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블루스

덤프버전 :

파일:Annie_Award.png
윈저 맥케이상
[ 펼치기 · 접기 ]

20세기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1972년1973년1974년
맥스 플라이셔데이브 플라이셔월터 란츠텍스 에이버리프리즈 프레렝
1974년1975년
척 존스아트 배빗윈저 맥케이그림 네트윅월트 디즈니
1975년1976년
존 허블리페이스 허블리노먼 맥라렌로버트 캐넌휴 하먼
1976년1977년
루돌프 이징마이클 말테스조지 팔워드 킴볼윌리엄 해나
1977년
조셉 바베라멜 블랭크오스카 피싱거빌 스콧밀트 칼
1978년
제이 워드어브 아이웍스딕 휴머칼 스탈링한스 콘리드
1979년1980년
클라이드 제로니미빌 멜렌데즈매 퀘스텔오토 메스머올리 존스턴
1980년1981년
프랭크 토머스칼 하워드폴 줄리안라번 하딩T. 히
1981년1982년
빌 피트빌 타이틀라존 휘트니켄 헤리스켄 엔더슨
1982년1983년
브루노 보제토준 포레이도날드 W. 그레이엄마크 데이비스에릭 라슨
1983년
프레드 무어클라렌스 내쉬볼프강 레이더먼레오 살킨스티븐 보수스토
1983년1984년
윌프레드 잭슨다우스 버틀러데이비드 핸드잭 키니마이클 라
1984년1985년
로버트 매킴슨리처드 윌리엄스해밀턴 러스크로버트 아벨프레스턴 블레어
1985년
조 그랜트존 핼러스스털링 홀러웨이짐 맥도날드필 먼로
1985년1986년
벤 워셤프레더릭 백샤머스 컬해니윌리엄 T. 허츠이르벤 스펜스
1986년1987년
에머리 호킨스존 란즈베리폴 드리센잭 해나빌 리틀존
1987년1988년
모리스 노블켄 오코너노먼 퍼거슨멜 쇼랠프 박시
1988년1989-1990년
밥 크렘펫티사 데이비드가와모토 기하치로버질 로스아트 클로키
1989-1990년
힉스 로키알렉스 로비돈 메식데즈카 오사무레스터 노브로스
1991년
레이 해리하우젠허버트 클린밥 커츠유리 노르슈테인조 시라쿠사
1991년1992년1993년
루스 키산레스 클라크스탠 프레버그데이비드 힐버만조지 더닝
1993년1994년
로이 E. 디즈니잭 잰더에드 베네딕트아서 데이비스장 밴더 필
1995년1996년
줄스 엥겔반스 게리댄 맥로린메리 블레어버니 매티슨
1996년1997년1998년
타카모토 이와오윌리스 H. 오브라이언마이런 왈드먼폴 윈첼에위빈드 얼
1998년1999년
미야자키 하야오어니스트 핀토프레이 패터슨마르셀 얀코비츠콘 페더슨
2000년
노먼 맥케이브호이트 커틴루실 블리스

21세기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2001년2002년
빌 저스티스피트 알바라도밥 기븐스진 하젤튼플로이드 노먼
2002년2003년2004년
셔먼 형제진 디치존 헨치썰 라벤스크로프트돈 블루스
2004년2005년
버지니아 데이비스아놀드 스탱코니 콜프레드 크리펜타이러스 웡
2006년2007년
안드레아스 데자겐디 타르타콥스키빌 플림턴존 케인메이커글렌 킨
2007년2008년2009년
존 크릭팔루시마이크 저지존 라세터닉 파크팀 버튼
2009년2010년
제프리 카첸버그브루스 팀브래드 버드에릭 골드버그맷 그레이닝
2011년2012년
월터 페리고이뵈르게 링로널드 설테리 길리엄오스카 그릴로
2012년2013년2014년
마크 헨오토모 카츠히로스티븐 스필버그필 티페트디디에 브루너
2014년2015년
돈 러스크리 멘델슨조 랜프트필 로먼타카하타 이사오
2016년2017년
데일 베어캐롤라인 리프오시이 마모루제임스 백스터스티븐 힐렌버그
2017년2018년2019년
웬디 틸비
아만다 포비스
랄프 이글스톤안드레아 로마노프랭크 브랙스톤곤 사토시
2019년2020년
헨리 셀릭론 클레먼츠존 머스커윌리 이토수 C. 니콜스
2020년2021년2022년
브루스 W. 스미스루벤 A. 아퀴노릴리언 슈워츠스즈키 토시오피트 닥터
2022년
에블린 램바트크레이그 맥크라켄





돈 블루스
Don Bluth
파일:DonBluth.jpg
본명도널드 버질 블루스
Donald Virgil Bluth
출생1937년 9월 13일 (86세)
미국 텍사스 엘패소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가족가족관계
학력브리검 영 대학교 (영문학 / 학사)
직업애니메이터, 애니메이션 감독, 영화 감독
소속월트 디즈니 프로덕션(1955~1960,1970~1979)
필메이션(1967~1970)
20세기 폭스(1993~2000)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 생애
3. 작품 목록
3.1. 애니메이션 제작
3.2. 게임
4. 여담
5. 관련 인물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미국애니메이터, 애니메이션 감독, 영화 감독.


