뢴트게늄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인터넷 방송인에 대한 내용은 뢴트게늄(인터넷 방송인) 문서
뢴트게늄(인터넷 방송인)번 문단을
뢴트게늄(인터넷 방송인)#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주기율표
[ 펼치기 · 접기 ]

범례

배경색: 원소 분류
알칼리 금속
||
밑줄: 자연계에 없는 인공 원소 혹은 극미량으로만 존재하는 원소로, 정확한 원자량을 측정하기 어려움.
글자색: 표준 상태(298 K(25 °C), 1기압)에서의 원소 상태, ● 고체 · ● 액체 · ● 기체





111Rg
뢴트게늄
 | 
Roentgenium
분류전이 원소상태고체
원자량281.1684밀도23 g/cm3
녹는점// °C끓는점// °C
용융열// kJ/mol증발열// kJ/mol
원자가//이온화에너지// kJ/mol
전기음성도//전자친화도// kJ/mol
발견독일 중이온연구소 (1994)
CAS 등록번호//
이전 원소다름슈타튬(Ds)다음 원소코페르니슘(Cn)



파일:roentgenium.png
1. 개요
2. 상세


Roentgenium (Rg)

1. 개요[편집]


원자번호 111번의 원소. 모든 동위원소가 반감기가 짧은 인공 방사성 원소이다.


2. 상세[편집]


이름의 유래는 X선을 발견한 빌헬름 콘라트 뢴트겐으로, 2004년에 뢴트겐의 X선 발견 100주년을 기념해 붙여졌다.

뢴트게늄의 합성은 1994년 독일의 중이온연구소의 연구팀에 의해 행해졌다. 뢴트게늄은 알파 붕괴로 마이트너륨이 되고, 이어서 보륨, 더브늄, 로렌슘으로 변화한다.

자세한 화학적 및 물리적 성질은 밝혀져 있지 않으나, 구리족 원소의 추세를 따른다 가정 시 보다 낮은 반응성을 가져[1] 설령 긴 수명의 동위원소를 얻는다 하더라도 플루오린 등 반응성이 매우 강한 원소를 제외하면 안정된 화합물을 만들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구리족 원소는 주기율표에서 아래로 갈수록 물러지는 점을 감안하면, 금보다 무르며 연성과 전성이 우수한 금속일 가능성도 있다. 뢴트게늄의 녹는점과 끓는점에 관한 구체적인 예측은 없으나, 일단 상온에서는 고체일 것으로 예측되었다.

유색 금속인 금과 달리 은백색의 색을 가질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 예측대로면 구리족 원소의 색상 패턴은 유색(주황)-무색-유색(노랑)-무색이 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00:30:32에 나무위키 뢴트게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금은 금속 중 반응성이 제일 작은 원소 중 하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