학교--O더블린
경북대학교OO-서울/워싱턴경상국립대학교O--워싱턴
경성대학교OO-서울/워싱턴경일대학교O--워싱턴
경희대학교OO-서울/워싱턴계명대학교OO-워싱턴
고려대학교O--워싱턴국립공주대학교(천안)O--워싱턴
광운대학교OO-서울/워싱턴구미대학교--O더블린
국민대학교OO-서울/워싱턴군산대학교O--워싱턴
금오공과대학교OO-서울/워싱턴단국대학교(죽전)OO-서울/워싱턴
단국대학교(천안)O--서울/워싱턴대구대학교O--워싱턴
대덕대학교--O더블린/시드니대진대학교O--워싱턴
동국대학교OO-서울/워싱턴동국대학교(WISE)O--워싱턴
동명대학교OO-서울/워싱턴동서대학교O--워싱턴
동서울대학교--O더블린/시드니동신대학교OO-서울/워싱턴
동아대학교OO-서울/워싱턴동원대학교--O시드니
동의과학대학교--O더블린동의대학교OO-서울/워싱턴
두원공과대학교--O더블린/시드니마산대학교--O더블린
명지대학교OO-서울/워싱턴목원대학교O--워싱턴
목포대학교OO-서울/워싱턴부경대학교O--워싱턴
부산대학교OO-워싱턴백석대학교-O-서울
상명대학교(서울)-O-서울상명대학교(천안)O--워싱턴
상지대학교O--워싱턴서강대학교OO-서울/워싱턴
서영대학교--O더블린서울과학기술대학교OO-서울/워싱턴
서울대학교O--워싱턴서울시립대학교O--워싱턴
선문대학교OO-서울/워싱턴성결대학교OO-서울/워싱턴
성균관대학교OO-서울/워싱턴세종대학교OO-서울/워싱턴
수원과학대학교--O더블린숙명여자대학교-O-서울
순천대학교OO-서울/워싱턴순천향대학교O--워싱턴
숭실대학교OO-서울/워싱턴신라대학교O--워싱턴
아주대학교OO-서울/워싱턴아주자동차대학교--O더블린
국립안동대학교OO-서울/워싱턴연성대학교--O시드니
연세대학교OO-서울/워싱턴영남대학교OO-서울/워싱턴
영남이공대학교--O더블린/시드니영진전문대--O더블린
울산과학대학교--O시드니/더블린울산대학교OO-서울/워싱턴
원광대학교OO-서울/워싱턴이화여자대학교OO-서울/워싱턴
인제대학교OO-서울/워싱턴인천대학교O--워싱턴
인하대학교O--워싱턴전남대학교OO-서울/워싱턴
전북대학교OO-서울/워싱턴전주대학교O--워싱턴
제주대학교O--워싱턴제주한라대학교--O시드니/더블린
조선대학교OO-워싱턴중앙대학교OO-서울/워싱턴
창원대학교O--워싱턴청주대학교OO-서울/워싱턴
충남대학교OO-서울/워싱턴충북대학교OO-서울/워싱턴
한경국립대학교O--워싱턴한국공학대학교OO-서울/워싱턴
한국교통대학교OO-서울/워싱턴한국기술교육대학교O--워싱턴
한국외국어대학교O--워싱턴한국항공대학교OO-서울/워싱턴
한국해양대학교OO-서울/워싱턴한남대학교OO-서울/워싱턴
한동대학교OO-서울/워싱턴한라대학교OO-서울/워싱턴
국립한밭대학교OO-서울/워싱턴한성대학교O--워싱턴
한신대학교O--워싱턴한양대학교-O-워싱턴
한양대학교 ERICA-O-워싱턴호남대학교O--워싱턴
호서대학교OO-서울/워싱턴호원대학교-O-서울
홍익대학교(서울)OO-서울/워싱턴홍익대학교(세종)O--워싱턴



파일:한국건축학교육인증원 로고.svg
[ 펼치기 · 접기 ]