2. 생애[편집]


텍사스 주 앨 패소 출신으로 6살 때 온 가족이 캘리포니아 주의 샌타 애나로 이주한다.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세례를 받고 1954년 유타 주의 브리검 영 대학교를 1년간 다닌 블루스는 휴학을 하고 이듬해 월트 디즈니 프로덕션이 만드는 잠자는 숲속의 공주를 작업하던 존 룬스베리의 조수로 고용되었는데 이 때 맡은 작업을 하던 도중 1957년에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선교사로 2년 반 동안 아르헨티나에서 머물기도 했다.

1959년 귀국한 블루스는 캘리포니아 주 컬버 시티에 극장을 운영하면서 뮤지컬을 만들었으며 대학에 복학해 1967 영문학 학위를 받았다. 대학 졸업 직후 필메이션에 입사하면서 애니메이션 업계로 돌아와 1971년부터 다시 디즈니에서 애니메이터로 일하게 된다. 1977년 나인 올드 맨의 (활동 중이던) 멤버들과 애니메이터 감독으로 승진하였으며, 이듬해 The Small One을 제작한 후, 토드와 코퍼를 만들던 도중 경영진과 애니메이션 교육 관행 & 예술적 제어를 두고 서로 대립하다 끝내 견해를 좁히지 못하여 9명의 동료 애니메이터를 데리고 디즈니를 나와 돈 블루스 프로덕션을 설립했다.

1982년 'NIMH의 비밀(마우스 킹)'을 시작으로 데뷔한 블루스는, 박스 오피스 실적과 평론가들의 찬사에도 불구하고 미비한 총수입과 당시 발발한 애니메이션 업계의 파업으로 파산 신청을 하였으며, 이 때 노르웨이 민담 '동쪽의 해와 서쪽의 달'을 바탕으로 한 애니메이션 작품을 제작하려 했지만 끝내 불발되었다.

1985년 캘리포니아에 포메로이, 골드만, 모리스 설리반(Morris Salivan)과 공동으로 설리반 블루스 스튜디오를 설립하였으며, 차후 들어올 인센티브의 활용을 위하여 아일랜드로 스튜디오를 이전하였다. 이듬해와 1988년엔 스티븐 스필버그와 협력하여 피블의 모험(The American Tail)과 공룡시대를 제작하여 두 작품 모두 제작비의 몇 배를 뛰어넘는 대흥행을 거두었지만, 1989년 <모든 개는 천국에 간다>(All Dogs Goes to Heaven)를 만들기 전부터 블루스는 스필버그와의 작업 관계를 중단하게 된다.

이후 1997년 자신이 제작해 20세기 폭스가 배급한 아나스타샤가 흥행에서 양호한 실적을 거두었는데, 바로 3년 후 타이탄 A.E.에서 제작비의 절반에 미친 성과로 저조한 흥행을 거두자 20세기 폭스는 자체 애니메이션 스튜디오를 폐쇄하였고 블루스 자신도 극장판 애니메이션 제작에서 물러나게 된다.

그리고 2015년 10월, 블루스는 골드만과 같이 Dragon's Lair를 바탕으로 한 극장판 영화 제작을 위한 킥스타터 캠페인을 시작하였으며, 14일 만에 목표액 수치인 25만 달러를 도달하였다. 5년 뒤(2020년) 9월 11일, 블루스는 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를 시작했다고 발표하였으며 완성된 작품은 라이브 스트리밍을 진행한 뒤 유튜브 계정에 업로드될 것이라고 밝혔다.


3. 작품 목록[편집]



3.1. 애니메이션 제작[편집]


  • 스몰 원(The Small One,1978)
  • 나무더미 고양이 밴조(Banjo the Woodpile Cat,1979)
  • 마우스 킹(The Secret Of NIMH,1982)
  • Dragon's Lair(1984)[1]
  • 파이블의 모험(An American Tail,1986)
  • 공룡시대(The Land Before Time,1988)
  • 찰리의 천국여행(All Dogs Go to Heaven,1989)
  • 에디의 환상여행(Rock-a-Doodle,1991)
  • 썸벨리나(Thumbelina,1994)
  • 센트럴 파크의 요정(A Troll in Central Park,1994)
  • 페블과 펭귄(The Pebble and the Penguin,1995)
  • 아나스타샤(Anastasia,1997)
  • 바톡(Bartok the Magnificent,1999)[2]
  • 타이탄 A.E.(Titan A.E.,2000)

3.2. 게임[편집]



4. 여담[편집]




5. 관련 인물[편집]


  • 영향을 받은 인물
    • 존 라운스베리(John Rounsbery) & 나인 올드맨(Nine Old Men) 멤버들 : 직접적인 멘토는 존 라운스베리였으며, 애니메이션 기법을 배우는 데 있어선 나인 올드맨 멤버들과 종종 상담을 했었다.

