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성군

덤프버전 :


조선의 왕자
목조 ~ 연산군
[ 펼치기 · 접기 ]
역대 국왕 · 역대 왕세자 · 익조 ~ 연산군 왕녀 · 중종 ~ 고종 왕자 · 중종 ~ 철종 왕녀
※ 작호가 있거나 성년까지 생존한 사람만 기재



밀성군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익대공신
[ 펼치기 · 접기 ]

1468년 10월 28일 예종에 의해 책록
수충보사병기정난익대공신 (1등)
신숙주신 운류자광1한계순
한명회2
수충보사정난익대공신 (2등)
박원형박지번심 회2이극증
이 복이 부이 서이 준3
이 침정현조
추충정난익대공신 (3등)
강 곤권 감권 찬김효강
노사신류 한박중선서경생
신승선안중경어세겸윤계겸
이존명정인지2정창손2정효상
조득림조석문조익정한계희
한백륜홍 응
1 1478년 성종 때 제명 및 복권, 1507년 탄핵으로 인한 제명, 1533년 익대공신에 한해 복권
2 1504년 갑자사화로 인한 제명, 1506년 중종 때 복권
3 1470년 모반 혐의로 인한 제명, 1687년 숙종 때 복권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좌리공신
[ 펼치기 · 접기 ]

1471년 3월 2일 성종에 의해 책록
순성명량경제홍화좌리공신 (1등)
권 감김국광신숙주윤자운
정현조조석문최 항한명회1
홍윤성
순성명량경제좌리공신 (2등)
김 질송문림심 회윤사흔
이 정이 침정인지1정창손1
한계미한계희한백륜구치관
순성명량좌리공신 (3등)
강 곤김겸광강희맹노사신
박중선서거정성봉조신승선
양성지윤계겸이극배이극증
이숭원임원준정효상한계순
한치형1홍 응
순성좌리공신 (4등)
구문신김 교김길통김수녕
김수온김순명류 수류 지
박거겸선 형신 정2신 준
심 한어유소오백창우 공
윤필상1이극돈3이석형이수남
이숙기이승소이철견이 현
이 훈정난종정숭조한 보
한 의한치례한치의한치인
함우치허 종황효원
1 1504년 갑자사화로 인한 제명, 1506년 중종 때 복권
2 1482년 성종의 인신을 위조해 남의 재산을 탈취한 혐의로 인한 제명
3 1504년 조카 이세좌와의 연좌로 인한 제명, 1511년 중종 때 복권





조선 세종의 왕자
밀성군 | 密城君
파일:밀성군묘.jpg
밀성군 묘 전경
출생1430년
조선 한성부
(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망1479년 2월 1일(음력 1월 1일)
(향년 50세)
묘소경기도 하남시 초이동 기자산
[ 펼치기 · 접기 ]

본관전주 이씨
침(琛)
부왕세종
생모신빈 김씨
형제자매18남 4녀 중 12남
배우자풍덕군부인 여흥 민씨
(豊德郡夫人 驪興 閔氏)
자녀
4남 2녀 [ 펼치기 · 접기 ]
장남 - 운산군 이계(雲山君 李誡)
차남 - 춘성군 이당(春城君 李譡)
3남 - 수안군 이상(遂安君 李 言+賞)
4남 - 석양군 이격(石陽君 李䛿)
장녀 - 하한문(河漢文)의 처
차녀 - 안우하(安友夏)의 처
문지(文之)
봉호밀성군(密城君)[1]
시호장효(章孝) → 효희(孝僖)

[1] 봉호는 경상도 밀양의 별호인 ‘밀성(密城)’에서 따왔다.
1. 개요
2. 생애
3. 사망
4. 여담
5. 가족과 후손



1. 개요[편집]


조선 전기의 왕족. 세종의 서5남이다. 친형제로는 신빈 김씨의 소생들인 형 계양군의창군, 남동생 익현군영해군, 담양군이 있으며, 전주이씨 밀성군파의 파시조이다.

