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징 볼트태클즈 (r9판)

편집일시 :




파일:라이징볼트태클즈_로고.png
라이징 볼트태클즈의 심볼

1. 개요
2. 소개
3. 소속 인물
4. 동행하는 포켓몬
5. 브레이브 담청호
5.1. 이름
5.2. 구조
6. 떡밥


1. 개요[편집]


파일:[YE]_Pocket_Monsters_(2023)_-_016_(TVO_1280x720_x265_10bit_AAC).mkv_000324478.png
[1]
ライジングボルテッカーズ | Rising Volt Tacklers

우리들의 사명은 포켓몬의 비밀, 세계의 비밀을 파헤치는 것, 사람들이 부르길, 라이징 볼트태클즈다!

프리드박사

포켓몬스터(2023년 애니메이션)의 등장하는 조직. 이름의 유래는 캡틴 피카츄의 기술인 볼트태클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일본판의 명칭은 라이징 볼테커즈이며, 영어판의 명칭은 영어 문법에 맞게 라이징 볼트태클러즈로 수정되었다. 심볼도 볼트태클을 사용하는 피카츄의 모습을 하고 있다. 팬덤에서는 라볼즈라는 약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2. 소개[편집]


프리드박사가 리더로서 거대한 비행선을 타고 세계를 여행하는 조직으로 사명은 포켓몬과 세계의 수수께끼를 밝혀내는 것이다.

본편 시점에서는 리코의 어머니에게 보디가드 부탁을 받고, 펜던트의 비밀을 밝히기 위해 리코와 함께 모험을 하게 된다. 6화를 기점으로 로드도 합류하게 된다.

주먹을 맞대고 머리 위로 손을 두 번 올리는 특유의 인사법이 있다. 첫번째 올릴 때는 손바닥이 앞으로 가게, 두번째 올릴 때는 손바닥이 뒤로 가게 올린다.[2] 두 번째 오프닝에서도 이 인사법이 등장했다.

18화에서 라이징 볼트태클즈의 결성 기원이 밝혀졌는데 프리드 박사가 연구에 열의를 잃었던 무렵 하늘을 나는 피카츄를 만나고 함께 경치를 본 것을 계기로 넓은 세계를 보고 싶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름인 라이징 볼트태클즈도 피카츄가 볼트태클로 라이징(날아올랐던 것)했던 것처럼 어디까지나 높게 날아오르자는 의미인 것.


3. 소속 인물[편집]




  • 엔지니어[3] : 올라






  • 전 객원 멤버[4] : 다이애나


4. 동행하는 포켓몬[편집]



파일:라볼아이캐치.jpg
아이캐치에 등장한 라이징 볼트태클즈의 야생 포켓몬

라이징 볼트태클즈와 동행하고 있는 야생 포켓몬들로, 포트데스와 데인차, 파밀리쥐를 제외한 모두 리코와 로드가 브레이브 담청호에 탑승하기 전이 이미 라이징 볼트태클즈와 여행을 같이 한 포켓몬이다. 추가로 30화에서 포트데스와 데인차가, 38화에는 파밀리쥐가 라이징 볼트태클즈에 합류했다. 원래 뜨아거와 꾸왁스도 똑같이 야생 포켓몬에 속했으나, 이 둘은 각각 6화, 16화에 로드, 도트가 포획했다.

야생 포켓몬인 만큼 주인이 따로 없으며, 포트데스와 데인차, 파밀리쥐를 제외한 나머지는 어떤 계기로 인해 브레이브 담청호에 탑승하게 되었는지 밝혀지지 않았다. 30화의 포트데스의 합류 사례를 보면 비행선이 잠시 지상에 정박해 있는 사이 배에 탑승했다가 그대로 배에 눌러 살게 된 것으로 보인다. 어찌 보면 무임승차(...)이긴 하나, 프리드박사를 비롯한 라이징 볼트태클즈 멤버들은 크게 신경쓰지 않는다.[5]

재미있는 점은 야생 포켓몬들 모두 선내에 한 가지 맡은 역할이 있으며, 이 중에는 비행선 내의 쓰레기 처리나 연료를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도 있다. 어찌보면 라이징 볼트태클즈 멤버들은 이 야생 포켓몬들에게 음식과 거처를 제공하고, 포켓몬들은 각자 역할을 맞아 비행선 운항에 도움을 주는 공생 하는 셈이다.[6] 다만 눈꼬마나 빠모처럼 맡은 역할이 다소 불분명한 포켓몬도 존재한다.

