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미군/편제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파일:미국 교육부 로고.svg파일:미국 제대군인부 휘장.svg파일:미국 국토안보부 마크.svg
교육부제대군인부국토안보부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0 1px; display: block; border: none; padding: 0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32C7D; font-size: .75em;"
[[FPS#s-4|{{{#fff 연방경비국 (FPS)}}}]]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wiki style="margin: 0 1px; display: block; border: none; padding: 0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32C7D; font-size: .75em;"
[[연방법집행훈련센터|{{{#fff 연방법집행훈련센터 (FLETC)}}}]]
}}}

#!wiki style="margin: -10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block; background: #131230; padding: 5px 10px; font-size: 0.8em;" {{{#FFF {{{#ffc224,#db9e00 {{{+1 [[틀:미연방 정부 내각 각료 및 각료급 인사|{{{#ffc224,#db9e00 미국 연방 행정부 내각 각료}}}]]}}}}}} {{{#ffc224,#db9e00 {{{+1 [[틀:미국 대통령실|{{{#ffc224,#db9e00 미국 대통령실 조직}}}]]}}}}}} {{{#ffc224,#db9e00 {{{+1 [[틀:미국 연방정부 독립기관|{{{#ffc224,#db9e00 미합중국 연방정부 독립기관}}}]]}}}}}} }}}}}}









[ 펼치기 · 접기 ]

서태평양서대서양동태평양남아메리카
제1함대파일:second fleet.png
제2함대
파일:external/www.trophyexpress.com/3rdfleet.jpg
제3함대
파일:4th fleet.jpg
제4함대
인도양동대서양서태평양함대사이버사령부
파일:5th fleet.png
제5함대
파일:6th fleet.jpg
제6함대
파일:United_States_Seventh_Fleet_insignia,_2016.png
제7함대
파일:1920px-United_States_Tenth_Fleet.png
제10함대



파일:미합중국 공군 마크.svg공군 주요 사령부
Major Command of the United States Air Force
||
[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003458><tablebgcolor=#ffffff,#2d2f34><-3> 파일:2514px-US-O10_insignia_svg.png ||
||<width=33%> {#000,#FFF [[파일:미합중국 공군전투사령부.png
ACC
공군전투사령부}}}
||<width=33%> {#000,#FFF [[파일:미합중국 공군지구권타격사령부.svg
AFGSC
공군지구권타격사령부}}}
||<width=33%> {#000,#FFF [[파일:미합중국 공군물자사령부.png
AFMC
공군물자사령부}}}
||
||<width=33%> {#000,#FFF [[파일:미합중국 공군기동사령부.svg
AMC
공군기동사령부}}}
||<width=33%> {#000,#FFF [[파일:미합중국 태평양공군.png
PACAF
태평양공군}}}
||<width=33%> {#000,#FFF [[파일:미합중국 유럽 공군.svg [[파일:미합중국 아프리카 공군.svg ||
||<-3> 파일:1892px-US-O9_insignia_svg.png ||
||<width=33%> {#000,#FFF [[파일:공군교육훈련사령부 휘장.svg
AETC
공군교육훈련사령부}}}
||<width=33%> {#000,#FFF [[파일:공군특수작전사령부 휘장.svg
AFSOC
공군특수작전사령부}}}
||<width=33%> {#000,#FFF [[파일:공군예비군사령부 휘장.svg
AFRC
공군예비군사령부}}}
||



파일:external/blackshieldgroup.com/USIC.png
미국의 정보공동체
United States Intelligence Community


파일:미국 국방부 휘장.svg미군 통합전투사령부
Unified Combatant Command of the United States Armed Forces
||
[ 펼치기 · 접기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 특수작전부대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연방 사관학교



1. 개요
2. 미국 국방부
2.1. 국방부 장관실(Office of the Secretary of Defense)
2.2. 합동참모본부
2.3. 육군부(Department of the Army)
2.4. 해군부(Department of the Navy)
2.5. 공군부(Department of the Air Force)
2.6. 통합전투사령부
2.7. 산하 정보기관
2.8. 기타 주요사령부
2.8.1. 미국 내
2.8.2. 해외
2.9. 연구/개발/교육기관
2.9.1. 연구/개발기관
2.9.2. 보수교육기관
2.10. 주방위군
2.11. 주방위대
3. 미국 국토안보부
4. 예비군
5. 해외 주둔 미군 기지 목록


1. 개요[편집]


미군편제를 설명하는 항목이다. 각 직제는 최대한 한국의 직제와 유사하게 맞춘다. 자세한 정보는 이 곳 영문 위키백과를 참조하면 좋다.