2. 생애[편집]


1436년(세종 18년)# 혹은 1442년(세종 24년)에# 밀성군으로 봉해졌다. 1444년(세종 26년)에는 민승서의 딸과 혼인하였다.

평소 행동이 조심스럽고 신중하며 형제간의 트러블이 없는 것을 눈여겨 본 이복형 세조에 의해 왕실을 호위하는 오위도총부 도총관 직에 임명되었다. 이외에도 각 시(寺)의 도제조 및 의금부도위관 등을 역임하였다. 1469년(예종 1년) 남이의 옥사 때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책록되었다. 그리고 그 해 세종의 영릉경기도 광주에서 여주로 옮기는데에 참여하였다. 이후 1470년(성종 1년)에는 순성경제명량좌리공신에 책록되었다.

3. 사망[편집]


1479년(성종 10년) 1월 23일에[1] 사망했다. 향년 48세 [2] 경기도 하남시 초이동 기자산에 있으며 하남시 향토유적 제2호로 지정되어있다.

4. 여담[편집]


  • 1452년(문종 2년) 밀성군이 병에 걸리자 이복형 문종안평대군에게 승려들을 모아 흥천사에서 기도하라고 명했다.# 그 후 정말 밀성군의 병이 나았고 이에 크게 기뻤던 문종은 밀성군의 처형 2명에게 관작을 내리고 밀성군을 치료한 전의 전순의에게도 안장을 얹은 말을 하사했다.##

  • 밀성군은 이복동생인 수춘군의 제사를 몰래 지내주었다. 수춘군은 후사가 없는데다 세조의 정적으로 죽임을 당한 혜빈 양씨의 아들이었기 때문. 밀성군 사후에는 밀성군의 3남인 수안군이 수춘군의 제사를 모셨다.

    이후 수안군이 정식으로 수춘군의 후사가 되었는데 이에 대한 시기는 자료마다 다르다. 전주 이씨 대동종약원에 따르면 중종 때라고 한다.# 하지만 위키백과의 밀성군 항목에 따르면 사육신이 복권된 후인 숙종 시기라고 한다.#

5. 가족과 후손[편집]


부인인 풍덕군부인 여흥 민씨 사이에서 4남 2녀를 두었다. 장남 운산군 이계는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공신에 책록되었다. 차남 춘성군 이당은 태조의 8남 의안대군의 봉사손으로 출계하였다. 3남은 위에 언급했듯 서숙부 수춘군에게 입적되었다. 이후 후손이 번성하여 오늘날의 전주 이씨 밀성군파를 이루고 있다.

조선 후기의 문신 이경여, 이건명, 이이명이 그의 후손들이다. 이경여의 손자가 이건명과 이이명이다. 저 둘은 경종 시기 노론을 대표하던 대신들로, 둘 다 신임옥사에 휘말려 사형당했다.[3] 이외의 다른 후손으로는 독립운동가 이창호, 이건호, 이중각이 있다.

밀성군의 17대손이자 이이명의 형 이사명의 9대손이 롯데 자이언츠 소속이었던 야구선수 이인구이다.#
이 외에 배우 이진욱 등이 있다.

[1] 음력 1월 1일.[2] 세는나이 50세.[3] 단, 이건명의 경우는 처음엔 유배였지만, 주청사로 청나라에 가서 한 말이 문제가 되어 참형당했다. 무슨 말이냐면, 청나라에서 '왕이 젊은데 왜 세제를 두려하냐'고 묻자 세제 책봉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경종이 양기가 없어 여자를 가까이 하지 못한다"는 말을 했던 것.
이 문서의 r34 ~ 52 버전에 위키백과의 저작권을 침해하는 내용이 있습니다.

저작권을 침해하는 내용이 포함된 버전으로 문서를 되돌리거나 링크하는 행위는 금지됩니다. 만일 되돌리거나 링크할 경우 저작권 침해로 간주되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09:47:57에 나무위키 밀성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