국내 건축학교육 인증프로그램
프로그램홈페이지인증기간
가톨릭관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14-2028
강원대학교(춘천)
문화예술공과대학
건축학과
#2008-2023
건국대학교
#대학원석사
건축전문대학원
#2009-2024
경기대학교
창의공과대학
건축학전공
#2009-2025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건설환경공과대학
건축학과
#2018-2023
경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2020-2023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09-2024
경상국립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2011-2026
경성대학교
공과대학 건축디자인학부
건축학전공
#2021-2026
경일대학교
SMART인프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21-2025
경희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2013-2028
계명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토목공학부
건축학전공
#2018-2022
광운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2014-2027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2012-2022
국립공주대학교
천안공과대학
건축학과
#2014-2024
국민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건축설계전공
#2010-2026
금오공과대학교
공학계열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17-2025
남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2017-2028
단국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10-2023
동국대학교
#대학원석사
일반대학원 건축공학과(4+2)
#2017-2026
동명대학교
건축•디자인대학 건축학부
건축학과(5년)
#2018-2022
동서대학교
건축토목계열
건축학과
#2012-2023
동아대학교
디자인환경대학
건축학과
#2009-2025
동의대학교
공과대학 건설공학부
건축학전공
#2013-2024
대구가톨릭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2014-2025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07-2022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전통건축전공
#2017-2022
목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20-2025
목포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2011-2026
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2008-2023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건설융합학부
건축학전공
#2011-2028
배재대학교
문화예술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17-2025
삼육대학교
문화예술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17-202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08-2023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전공
#2007-2022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07-2022
선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12-2023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2009-2023
세종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부
건축학전공
#2011-2026
순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2019-2023
순천향대학교
SCH미디어랩스
건축학과
#2022-2027
숭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12-2027
신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5년제)
#2022-2025
아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전공
#2011-2026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
건축학전공
#2009-2025
영남대학교
건축학전공
#2008-2026
울산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08-2024
원광대학교
창의공과대학
건축학과
#2016-2024
이화여자대학교
엘텍공과대학 미래사회공학부
건축학전공
#2011-2026
인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2022-2027
인천대학교
#대학원석사
일반대학원 건축학과(4+2)
#2021-2025
인하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14-2024
전남대학교(광주)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도시설계전공
#2011-2026
전남대학교(여수)
공학대학
건축디자인학과
#2022-2026
전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2017-2023
조선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2012-2023
중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14-2024
제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12-2024
창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2017-2028
청주대학교
공과대학 휴먼환경디자인학부
건축학ㆍ건축공학전공
#2012-2023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2008-2023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2012-2022
한경국립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학부
건축학전공
#2013-2024
한국교통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과
#2010-2026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건축과
#2015-2026
한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2015-2026
국립한밭대학교
건설환경조형대학
건축학과
#2010-2025
한양대학교 서울
공과대학
건축학부
#2008-2023
한양대학교 ERICA
공학대학
건축학부
#2009-2023
호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2009-2025
홍익대학교(서울)
건축도시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007-2023
홍익대학교(세종)
과학기술대학 건축공학부
건축디자인전공
#2012-2023
국외 건축학교육 인증프로그램
프로그램홈페이지인증기간
인도네시아 반둥공과대학교
#대학원석사
(ITB, Institute Technology Bandung)
#2016-2024
인도네시아 이슬람대학교
(UII, University Islam Indonesia)
#2017-2025
인도네시아 가자마다대학교
(UGM, Universitas Gadjah Mada)
#2020-2022
* 대학교학사 : 대학교 건축학사 (Bachelor of Architecture) 학위
* 대학원석사 : 대학원 건축석사 (Master of Architecture) 학위
별도의 표기가 없는 경우, 대학교 건축학사(B.Arch) 과정임
건축학교육인증의 인증현황은 이곳에서도 확인 가능함
위의 표는 2022년 7월 31일의 인증현황을 기준으로 함




||
[ 펼치기 · 접기 ]

