뱀목 생물 목록 (r1판)

편집일시 :


1. 장님도마뱀과(Dibamidae)
2. 장지뱀상과(Lacertoidea)
2.1. 지렁이도마뱀과(Amphisbaenidae)
2.2. 멕시코지렁이도마뱀과(Bipedidae)
2.3. 지중해지렁이도마뱀과(Blanidae)
2.4. 쿠바지렁이도마뱀과(Cadeidae)
2.5. 플로리다지렁이도마뱀과(Rhineuridae)
2.6. 트로고노피스과(Trogonophidae)
2.7. 장지뱀과(Lacertidae)
2.8. †에올라케르타과(Eolacertidae)
2.9. †바르바테이우스과(Barbatteiidae)
2.10. 알로포글로수스과(Alopoglossidae)
2.11. 안경도마뱀과 (Gymnophthalmidae)
2.12. 채찍꼬리도마뱀과(Teiidae)
3. 도마뱀붙이하목(Gekkota)
3.1. 도마뱀붙이상과(Gekkonoidea)
3.1.2. 땅딸이도마뱀붙이과(Sphaerodactylidae)
3.2. 잎가락도마뱀붙이과(Phyllodactylidae)
3.3. 표범도마뱀붙이과(Eublepharidae)
3.4. 뱀붙이도마뱀상과(Pygopoidea)
3.4.2. 눈그늘도마뱀붙이과(Carphodactylidae)
3.4.3. 돌도마뱀붙이과(Diplodactylidae)
4. 도마뱀아목(Scincomorpha)
4.1. †아르데오사우루스과(Ardeosauridae)
4.2. †파라마켈로두스과(Paramacellodus)
4.3. 스킨크과(Scincidae)
4.4. 갑옷도마뱀과(Cordylidae)
4.5. 밤도마뱀과(Xantusiidae)
4.6. 장갑도마뱀과(Gerrhosauridae)
5. 독뱀류(Toxicofora)
5.1. 이구아나형류(Iguanomorpha)
5.1.1. 이구아나아목(Iguania)
5.1.1.1. 이구아나과(Iguanidae)
5.1.1.2. 카멜레온형류(Acrodonta)
5.1.1.3. 플레우로돈타(Pleurodonta)
5.1.2. 무족도마뱀아목(Anguimorpha)
5.1.2.1. 고무족도마뱀하목(Paleoanguimorpha)
5.1.2.2. 신무족도마뱀하목(Neoanguimorpha)
5.2. 비단뱀양류(Pythonomorpha)[1]
5.2.1. †모사사우루스상과(Mosasauroidea)
5.2.1.1. 아이기알로사우루스과(Aigialosauridae)
5.2.2. 오피디오모르파(Ophidiomorpha)
5.2.2.1. †돌리코사우루스과(Dolichosauridae)
5.2.2.2. 오피디아(Ophidia)
5.2.2.2.1. 아목(Serpentes)


뱀목(뱀目, Squamata)은[2] 몸이 물고기 비늘모양의 각질로 뒤덮힌 파충류인 인룡류로 뱀, 도마뱀, 모사사우루스과가 속하는 분류다.

  • 앞에 '†'가 붙은 항목은 멸종했다는 뜻.
  • 뒤에 '(☠)'가 붙은 항목은 독을 가진 종류.
  • 뒤에 ♠가 붙은 항목은 다른 뱀을 잡아먹는 뱀.


1. 장님도마뱀과(Dibamidae)[편집]



2. 장지뱀상과(Lacertoidea)[편집]



2.1. 지렁이도마뱀과(Amphisbaenidae)[편집]



2.2. 멕시코지렁이도마뱀과(Bipedidae)[편집]



2.3. 지중해지렁이도마뱀과(Blanidae)[편집]



2.4. 쿠바지렁이도마뱀과(Cadeidae)[편집]



2.5. 플로리다지렁이도마뱀과(Rhineuridae)[편집]



2.6. 트로고노피스과(Trogonophidae)[편집]



2.7. 장지뱀과(Lacertidae)[편집]



2.8. †에올라케르타과(Eolacertidae)[편집]



2.9. †바르바테이우스과(Barbatteiidae)[편집]



2.10. 알로포글로수스과(Alopoglossidae)[편집]



2.11. 안경도마뱀과 (Gymnophthalmidae)[편집]



2.12. 채찍꼬리도마뱀과(Teiidae)[편집]



3. 도마뱀붙이하목(Gekkota)[편집]



3.1. 도마뱀붙이상과(Gekkonoidea)[편집]



3.1.1. 도마뱀붙이과(Gekkonidae)[편집]