미군은 2차 대전 당시 서류상 118개 사단[1]을 보유했으나, 현재는 10개 현역사단을 보유하고 있으며, 주방위군 병력이 존재한다.

미군은 전부 미국 국방부(DOD, Department of Defense) 하에 속하지만 해안 경비대(United States Coast Guard, USCG)는 평시에는 미국 국토안보부(DHS,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소속이며 전시에 지시가 있을 경우 해군에 서류상 파견되는 형식으로 해군의 지휘를 받게 된다. 또 특기할 점은 한국군이 각 군의 참모부를 운영하는 것과는 달리 미군의 각 군은 민간인 출신이 장관을 맡는 각 군부에서 군대의 운영과 관리를 담당한다. 일단 군 관련 기관이니 당연히 군인도 각 군부에 배속되는데, 이들 중 가장 계급이 높은 장교가 참모총장을 맡는다.

지휘 계통도


2. 미국 국방부[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미국 국방부#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 국방부 장관실(Office of the Secretary of Defense)[편집]




2.2. 합동참모본부[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미합중국 합동참모본부#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 육군부(Department of the Army)[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육군부#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1. 미 육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미합중국 육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4. 해군부(Department of the Navy)[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해군부#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4.1. 미 해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미합중국 해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4.2. 미 해병대[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미합중국 해병대#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5. 공군부(Department of the Air Force)[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공군부#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5.1. 미 공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미합중국 공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5.2. 미 우주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미합중국 우주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6. 통합전투사령부[편집]



지역기준본부위치담당지역
USAFRICOMUnited States Africa Command아프리카 사령부독일 슈투트가르트[2] Kelley Barracks이집트를 제외한 아프리카
USCENTCOMUnited States Central Command중부 사령부플로리다 탐파, 맥딜 공군기지[3]터키를 제외한 중동/서남아시아, 중앙아시아 및 아프리카 이집트
USEUCOMUnited States European Command유럽 사령부독일 슈투트가르트 Patch Barracks유럽 & 터키 & 러시아(아시아에 속한 지역도 포함)
USNORTHCOMUnited States Northern Command북부 사령부콜로라도 주, 콜로라도 스프링스, 피터슨 공군기지북아메리카, 중앙아메리카 멕시코, 쿠바, 푸에르토 리코 포함
USPACOMUnited States Pacific Command태평양 사령부하와이 호놀룰루, 캠프 H.M.스미스동북아시아, 동남아시아, 남아시아(인도까지), 오세아니아
USSOUTHCOMUnited States Southern Command남부 사령부플로리다 마이애미과테말라 이남 중앙아메리카, 남아메리카

기능기준본부위치
USSOCOMUnited States Special Operations Command특수작전 사령부플로리다 탐파, 맥딜 공군기지
USSTRATCOMUnited States Strategic Command전략 사령부네브래스카 오마하 Offutt 공군기지
USTRANSCOMUnited States Transportation Command수송 사령부일리노이 세인트 클레어 카운티, 스콧 공군기지


2.6.1. 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편집]





2.7. 산하 정보기관[편집]


모두 미국의 정보공동체에 속했으며 동시에 국방부 소속이다.


2.7.1. 독립 기관[편집]



2.7.1.1. 국방정보본부(DIA)[편집]




2.7.1.2. 국가안보국(NSA)[편집]




2.7.1.3. 국가지리정보국(NGA)[편집]




2.7.1.4. 국가정찰국(NRO)[편집]




2.7.2. 각 군 산하 정보기관[편집]




2.8. 기타 주요사령부[편집]




2.8.1. 미국 내[편집]




2.8.2. 해외[편집]




2.9. 연구/개발/교육기관[편집]



2.9.1. 연구/개발기관[편집]




2.9.2. 보수교육기관[편집]


합동군사대학과 같은 통합 보수교육기관도 있고, 각 군별로 설치된 교육기관도 있는데 목록은 다음과 같다.