-1 ||<-2><tablewidth=100%><table bgcolor=#ffffff,#191919><colcolor=#fff><colbgcolor=#0B6138> '''[[아시아|{{{#fff,#ddd 아시아}}}]]''' || ||<width=1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fff,#ddd 대한민국}}}]] ||<colcolor=#000,#fff> [[경남대학교]] · [[경희대학교]] · [[고려대학교]] · [[광주교육대학교]] · [[광주대학교]] · [[국민대학교]] · [[군산대학교]] · [[대구교육대학교]] · [[동서대학교]] · [[동아대학교]] · [[동의대학교]] · [[목포대학교]] · [[목포해양대학교]] · [[부경대학교]] · [[부산대학교]] · [[부산외국어대학교]] · [[상명대학교]] · [[서울교육대학교]] · [[서울여자대학교]] · [[성결대학교]] · [[성균관대학교]] · [[성신여자대학교]] · [[숙명여자대학교]] · [[아주대학교]] · [[연세대학교]] · [[이화여자대학교]] · [[인천대학교]] · [[제주대학교]] · [[포항공과대학교]] · [[한국항공대학교]] · [[한국해양대학교]] · [[한남대학교]] · [[한양대학교/서울캠퍼스|한양대학교]] · [[호서대학교]] || || [[파일:대만 국기.svg|width=20]] [[대만|{{{#fff,#ddd 대만}}}]] || [[국립가오슝제일과기대학]] · [[국립타이완대학|국립대만대학]] · [[국립대만예술대학]] · [[국립대만해양대학]] · [[국립연합대학]] · [[국립윈린과기대학]] · [[국립자이대학]] · [[국립중앙대학]] · [[국립타이중교육대학]] · [[난타이과기대학]] · [[둥하이대학]] · [[슈더과기대학]] · [[징이대학]] · [[창룽대학]] · [[카이난대학]] || || [[파일:몽골 국기.svg|width=20]] [[몽골|{{{#fff,#ddd 몽골}}}]] || [[몽골과학기술대학교]] ||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width=20]] [[방글라데시|{{{#fff,#ddd 방글라데시}}}]] || [[국제경영농업기술대학교]] · [[다카 대학교]] · [[다포딜 국제대학교]] || || [[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20]] [[베트남|{{{#fff,#ddd 베트남}}}]] || [[베트남상매대학]] · [[호찌민 교육대학]] · [[호찌민 사범대학]] · [[호찌민 인문사회과학대학]] || || [[파일:인도 국기.svg|width=20]] [[인도|{{{#fff,#ddd 인도}}}]] || [[공업경영대학교]] || ||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20]] [[인도네시아|{{{#fff,#ddd 인도네시아}}}]] || [[11월 10일 공과대학교]] · [[가자마다 대학교]] · [[다르마프르사다 대학교]] · [[반둥 공과대학교]] · [[붕 하타 대학교]] · [[사탸와차나 기독대학교]] · [[시아쿠알라 대학교]] · [[아이를랑가 대학교]] · [[우다야나 대학교]] · [[인도네시아 대학교]] · [[하사누딘 대학교]]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일본|{{{#fff,#ddd 일본}}}]] || [[간사이국제대학]] · [[고베가쿠인대학]] · [[고베국제대학]] · [[고베대학]] · [[고베쇼인여자학원대학]] · [[고베시간호대학]] · [[고베시외국어대학]] · [[고베신와대학]] · [[고베약과대학]] · [[고베여자대학]] · [[고베여학원대학]] · [[고베예술공과대학]] · [[무코가와여자대학]] · [[소노다학원여자대학]] · [[아시야대학]] · [[오테마에대학]] · [[유통과학대학]] · [[간세이가쿠인대학]] · [[코난대학]] · [[코난여자대학]] · [[코시엔대학]] · [[효고교육대학]] · [[효고대학]] · [[효고현립대학]] · [[히메지대학]] · [[히메지독쿄대학]] ||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중국|{{{#fff,#ddd 