4.1. 질뻐기(알로라의 모습)[편집]


파일:알로라질뻐기_라이징볼트태클즈.png

성우는 미야케 켄타. 창고 근처의 쓰레기처리장에 있으면서 쓰레기를 받아 먹어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몸이 상당히 끈적한 편인지, 질뻐기 몸에 달라붙은 포트데스가 한참 동안이나 달라 붙어 있어야 했다. 생긴 것과 다른게 겁이 많은지, 어리짱이 자신을 보고 깜짝 놀라자 질뻐기도 덩달아 놀라 기절한다(...)

4.2. 야부엉[편집]


파일:라볼야부엉.png

전망대에 있으면서 비행선 전, 후방을 정찰하는 역할을 하며, 다른 야생 포켓몬들을 보호하는 모습도 보인다.

4.3. 단단지[편집]


파일:라볼단단지.jpg

나무 열매로 주스를 만들어 라이징 볼트태클즈 일원들에게 주스를 주는 역할을 한다.

4.4. 마그마그[편집]


파일:라볼마그마그.png

기관실에서 탄차곤과 함께 비행선에 필요한 연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4.5. 코코파스[편집]


파일:라볼코코파스.png

조타실에서 나침반 역할을 한다.

4.6. 눈꼬마[편집]


파일:라볼눈꼬마.png

주로 냉장고가 있는 부엌에 있거나 다른 야생 포켓몬들과 포켓몬 푸드를 먹거나 함께 놀면서 지내고 있다.

빠모와 마찬가지로 배 안에서 맡은 역할이 딱히 없다. 37화에서 단단지의 나무열매 주스를 차갑게 해준 후 로드에게 주는 장면이 있으나 그 이외에는 특별하게 역할이라고 부를 만한 것이 없다. 의외로 리코와 같이 있거나 주인공들의 포켓몬들과 엮이는 장면이 은근 자주 나와 빠모와 마찬가지로 추후 리코나 로드, 또는 도트가 포획하는 것 아니냐는 일부 추측도 있다.

4.7. 탄차곤[편집]


파일:라볼탄차곤.jpg

기관실에서 마그마그와 함께 비행선에 필요한 연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4.8. 빠모[편집]


파일:빠모_라이징볼트태클즈.png

성우는 아오야마 요시노. 겁이 많고 낯가림이 있다. 평상시엔 몰리나 럭키 혹은 다른 비행선 포켓몬들과 함께 있는 편이며, 눈꼬마와 같이 맡은 역할이 딱히 없다. 다른 비행선 포켓몬들은 자신들만의 상시주거 구역이 있고 그곳에서 맡은 역할을 수행하는 모습이 자주 묘사되는 편인데, 빠모와 눈꼬마는 그런 모습이 묘사된 적이 없다.

빠모가 비행선에서 맡은 역할이 없는 건 리코로드, 혹은 도트가 포획할 예정이라 비행선에서 맡고 있는 역할이 없는게 아니냐는 추측이 있다.

실제로 포획하게 된다면 이 중 리코가 포획할 가능성이 높은데 1화에서 이 리코에게 빠모를 본 적이 없냐고 물어본 적이 있고, 12화에서 리코의 아버지인 알렉스가 빠모를 그리는 모습이 나왔다. 게다가 17화에선 리코가 겁에 질린 빠모를 안심시켜주며 눈이 마주치기도 했다. 17화 이후에도 서로를 의식하진 않지만 빠모가 있는 곳에 리코가 함께 있는 등 가능성 있어보이는 장면들이 몇몇 있는 편이다. 그리고 우연일수도 있지만 리코+나오하+빠모 조합으로 애니메이션 공식 스티커 굿즈가 나왔다.