2.10. 주방위군[편집]




주방위군(USNG, United States National Guard)은 각 주별로 편성된 기간제 군복무를 하는 병력으로 편성된 부대이다.[4] 예비군와 동일한 복무제도이나 예비군은 연방정부에서, 주방위군은 주정부에서 동원한다. 전시에는 일정 기간 별도의 훈련을 받고 전선에 투입된다. 주방위군 부대는 전투 준비 태세에 대한 등급이 매겨지며, 이 등급은 군사 기밀로 분류된다. 주방위군에는 육군과 공군만 있으나, 예비군에는 육군, 해군, 해병대와 공군이 모두 있다. 예비군 병력은 2020년 기준 855,600명이다.

특히 주방위군 육군은 10개 사단에 불과한 육군 현역 사단을 뒷받침하는, 어떻게 보면 미군의 또 다른 주력이라고 할 수 있다. 총 8개 사단에 이르며, 각 사단은 비록 장비는 조금 떨어질지언정 역시 미군이란 소리가 나올 정도의 전투력을 갖추고 있음은 분명하다. 진짜 없는 병과 없이 다 갖추고 있고, 이들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미 육군은 큰 전력 공백에 시달리게 될 것이다. 단적인 예로 이라크 전쟁과 아프가니스탄 전쟁 당시 전력순환의 일환으로 파병되는 부대들이 바로 이 주방위군 부대들이었다.

육군 주방위군은 대략 35만 명, 공군은 10만 명가량으로 총 45만 명에 달한다고 한다.

미국의 전직 대통령인 조지 부시 주니어(조지 부시의 아들)는 공군 주방위군에서 중위로 복무한 적이 있으며,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도 베트남 전쟁 시기에 육군 주방위군의 소속이었으나 소집은 되지 않았다.

2.11. 주방위대[편집]



3. 미국 국토안보부[편집]




해안 경비대는 평시에 국토안보부 소속이다. 국토 안보부는 해안 경비대 뿐만 아니라 미 시크릿 서비스, 정보분석국 등의 강력한 정보기관을 산하에 두고 있다.


3.1. 해안경비대[편집]




해안 경비대는 평시에 국토안보부 소속이나 전시에 미 해군 산하로 소속이 바뀐다.

산하에 정보공동체 소속의 해안경비대정보국(Coast Guard Intelligence and Criminal Investigations Program)이 있다.


4. 예비군[편집]


매달 한 번에 2일 씩 받는 12회의 소집훈련과 15일짜리 동원훈련으로 연 39일의 훈련을 받는 예비군들. 현역에 준하는 훈련수당을 받는다고 한다. 그리고 장비도 현역들에 비해 크게 뒤떨어지지 않으며, 방탄복 등의 기본 장비들도 현역들과 비슷한 수준.

현역에서 전역한 경우와, 처음부터 예비군으로 입대하는 경우가 있다. 연 39일의 훈련이며, 동원훈련빼고 소집훈련은 주말 한번 나가는 수준인지라 생업과 겸할수 있다.

그리고 예비군 예산이 전체 국방비의 9%가량으로, 2010 년 기준으로는 571억 달러. [5]

어쨋든 이 예비군도 미군에게 중요한 전력이다. 아프가니스탄에 파견된 병력에도 예비군과 주방위군이 포함되어 있다.

주방위군에는 육군과 공군만 있으나, 예비군에는 육군, 해군, 해병대와 공군이 모두 있다. 예비군 병력은 2020년 기준 855,600명이다.


5. 해외 주둔 미군 기지 목록[편집]






[1] 이중 5개사단은 서류에만 존재하는 유령사단. [2] 아프리카 사령부임에도 독일에 있는 이유는 아프리카 지역에 고급 장교단(가족 포함)과 지휘통신 체계를 장기적으로 유지할만한 군기지를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해당국가가 친미적이면서 정치가 안정되어 있고, 배후도시가 기지를 지원해줄만한 교통/통신/의료/전력 등 인프라가 있어야 하는데, 아프리카에 그런 도시가... 게다가 아프리카 지역에 무슨 일이 벌어지면 어차피 유럽 주둔 미군을 동원한다는 점도 하나의 요인.[3] 이라크전쟁과 아프가니스탄전쟁으로 야전본부는 카타르도하로 옮겨졌음.[4] 대한민국의 상근예비역 제도와 유사하다.[5] 1달러 당 1,200원으로 계산하면 68 조원 쯤 된다. 한국 국방비 전체보다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