중국}}}]] || [[광둥공업대학]] · [[광둥외어외역대학]] · [[난징대학]] · [[난카이대학]] · [[내몽골대학]] · [[닝보대학]] · [[다롄이공대학]] · [[다롄해사대학]] · [[둥베이사범대학]] · [[베이징공업대학]] · [[베이징대학]] · [[베이징사범대학]] · [[베이징외국어대학]] · [[베이징체신대학]] · [[상하이해양대학]] · [[쑤저우과기대학]] · [[쑤저우대학]] · [[쑤저우시립대학]] · [[연변대학]] · [[자오칭대학]] · [[저장대학]] · [[중국의과대학]] · [[중국인민대학]] · [[중산대학]] · [[지린대학]] · [[톈진공업대학]] · [[톈진외국어대학]] · [[푸단대학]] · [[하이난대학]] · [[하이난사범대학]] · [[홍콩중문대학]] · [[화난사범대학]] · [[화둥사범대학]] · [[후난과기학원]] || || [[파일:태국 국기.svg|width=20]] [[태국|{{{#fff,#ddd 태국}}}]] || [[라차팟 수안두싯 대학교]] · [[수라나리 공과대학교]] · [[쭐랄롱꼰 대학교]] · [[치앙마이 대학교]] · [[타이니치 공과대학교]] · [[탐마삿 대학교]] || || [[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20]] [[필리핀|{{{#fff,#ddd 필리핀}}}]] || [[AMA 대학교]] · [[마닐라 아테네오 대학교]] · [[미리엄 칼리지]] · [[아시아 트리니티 대학교]] · [[어셤션 대학교]] · [[엔데룬 칼리지]] · [[필리핀 대학교]] || ||<-2> '''[[아메리카|{{{#fff,#ddd 아메리카}}}]]'''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미국|{{{#fff,#ddd 미국}}}]] || [[곤자가 대학교]] · [[세인트 마틴 칼리지]] · [[애리조나 대학교]] · [[에버그린 주립 칼리지]] · [[오거스타나 대학교]] · [[와이오밍 대학교]] · [[워싱턴 대학교]] · [[이스턴 워싱턴 대학교]] · [[일리노이 대학교/어배너-섐페인 캠퍼스]] · [[피츠버그 대학교]] · [[하와이 대학교]] ||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브라질|{{{#fff,#ddd 브라질}}}]] || [[론드리나 주립대학교]] · [[파라나 연방기술교육센터]] · [[파라나 연방대학교]]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0]] [[캐나다|{{{#fff,#ddd 캐나다}}}]] || [[퀸스 대학교(캐나다)|퀸스 대학교]] || || [[파일:UN기.svg|width=20]] [[유엔|{{{#fff,#ddd 유엔}}}]][br]{{{-2 ([[코스타리카|{{{#fff,#ddd 코스타리카}}}]])}}} || [[평화대학교]] || ||<-2> '''[[오세아니아|{{{#fff,#ddd 오세아니아}}}]]''' ||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0]] [[뉴질랜드|{{{#fff,#ddd 뉴질랜드}}}]] || [[와이카토 대학교]] · [[캔터베리 대학교]] || || [[파일:호주 국기.svg|width=20]] [[호주|{{{#fff,#ddd 호주}}}]] || [[그리피스 대학교]] ·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 · [[머독 대학교]] · [[서호주 대학교]] · [[선샤인 코스트 대학교]] · [[에디스 코완 대학교]] · [[커틴 대학교]] · [[퀸즐랜드 공과대학교]] · [[퀸즐랜드 대학교]] · [[호주 노틀데임 대학교]] · [[호주해양대학]] ||