하지만 이 외엔 별다른 떡밥이 없어서 지금까지 처럼 트레이너 없이 지낼 수도 있고, 평소 럭키와 함께 빠모를 돌봐주던 몰리가 포획할 가능성도 있다.

4.9. 포트데스(진작품), 데인차[편집]


파일:라볼포트데스데인차.jpg

30화에 합류한 야생 포켓몬으로, 포트데스는 배에 들어가 포켓몬들과 친구가 되어 합류하였으며, 데인차는 다이애나가 가지고 있던 오래된 찻잔에 포트데스가 차를 부어내어 만들어졌다.


4.10. 파밀리쥐(네 식구)[편집]


파일:VideoCapture_20240204-194937.jpg

38화에 합류한 야생 포켓몬으로, 두리쥐 한 마리와 아기쥐 두 마리가 폭풍으로 인해 동굴에서 갇혔고, 유일하게 갇히지 않은 두리쥐는 도움을 요청하려고 하나 부상을 입고 쓰러진 상태였다.

다행히 부상을 입은 두리쥐는 몰리의 럭키의 치유의파동으로 회복하고, 다른 식구들도 리코의 몸지브림의 활약으로 무사히 구출 된다. 도중에 동굴이 무너져내려 갇히게 되었지만 리코와 몸지브림 덕에 회복한 파밀리쥐들이 동굴에 새로 출구를 만들어 다같이 탈출에 성공하고 재회해서 완전한 파밀리쥐가 된 파밀리쥐 식구들은 라이징 볼트태클즈와 같이 지내게 된다.
주로 물건 옮기는 일을 한다.

5. 브레이브 담청호[편집]


파일:20230328_151049.jpg

라이징 볼트태클즈가 세계를 여행하는데 사용하는 거대한 비행선. 일본판의 명칭은 브레이브 아사기호. 라이징 볼트태클즈와 여러 야생 포켓몬들[7]이 거주하고 있다.

18화에 따르면 본래는 러들로의 낚시배였으나, 올라가 프리드의 의뢰를 받고 비행선으로 개조한 것이다.

44화에서 레쿠쟈와 부딫혀 앞부분이 망가진다.

타카라토미에서 브레이브 담청호를 재현한 굿즈가 출시되었다.# 한국에선 아카데미에서 정발되었다.#

5.1. 이름[편집]


비행선의 이름인 '아사기'는 성도지방담청시티의 일본어 명칭과 동일하다. 한국판은 담청시티에서 그대로 따와 '브레이브 담청호'로 번역되었으며, 영어판도 담청시티의 영어 명칭인 올리빈 시티(Olivine city)에서 따와서 '브레이브 올리빈'이 되었다.

18화에 개조 전 배의 이름이 담청호로 언급되었는데 이를 보면 러들로의 출신지가 담청시티일 가능성이 있다.

5.2. 구조[편집]


파일:[Some-Stuffs]_Pocket_Monsters_(2023)_002_(1080p)_[B4908A88].mkv_000604589.png파일:introduction_slide06.jpg
  • 날개(배틀 필드)
평상시엔 날개 형태로 있다가 필요할 때 배틀 필드로 전환이 가능하다. 배틀 필드로 전환 시 주변에 보이지 않는 막이 생겨 라이징 볼트태클즈와 관련 없는 인물은 들어올 수 없도록 되어있으나[8] 포켓몬의 기술에 금방 뚫리는 등 내구력은 그다지 좋지 않다.

파일:아사기호조타실.png파일:20230525_183427.jpg
  • 조타실
선장인 캡틴 피카츄와 프리드 박사의 담당 구역으로 배의 운전을 맡는 곳이다. 코코파스가 나침반 역할을 맡고 있다.

