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동작중학교

덤프버전 :



이 문서는 학교 관련 문서이며, 로그인 후 수정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동작중학교
銅雀中學校
Dongjak Middle School
파일:동작중학교.png

개교1984년 12월 8일
유형일반계 중학교
성별남녀공학
형태공립
교장김허중
교감-
교훈높은 슬기, 바른 마음, 튼튼한 몸
교화개나리
교목잣나무
학생 수377명[기준]
교직원 수36명[기준]
관할 교육청서울특별시교육청 | 동작관악교육지원청
주소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대로 39가길 83
홈페이지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학교 연혁
3. 교훈 및 상징
3.1. 학교 상징
4. 학교 특징
4.1. 복장
5. 학교 시설
6. 학교생활
6.1. 주요 행사
6.2. 학교 일과
6.3. 시간표
7. 출신 인물
8.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8.1. 지하철
8.2. 버스[1]
9. 기타



1. 개요[편집]


1985년 3월 5일 개교한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동 소재의 남녀공학 중학교이다.


2. 학교 연혁 [편집]


1984.12.08동작중학교 15학급 설립인가
1985.03.01초대 문상렬 교장 취임
1985.03.05신입생 입학(남 6학급, 여 6학급)
1985.04.25개교식
1988.02.29제1회 졸업식(남 6학급, 여 6학급)
2005.12.20교육부선정 전국100대 교욱과정 우수학교 표창
2005.12.29동작교육청 선정 교육과정 우수학교 표창
2007.02.08학교평가 학교교육 목표 영역 동작교육청 우수학교 표창
2008.12.26서울특별시교육청 독서토론논술교육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2008.12.30동작교육청 학교경영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
동작교육청 교육과정운영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
2009.12.29교육과정자율화, 학력신장방안추진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2009.12.30과학교육 우수학교, 영어공교육강화 우수학교, 학교평가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
2010.12.30동작교육지원청 특별활동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
2010~2011C-1형 교과교실제 시벙학교 운영
2012~2013발명교육 연구학교 운영
2013~2015교육부지정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운영
2013.12.23자유학기제운영 우수학교 교육부장관 표창
2013.12.30자유학기제 연구학교 운영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2014.12.22교육기부활용교육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2015.12.22서울교육시책구현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
2016.12.12서울독서교육대상 교육감 표창
2016.12.26진로교육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2018.09.01제13대 이종화 교장 취임
2018.12.31학생자치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
2018.12.31학부모 학교교육참여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2019.12.20학생자치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
2020.12.31반부패•청렴활동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
2020.12.31학교예술교육활성화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2020.12.31자유학년제 내실화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2021.12.31인성교육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2021.12.31학생 자치활동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2023.01.04제36회 졸업식(남95명, 여47명 계 142명)


3. 교훈 및 상징[편집]


출처: 동작중학교 홈페이지https://dongjak.sen.ms.kr/102692/subMenu.do


3.1. 학교 상징[편집]


교목잣나무
교화개나리
교훈높은 슬기, 바른 마음, 튼튼한 몸


4. 학교 특징[편집]


학교가 산 중턱에 위치해 있어 등교 난도가 높다고 알려져 있다.

등교 방법은 두 가지다. 정문등교[2] 혹은 후문등교.[3]

등굣길에 적응한 후에는 거뜬해지지만 지각할 각이 잡혔다면... [4]


4.1. 복장[편집]


동복후드집업, 셔츠, 조끼, 넥타이, 바지 or 치마
춘추복셔츠, 조끼, 넥타이, 바지 or 치마
생활복[5]반팔카라티, 반바지
체육복집업, 바지
동복(춘추복)은 공동구매, 생활복과 체육복은 개학 후 개별 구매한다.

교복 위 사복을 입을수 있지만 안에 교복을 입지 않으면 안된다. 몰래 체육복이나 후드집업 안에 사복을 입을 수 있다

19년도 입학생부터 후드집업이 생겼다.[6] 현재 학생들이 하복이라고 부르는 옷은 생활복이고, 진짜 하복은 사라졌다. 사라진 교복들(재킷, 하복, 가디건 등)은 운이 좋다면 교복 물려 입기에서 발견할 수 있다.


5. 학교 시설[편집]


  • ㄷ자 형태의 학교 본 건물과 2014년에 완공된 드림관을 사용한다.