파일:열린대학교육협의회 심볼.svg
OCU 컨소시엄
[ 펼치기 · 접기 ]


||

||



부경대학교
釜慶大學校
Pukyong National University
파일:부경대학교 엠블럼.svg
교훈미래를 우리 손으로
상징
슬로건
Hi! 부경, High 미래
동물백경
교목곰솔
교색
감색
하늘색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분류국립대학
지역부산광역시
설립
수산대
1941년 3월 28일 (83주년) 부산고등수산학교
공업대
1924년 5월 5일 (100주년) 부산공립공업보습학교
부경대
1996년 7월 6일 (27주년) 부경대학교
개교기념일1946년 5월 10일[1]
총장제7대 장영수
주소
대연부산광역시 남구 용소로 45 (대연동)
용당부산광역시 남구 신선로 365 (용당동)
재학생
학부생
15,647명(2021년)[2]
대학원생
2,358명(2021년)[3]
교직원1,564명(2021년)[4]
일반재정지원 선정대학(2021년)
웹사이트
[ 펼치기 · 접기 ]
소셜 미디어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지도 펼치기 ]

대연캠퍼스
용당캠퍼스


1. 개요
6. 교류대학
6.1. 국내교류
6.2. 국제교류
7. 캠퍼스
9. 부속 기관
9.1. 부경대학교 박물관
9.2. 정보보호영재교육원
10. 학내문화
10.1. 동아리
10.2. 축제
10.2.1. 핑크캠퍼스
10.2.2. 옐로우캠퍼스
13. 여담



1. 개요[편집]


파일:부경대 대연캠퍼스 전경.jpg
부경대학교 대연캠퍼스

파일:부경대 용당캠퍼스.jpg
부경대학교 용당캠퍼스

부경대학교 홍보영상 (2021)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용당동에 위치한 4년제 국립 종합대학이다. 영문명은 Pukyong National University, 줄여서 PKNU라고 부른다.[5]

조선총독부가 나날이 커져가는 수산업을 이끌 관립 고등교육기관으로 1941년 설립한 부산고등수산학교가 해방 후 부산대학교 수산과대학을 거쳐 부산수산대학교가 되었고, 1924년 설립된 부산공립공업보습학교[6] 1940년 부산공립공업학교, 1963년 부산공업고등전문학교로 발전한 뒤 부산공업대학교가 되었다. 그리고 두 대학이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1996년 통합을 하여 부경대학교가 출범했다.

부산고등수산학교와 역사를 공유하는 부산대학교와 함께 부산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이다. 여러 학과들이 있지만 명실상부 매우 유명한 분야는 해양·수산 관련 학과이며, 해양·수산 분야에서 만큼은 대한민국에서 최고라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수산대학교에서 처음에 출발했다는 사실과 학교의 마스코트가 부경대학교가 가장 중점을 두는 정체성을 말해준다.

그리고 공과대학(정보융합대학) 또한 강점을 보이고 있다. 부산공업대학에서 시작한 공과대학(정보융합대학)은 규모가 엄청나다. 특히 전세계적인 컴퓨터, 인공지능의 인기로 정보융합대학의 컴퓨터인공지능공학부의 입학 성적이 제일 높은 편이다.


2. 역사[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부경대학교/역사#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 역대 총장[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부경대학교/총장#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상징[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부경대학교/상징#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학부[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부경대학교/학부#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대학원[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부경대학교/대학원#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교류대학[편집]



6.1. 국내교류[편집]


경상국립대학교, 부산교육대학교, 부산대학교, 창원대학교, 한국해양대학교와 부산·경남 국립대학교 도서관 상호이용 및 상호구매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인근의 4년제 사립대학동명대학교, 경성대학교와도 상호교류계약을 체결하였다.

국내 학술 교류 협정 체결 현황



6.2. 국제교류[편집]


외국대학·기관과의 학술교류 협정 체결 현황

부경대 홈페이지 : 학술교류협정체결현황

국외 학술교류협정 체결 현황
대륙개수
아시아235
유럽66
북아메리카47
남아메리카8
오세아니아15
아프리카7

7. 캠퍼스[편집]


대연캠퍼스는 대학본부와 모든 단과대학이 위치해 있는 교육 중심 캠퍼스이고 용당캠퍼스 드래곤밸리는 산·학·연 혁신 캠퍼스로 공과대학 일부 연구소 및 기업체 등이 위치해 있다.

통합 이후에도 용당캠퍼스에는 공과대학 학과가 남아있지만 20개 학과 중 9개 학과를 2014년 우선 이전한데 이어 2018년 이후 공학1관, 공학2관 완공으로 나머지 학과도 이전 완료함에 따라 모든 단과대학은 모두 대연캠퍼스에 위치하게 되었다. 그렇기에 재학생들은 일부 실험 목적 등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는 대연캠퍼스에서 생활한다.