파일:아사기호엔진룸.png파일:20230522_220217.jpg
  • 기관실
오리오의 담당 구역으로 불꽃타입 포켓몬의 도움을 받아 비행선 운용에 필요한 연료를 공급한다. 프리드의 리자몽이 가끔 화염방사를 사용해 지원해준다. 마그마그의 방이기도 하기에 초인종이 있다고 한다.

파일:아사기호부엌.png파일:아사기호부엌2.png
  • 부엌
머독의 담당 구역으로 음식을 요리하는 공간.

파일:아사기호미팅룸.png파일:20230522_220214.jpg
  • 미팅룸
라이징 볼트태클즈 일원들이 다같이 모이는 공간. 스크린과 프로젝트가 있어서 회의 용도로 쓰이기도 한다.

파일:아사기호의료실.png파일:20230523_151448.jpg
  • 구호실
몰리의 담당 구역으로 부상을 입은 포켓몬이나 사람을 치료하는 공간.

파일:아사기호전망대.png파일:20230525_183431.jpg
  • 전망실
엘리베이터로 이동할 수 있으며 2화에서 리코가 익스플로러즈로부터 몸을 피해 숨었던 곳이다. 5화에서 로드가 뜨아거를 찾기 위해 이곳에 방문했으며, 21화에선 야생 몸지브림이 비를 비해 이곳으로 왔다.

  • 도트의 방
도트의 담당 구역으로 정보 수집 및 그 외의 작업을 하는 공간. 일반적으로 다른 사람들은 함부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문을 굳게 잠그고 있다. 아래에 있는 작은 구멍을 통해 꾸왁스, 어리짱이 드나들거나 종이에 그림을 그려서 소통한다.


6. 떡밥[편집]


두 번째 오프닝 마지막 장면에서 라이징 볼트태클즈 전원이 손바닥 인사를 하는데, 맨 오른쪽이 비어있다. 엔딩 크레딧의 손바닥 인사 장면에선 빈틈이 없었는데, 오프닝에선 빈틈이 노골적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라이징 볼트태클즈에 새로운 멤버가 들어오는 거 아니냐는 추측이 있다. 다이애나가 아니냐는 추측도 있지만, 다이애나는 25화 마지막부터 동행하기 시작했는데 정식 멤버는 아니며 34화에서 라이징 볼트태클즈를 떠나는 걸로 확정되었다.

[1] 1~2쿨 오프닝의 맨 마지막 장면이다. 도트는 9화 오프닝에서 추가되었으며 엔딩에서는 16화에서 추가되었다.[2] 몬스터볼을 던지고, 볼에서 포켓몬이 나오는 모습을 형상화 한 것으로 추정된다.[3] 비행선 운용에 필요한 연료를 공급하는 역할도 맡고 있다.[4] 정규 구성원이 아니면서 빈객(賓客)으로 우대를 받아 참여하는 사람을 뜻한다.[5] 머독: "어떤 포켓몬이 어떻게 탑승하든 그런 사소한 일은 상관없어, 마음에 들기만 하면 뭐든 좋지! 그것이 바로 브레이브 담청호인 거다!"[6] 어찌보면 전작의 고우의 문제점을 개선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포획에만 집착하고 정작 잡은 포켓몬들은 대부분 활용하지 않고 연구소에 맡겼던 고우와는 달리 볼트태클즈 멤버들은 위에 써져있는 머독의 대사처럼 포켓몬들이 합류하는 것에 크게 신경쓰지 않으며, 포획에도 집착하지 않는다. 합류한 포켓몬들 또한 대부분 가만히 있지 않고 멤버들을 도우며 공존하고있다.[7] 이들 중 뜨아거는 로드의 파트너 포켓몬이 되었으며, 꾸왁스는 16화에서 도트에게 포획되어 도트의 파트너 포켓몬이 되었다.[8] 라이징 볼트태클즈 관련 인물이나 포켓몬은 따로 인식이 되는지 프리드박사의 리자몽은 별 문제 없이 들어오는 모습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