  • 동료 - 이들을 포함한 8명의 멤버들과 함께 돈 블루스 프로덕션을 설립하였다.
    • 존 포메로이(John Phomeroy)
    • 게리 골드만(Gerry Goldman)



  • 상사
    • 월트 디즈니
    • 루 샤이머 & 놈 프레스콧 : 애니메이터 시절 일했던 필메이션의 설립자이자 책임 제작자.

  • 추종자
    • 노스탤지어 크리틱 : 어릴 적부터 돈 블루스의 작품들을 무척 좋아했으며 자신만의 재능을 몸소 보여준 최고의 애니메이터라고 생각한다는 말을 했었고 Dragon's Lair를 플레이하며 리뷰하는 영상에서는 돈 블루스 본인을 직접 모셔와서 함께 진행하기도 했다.[3] 특히나 마우스 킹(The Secret Of NIMH)과 파이블의 모험(An American Tail)은 지금까지도 본인이 가장 좋아하는 인생작이라며 입이 닳도록 극찬했으며, 이 둘이 나중에 정식 리뷰 영상으로 올라왔을 때에도(#,#) 경이로운 애니메이션 작화와 훌륭한 음악, 인상적인 캐릭터들 덕분에 여전히 다시 봐도 재미있는 명작이라는 평을 남겼고 아나스타샤(Anastasia)와 그 스핀오프작인 바톡(Bartok the Magnificent)을 리뷰했을 때에도(#,#) 아이들한테 재미있다고 추천해주기에는 애매하고 명작까지는 아니지만 그래도 돈 블루스만의 색채가 잘 드러나는 건 여전히 좋다면서 괜찮은 수작 정도로 평가를 해주는 등 잘 만든 작품들에는 호평을 아끼지 않았다. 다만 에디의 환상여행(Rock-a-Doodle)이나 페블과 펭귄(The Pebble and the Penguin)같이 평이 좋지 않거나 애매한 경우의 작품들을 리뷰했을 때는(#,#) 이야기 전개가 이상하고 뜬금없거나 캐릭터들에 매력이 안 느껴지는 참 이상한 작품들이라고 단호한 평가를 하기도 했으며 특히나 센트럴 파크의 요정(A Troll in Central Park)을 리뷰했을 때에는(#) 캐릭터들도 비호감이고 음악도 성가시고 이야기 전개도 납득이 안 가서 아무리 돈 블루스를 좋아해도 이건 정말 끔찍하다며 혹평을 날리기도 했다.[4]


6.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3 22:23:33에 나무위키 돈 블루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게임 속 애니메이션 제작 담당[2] 아나스타샤에서 등장했던 감초 캐릭터 포지션인 바톡을 주인공으로 한 스핀오프작.[3] 그런데 그의 작품들을 좋아하며 추종하는 것과는 별개로 해당 리뷰 영상에선 돈 블루스가 게임을 진행하며 싫증을 내는 크리틱에게 은근슬쩍 계속 약올리며 태클을 걸자 크리틱이 버럭하면서 실랑이를 벌였고 돈 블루스가 사악한 눈빛(…)으로 노려볼 때는 무척 질색을 했다. 물론 영상제작을 위한 컨셉을 잡고 진행한 걸 수도 있다.[4] 특히 해당 리뷰영상 시작 부분부터 리뷰하기 싫어서 대뜸 욕설부터 날리다가 간신히 화를 삭이고 시작하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뮤지컬 파트에서는 제발 노래하지 말라고 질색을 하며 마이 리틀 포니, 케어 베어, 텔레토비, 개구쟁이 스머프, 바비, 바니와 친구들 같은 유아용 프로그램들에서 나오는 노래들도 이것보다는 터프할 거라며(...) 가루가 되도록 깠다. 그리고 이후 사악한 트롤 여왕의 발악으로 돌이 되어버린 주인공 요정이 아이들의 도움을 받아 다시 되살아나서 뉴욕시 곳곳에 꽃을 피우는 엔딩장면을 보고는 저 요정놈이 꾸몄던 사악한 계획이 저거였냐고 기겁하며 포이즌 아이비랑 팀 먹으려는 거냐(...)며 신랄하게 디스를 하는 게 압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