7.1. 대연캠퍼스[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부경대학교/대연캠퍼스#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 용당캠퍼스[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부경대학교/용당캠퍼스#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연구시설[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부경대학교/연구시설#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부속 기관[편집]



9.1. 부경대학교 박물관[편집]


파일:/image/003/2008/01/30/NISI20080130_0006033820_web.jpg
부경대학교 박물관의 부경고사우루스
천년부경룡이라고도 한다.[7] 1억 3000만년전 한반도에 살았던 공룡이자 사상 처음으로 한국식 학명을 갖게 된 공룡으로 청운관 로비에 전시되어 있다. 부경대 백인성 교수팀이 2000년 2월 경남 하동군 금성명 갈사리 앞바다에 위치한 작은 바위섬에서 무더기로 발견한 뼈 화석을 복원한 것이다. 네발로 걷고 목이 긴 초식공룡(용각류)인 천년부경룡은 중생대 백악기에 한반도에 생존했고 머리에서 꼬리까지 전체 길이가 20~25m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1985년 코모로 정부에서 실러캔스의 표본을 대한민국 정부가 선물받은 것이 있다. 그 중 한마리가 부경대학교(수산대학교 시절) 박물관에 있다.

9.2. 정보보호영재교육원[편집]






파일:정부상징.svg

||


부경대학교 정보보호영재교육원은 컴퓨터인공지능공학부의 주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9.3. 학생군사교육단[편집]


오래전부터 전국에서 유일하게 대한민국 육군 학생군사교육단대한민국 해군 학생군사교육단이 동시에 존재하였다. 육군학군단 및 해군학군단 모두 부산수산대학교의 흔적이다. 22년부터 해병대 학군단까지 운영하게 되어 육군, 해군, 해병대 3개의 학군단이 존재하는 전국 유일의 대학이다.

육군 학군단의 경우 일반적인 학군단들과 비슷한 체계로 운영되고 있다. 해군 학군단은 원래 환경해양대학, 수산과학대학 학생들만 지원 가능했으나 2007년부터 제한이 풀렸다. 단 해군 학군단의 경우 1학년만 지원 가능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10. 학내문화[편집]



10.1. 동아리[편집]


중앙 동아리, 과 동아리 등 학술부터 취미까지 엄청난 양의 동아리들이 있다. 동아리방의 위치는 구학, 한울관, 운동장 옆 건물[8][9][10]등에 나뉘어져 있으며, 주로 학과 동아리는 자기 과 건물에서 모임을 한다.

운동장이 신축하기 전에는 스탠드 동아리라 하여 많은 중앙 동아리가 머물고 있었으나, 지금은 다 허물어지고 한울관으로 이동하게 되었다.[11]

총동아리연합회
공연 1분과
UCDC [댄스]PKNUO [오케스트라] 네오쇼크 [댄스]백경극회 [연극]보블리스 [합창]전통예술연구회 터

공연 2분과
씨사운드 [어쿠스틱밴드]송웨이브 [어쿠스틱밴드]한누리 [어쿠스틱밴드]울림 [통기타]매니아 [락밴드]테크니칼 [락밴드]
쇳물결백경클래식기타연구회모비딕스 [밴드]

운동 1분과
어택 [테니스]홍백 [테니스]바구니 [농구]스타피쉬 [농구]스타피쉬 [축구]후라 [야구]
모비딕 [야구]스매싱 [탁구]버드 [배드민턴]디그 [배구]거터 [볼링]미식축구부

운동 1분과
한판 [유도]돼지 [수영]하작 [태권도]조나단 [패러글라이딩]RealGet [홈트]올림피아 [헬스]
부경다이버조정부백경검도회산악부

취미교양분과
PAS [음악감상] 나불아뜨리에 [순수미술] 수석회 [바둑] 포시즌 [보드] 300 [당구] 짚신 [여행]
백경 유스호스텔 [여행] 입자 [사진] 차사랑 [차]요트제작연구회

종교분과
JDM [기독교 학원복음화협의회 소속] CCC [기독교] IVF [기독교 학원복음화협의회 소속] SFC [기독교] 불교학생회가톨릭학생회

학술분과
CERT-IS [해킹] 집현전 [친목,공부] FUCC [컴퓨터,IT자격증] 높낮이 [로봇] 아카데미 [토론] 지평선 [경제]
SIC [경제] 플레이아데스 [천문] OST [아이디어,공모전,토론,스터디] TIME [발표,토론] 일본문화연구회TEAM D.O.S. [자작자동차]