본관3본관4
본관3본관4
드림관 3후문운동장본관2후관2
드림관 2본관1후관1
드림관 1정문
[7]

  • 본관
1층: 과학 1~3실[8], 체육 준비실, 당직실
2층: 교장실, 행정실, 방송실, 교무실
3층: 교실 3개, 다목적실, 수학 2~3실
4층: 교실 5개

  • 후관
1층[9]: 사회 1~2실, 스케치룸, 도란도란실[10], 밴드부실[11] ,기술실
2층:영어 1~3실[12], Wee클래스, 컴퓨터실
3층: 교실 4개, 생활안전부
4층: 교실 4개, 국어 1실

  • 연결다리
1층: 가정실, 진로실
2층: 학년부실, 보건실
3층: 수학 1실, 도서실
4층: 국어 2실, 미술실 [13]

  • 중앙정원
2022년 10월 새로 공사를 마쳤다. 벤치와 테이블이 있어서 가끔 점심시간에 이곳에서 자습하는 학생도 있다.

  • 드림관[14][15]
1층: 탁구실, 다목적실, 무용실
2층: 급식실
3층: 체육관

  • 운동장[16]
정자, 축구 골대, 철봉[17], 식수대[18]가 설치되어 있다.


6. 학교생활[편집]



6.1. 주요 행사[편집]


  • 입학식: 3월

  • 현충원 봉사: 5월~7월 사이에 한 번 실시하며, 비석 닦기 혹은 헌화를 한다.

  • 체육대회: 5월 혹은 10월

  • ''꿈예술제:12월 말에 있는 동작중 최대 행사. 오전에는 학급부스들을 체험하고 오후에는 공연을 관람한다. 무려 '복면가왕'''이 있다! 복면가왕 지원자는 최소 10명은 되는 편. 오디션을 통해 5명으로 줄인다.

  • 독서의 날: 1년 1회 학기 말에 진행하며 1,2교시에는 소설 작가분이 오셔서 강의를 하고 3,4교시에는 문학활동을 한다.

  • e스포츠 대회:2022학년도 학생회장 공약으로 나왔던 행사. 이후 개최 불분명. 종목은FIFA리그오브레전드가 있었다.


6.2. 학교 일과[편집]




6.3. 시간표[편집]




7. 출신 인물[편집]




8.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편집]



8.1. 지하철[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1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1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8.2. 버스[19][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1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1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9. 기타[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07:42:36에 나무위키 동작중학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기준] A B 2023학년도 3월 1일[1] 학교에서 제일 가까운 정류장도 언덕 아래에 있다.[2] 어느 방향으로 오던지 엄청난 언덕을 겪어야 한다. [3] 동작초와 동작중학교의 경계에 있다. 동작초 후문으로 학교 안까지 올라와야 한다.[4] 수업 시작 시간 전까지만이라도 들어가서 생기부 기재만큼은 면해야 한다[5] 일부 학생들은 4계절 내내 생활복을 입는다.[6] 그전엔 교복 재킷이었다[7] 드림관은 학생들이 사용하는 부분만 기재해놓았다.[8] 복도에 과학 관련 액자들이 부착되어 있다.[9] 후관 1층은 화장실이 없다[10] 학생회실 혹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한다[11] 밴드부실에 rgb led 스트립이 박혀져 있다 기술적 한계로 계속 깜빡이는 문제가 있다[12] 영어실 중 하나는 선생님들만의 카페(식사, 시험문제 내기)로 사용된다. [13] 4층 계단은 커플들의 애정행각 스팟이다...[14] 재학생 중에 드림관이라고 부르는 사람은 정말 없다. 심지어 드림관이라는 이름의 존재를 모르기도 한다..[15] 이곳만 학교의 와이파이가 터지지 않는다[16] 산 방향 벽에 벽화가 그려져있는데, 식수대 옆 어린왕자 이마에 배수구가(...) 위치해 있다. 재학생들에게는 웃음 포인트[17] 철봉이 있는 부분은 폐타이어로 구역이 나누어져 있는데, 그걸 밟으며 논다.[18] 여름이면 재학생들이 물놀이를 한다.[19] 학교에서 제일 가까운 정류장도 언덕 아래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