3.1.2. 땅딸이도마뱀붙이과(Sphaerodactylidae)[편집]



3.2. 잎가락도마뱀붙이과(Phyllodactylidae)[편집]



3.3. 표범도마뱀붙이과(Eublepharidae)[편집]



3.4. 뱀붙이도마뱀상과(Pygopoidea)[편집]



3.4.1. 뱀붙이도마뱀과(Pygopodidae)[편집]



3.4.2. 눈그늘도마뱀붙이과(Carphodactylidae)[편집]



3.4.3. 돌도마뱀붙이과(Diplodactylidae)[편집]


  • 두바우셀도마뱀붙이속
    • 델쿠르큰도마뱀붙이[6]
  • 리치도마뱀붙이속
  • 볏도마뱀붙이속

4. 도마뱀아목(Scincomorpha)[편집]



4.1. †아르데오사우루스과(Ardeosauridae)[편집]



4.2. †파라마켈로두스과(Paramacellodus)[편집]



4.3. 스킨크과(Scincidae)[편집]



4.4. 갑옷도마뱀과(Cordylidae)[편집]



4.5. 밤도마뱀과(Xantusiidae)[편집]



4.6. 장갑도마뱀과(Gerrhosauridae)[편집]



5. 독뱀류(Toxicofora)[편집]



5.1. 이구아나형류(Iguanomorpha)[편집]



5.1.1. 이구아나아목(Iguania)[편집]



5.1.1.1. 이구아나과(Iguanidae)[편집]


5.1.1.2. 카멜레온형류(Acrodonta)[편집]



5.1.1.3. 플레우로돈타(Pleurodonta)[편집]


5.1.2. 무족도마뱀아목(Anguimorpha)[편집]



5.1.2.1. 고무족도마뱀하목(Paleoanguimorpha)[편집]


5.1.2.2. 신무족도마뱀하목(Neoanguimorpha)[편집]


5.2. 비단뱀양류(Pythonomorpha)[8][편집]



5.2.1. †모사사우루스상과(Mosasauroidea)[편집]



5.2.1.1. 아이기알로사우루스과(Aigialosauridae)[편집]

  • 아이기알로사우루스
  • 카르소사우루스
  • 오페티오사우루스
  • 카가나이아스[9]

5.2.1.2. 모사사우루스과(Mosasauridae)[편집]


5.2.2. 오피디오모르파(Ophidiomorpha)[편집]



5.2.2.1. †돌리코사우루스과(Dolichosauridae)[편집]


5.2.2.2. 오피디아(Ophidia)[편집]


5.2.2.2.1. 아목(Serpentes)[편집]


[1] 현재는 모사사우루스상과와 뱀아목이 합쳐져서 이 분류군을 형성한다는 의견도 있다.[2] 또는 유린목.[3] 특정 종이 아니다.[4] 드워프게코의 일종이다.[5] 날도마뱀붙이와는 다르다.[6] 현존하는 도마뱀붙이 중 가장 거대했던 도마뱀붙이. 뉴질랜드에 살았으나 소리없이(...) 멸종했다.[7] 2009년에 독샘을 발견했다고 한다. 다만 코모도왕도마뱀은 독액만으로 먹이를 사냥하는 도마뱀이 아니라는 것을 기억하자. 이 도마뱀은 세계 최대의 도마뱀이라는 것 자체가 무기가 될 수 있다.[8] 현재는 모사사우루스상과와 뱀아목이 합쳐져서 이 분류군을 형성한다는 의견도 있다.[9] 아이기알로사우루스과라는 의견이 있지만 확실하지 않다.[10] 틸로사우루스속으로 통합되었다.[11] 족의 하위 단계가 아니다.[12] 파이프뱀이라 불리기도 한다.[13] 재미있게도 영명은 Pipe Snake이다(...)[14] 바다뱀과 함께 수중 생활에 완전히 적응한 종으로, 이 쪽은 민물에서 산다. 민물 생활에 특화되어 있어서 피부가 거칠고 쭈글쭈글하여 이름 그대로 코끼리코를 늘어놓은 모습을 하고 있다. 이 압도적인 비주얼 때문에 매니아들 사이에선 똥뱀(...)이란 별칭으로 불린다.[15] 같은 속에 속하는 가봉북살무사와 코뿔소살무사를 교배해 태어난 잡종이다. 라이거, 노새와 비슷한 사례이므로 생물의 종이 아니다.[A] A B 이 과에 속하는 뱀 모두가 독을 가지고 있다.[16] 스피팅코브라는 한 종이 아니다.[17] 인터넷 짤방으로 돌아다니는 두더지뱀은 지렁이도마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