봉사분과
미담장학회RCY민심사랑IYF피어드림절영회
청심회동반소리빛깔남천로타랙트


10.2. 축제[편집]


축제(대동제)가 매우 유명하다. 반농담조로 부산 3대 명물 축제 중에 하나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2016년 신입생 환영회때 TWICE를 부르려다 실수로 2EYES를 섭외해버렸던 적이 있다. 이에 학교에선 축제 때 트와이스를 섭외하기 위해 축제 일정을 하루 미루면서까지 트와이스 일정에 맞춰 섭외를 했었다. 문제는 트와이스를 보기 위해 많은 인파가 몰렸고 그와중 학생 2명이 학교 건물 창문을 통해 공연을 보다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해 그 뒤로 아이돌 섭외는 금지되었다.

2022년 코로나19로 중단되었던 공연이 재개되었다. 모교를 방문한 헤이즈의 공연이 엄청난 호응을 이끌었다.

10.2.1. 핑크캠퍼스[편집]



파일:부경대 핑크캠퍼스11.jpg
파일:부경대 핑크캠퍼스22.jpg
파일:부경대 핑크캠퍼스33.jpg
파일:부경대 핑크캠퍼스44.jpg
파일:부경대 핑크캠퍼스66.jpg
핑크캠퍼스 축제
3월말~4월초 사이 벚꽃이 피는 시즌에 핑크캠퍼스 축제가 있다. 부산에서도 벚꽃이 이쁘기로 유명하다. 만일 벚꽃시즌에 부산에 가게 된다면 꼭 핑크캠퍼스 축제에 가 보길 강추한다. 가지런하고 아름다운 벚꽃 경치와 각 학과들이 야심차게 준비한 부스체험, 각종 공연, 젊음을 동시에 느낄 수 있다.


10.2.2. 옐로우캠퍼스[편집]


10월경 단풍이 지는 시즌에 옐로우캠퍼스가 열린다. 특히 노란색 은행나무길이 이쁘다.


11. 사건사고[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부경대학교/사건사고#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출신 인물[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부경대학교/출신 인물#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여담[편집]


파일:부경대 세계수산대학.jpg
부산시(부경대), 제주도, 충남FAO의 세계수산대학 유치를 위한 후보 경선을 하였는데 부산시(부경대)가 후보에 당선되었다. 2015년 12월에는 FAO 이사회에서 49개국 중 25개국의 지지를 얻어 국내 유치를 얻어냈다. 2017년 9월 7일 세계수산대학 시범사업 개원식을 가졌으며, 2017년 9월~2019년 2월 까지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2019년 제41차 FAO 총회에서 시범사업 결과를 보고, 정식 설립을 승인 받을 계획이다. 또한 이와 관련해 CONISMA(이탈리아의 해양수산분야 교육 및 연구 최고 권위기관)와 수산분야 교육 및 연구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양측의 우수인력 교류와 공동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로 하였다.


[1952년 부산수산대학교 본관]
파일:부산수산대학교 본관 1952년.jpg
한국전쟁 당시에는 미군사령부 및 스웨덴 야전병원으로 쓰였다.
미군이 징발하여 사용하면서 지붕 위에 위장용 색상을 입혀 얼룩지게 만들었다.


[1985년 부산수산대학교 본관]
파일:부산수산대학교 본관 전경 1985년.png





파일:백경호.png
2020.11.30에 있었던 인수식을 통해 대선조선(주)으로부터 건조를 마친 백경호를 정식으로 인도받았다. 나라호와 함께 대양을 누빌 예정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siJXdFkUc90



[부경대 오케스트라 정기연주회]
파일:부경대 오케스트라1.png


[동원장보고관]
파일:부경대 동원장보고관.jpg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2:45:24에 나무위키 부경대학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왜 딱히 특별한 날도 아닌 5월 10일을 개교기념일로 삼았는지 궁금할 수 있는데, 부경대에서는 조선총독부 구제전문학교였던 부산고등수산학교(부산수산전문학교)가 미군정 체제에서 국립종합대학(부산대학교 수산과대학)으로 정립된 1946년을 개교 원년으로 정하고, 이어 부산고등수산학교의 개교식(및 제1회 입학식)이 거행되었던 5월 15일과 국립부산공업대의 모체인 부산공립공업보습학교의 개교일인 5월 5일의 중간인 5월 10일을 새로이 개교기념일로 정하기로 하면서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출처 참조.[2] 휴학생 5,610명, 학사학위취득유예학생 241명 미포함. 대학알리미 공시 기준[3] 휴학생 269명 미포함. 대학알리미 공시 기준[4] 학부 (전임 600명, 비전임 879명), 대학원 (전임 8명, 비전임 77명). 대학알리미 공시 기준[5] 부경대학교는 통합 출범 당시의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 기초한 Pugyŏng을 변형하여 Pukyong이라 표기한다. 이는 Yŏnse를 변형한 Yonsei를 쓰는 연세대, Kyŏngbuk을 변형하여 Kyungpook을 쓰는 경북대 등 역사가 오래된 몇몇 타 대학들에도 해당된다.[6] 공업보습학교 등을 포함한 실업보습학교란 실제시대에 보통학교 졸업자가 입학하는 수업연한 1~3년의 간이실업학교이다. 공업학교 등의 실업학교는 수업연한 3~5년의 학교로 오늘날로 치면 중학교(3년)+실업계 고교(3년)을 통합한 과정에 대응되며, 수원공립농림학교(5년제 농림학교)의 예를 보면 1951년 수원북중수원농고로 분리되었다. 실업보습학교 졸업자는 해당 계열 실업학교에 편입학할 수 있었다.[7] 정식 명칭은 부경고사우루스 [8] 주로 밴드부가 들어가있으며 가장 최근에 지어진 건물이다.[9] 자작자동차동아리 TEAM D.O.S. 의 경우에는 용당캠퍼스에 동아리방이 있다.[10] 아무래도 자동차를 만들다 보니 넓은 작업 공간 필요+소음문제 등으로 대연캠퍼스에서 제작하기에는 무리이기 때문인 듯 하다.[11] 옛날에 한울관은 학군단 건물이었으나 지금은 세종2관으로 이동하였다.[12] 부산대학교 1기 입학식을 겸한 베커 총장 취임식도 여기에서 열리고(출처:부산대학교 70년사) 한국전쟁 당시 국군과 UN군은 물론 인민군ㆍ중공군 포로, 민간인까지 돌본 스웨덴 야전병원건물로 사용된 근대역사적 가치가 있던 건물이였다.[13] 몇몇 교수, 학생, 교직원들은 그 자체가 문화재로 그대로 오랜 역사와 전통으로 남겨서 계속 사용하는 것을 원했으나, 재정 지원을 받기 위해서 굳이 헐고 지었다며 아쉬워 한다. 서울에서 부산수산대 본관과 동일한 시기에 비슷한 양식으로 건립된 건물은 경성제국대학 이공학부 건물(다산관)이 있고 해방후 서울대가 1970년대 관악산으로 이전하기 전까지 서울대 공과대학 본관 건물로 사용되어 대부분 졸업사진을 건물의 탑옥앞에서 찍을 정도로 서울대 공과대학의 상징과 같았다. 이 건물 역시 서울시 문화재로 등록되었으니 부산수산대 본관의 철거는 부울경지역 고등교육이 시작된 곳이자 부경대의 오랜 역사적 상징을 없애 버린것이며 근대 문화재가 부족한 부산으로도 매우 안타까운 일이다.[14] 지금의 남구청과 남구보건소, 부산남부지원교육청자리 전부가 캠퍼스였다. 토지는 넓었으나 건물은 별로 없었다.[15] 경성대·부경대역 1번 출구에 있는 큰 건물이다.[16] 대연캠 후문 건너편에 있는 남천동에 있는 연합횟집 바로 앞까지 백사장이었다.[17] 옛날에는 동국제강 공장 부지였다.[18] 예를 들어 6호관이 호연관으로 바뀌었다. 허나 여전히 대부분의 교수,학생들은 번호로 호칭한다.[19] 앞의 예에 더하여, 기존의 6호관의 건물명은 호연관인데, C23 이란 이름도 같은 말로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