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전방송

덤프버전 :

파일:대전방송 로고.svg 관련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대전광역시의 언론사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전방송 로고.svg주식회사 대전방송
株式會社 大田放送
Taejon Broadcasting Co., Ltd.
TJB
||
새롭고 즐거운 방송
설립1994년 9월 8일
개국TV1995년 5월 14일
라디오1998년 3월 2일
대표이사이광축
본사 소재지


대전방송
대전광역시 유성구 엑스포로 131 (지번: 도룡동 4-18)
채널TVTJB TV
라디오TJB 파워FM
링크파일:대전방송 로고.svg
유튜브파일:대전방송 로고.svg NEW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TJamB
실시간파일:대전방송 로고.svgTV온에어, 라디오 온에어
법인 정보
[ 펼치기 · 접기 ]

법인형태주식회사
업종명방송사업, 문화서비스업, 광고사업
상장유무비상장기업
기업규모중견기업
모회사우성사료
임직원수119명
소재지대전광역시 유성구 엑스포로 131 (지번: 도룡동 4-18)

파일:대전방송 로고.svg
TJB TV
TJB 텔레비전
||
TJB-SBSu[DMB]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개국1995년 5월 14일 (29주년)
ATV
HLDF-TV[1]
HLDF-DTV
HLDF-UHDTV
HLDF-TDMB[2]
채널
번호
ATV
22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2E3091,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대전)]|19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2E3091,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천안)]|60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2E3091,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보령)]|52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2E3091,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서산)]|13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2E3091,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CMB)]|
5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2E3091,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티브로드)]
15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2E3091,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대전)]|45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2E3091,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천안)]|48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2E3091,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보령)]|20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2E3091,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서산)]|6-1
가상


13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2E3091,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CMB)][3]5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2E3091,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B tv 케이블)][4]/[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2E3091,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IPTV)]/[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2E3091,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스카이라이프)]
53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2E3091,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대전)]|6-1
가상

[5]
방송
품질
ATV
화질
NTSC-M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C1B23,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480/60㎐)][ATV]
음향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C1B23,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FM-FM 투 캐리어 스테레오)][ATV]
화질
ATSC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C1B23,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FHD 1080i)][6],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C1B23,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UHD 2160p(4K))][7]
음향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C1B23,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5.1 돌비 디지털 서라운드)][8],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C1B23,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MPEG-H 3D Audio)]
화질T-DMB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C1B23,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240p(QVGA))]
음향[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C1B23,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MPEG-4 BSAC)]
방송망SBS 네트워크
언어한국어
가시청권역대전광역시,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운영주체
편성
대전방송 편성제작팀[9]
공급
SBS 콘텐츠전략본부[10]
방송책임
편성
김형민 (편성제작국장)
광고
정왕희 (마케팅광고국장)
소유주식회사 대전방송
||

1. 개요
2. 로고
3. 사옥
4. 로고송, ID
5. 연중캠페인
6. 송출 현황
6.1. 방송 지역
7. 제작 프로그램
7.1. 뉴스
7.2. 시사 / 교양
7.3. 연예 / 오락
7.4. 어린이
7.5. 라디오
8. 종영 프로그램
9. 스포츠 중계
10. 전속 방송인
10.1. 현직 아나운서
10.2. 전직 아나운서
10.3. 리포터, MC, DJ
10.4. 교통캐스터
11. 보도국
11.1. 보도국 간부
11.2. 취재편집팀
11.3. 영상제작팀
11.4. 충남방송센터
11.5. 세종천안방송센터
11.6. 서울방송센터
11.7. 전직 기자
12. 기자상 수상작
13. 주변 교통편
13.1. 버스
1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1995년에 개국한 대전·세종·충남지역을 시청권역으로 하는 지상파 TV·라디오 방송사로, SBS와 네트워크 협정을 맺고 있기 때문에 SBS 프로그램의 3분의 2를 수중계한다. 최대주주이자 모기업은 우성사료이며[11] 2대주주는 대전광역시 시내버스 업체인 대전교통.

방송구역상으로는 대전광역시세종특별자치시 그리고 충청남도까지로 정해져 있지만 원래 전파라는 것이 딱 거기까지 가란 법이 없듯이, 충청북도 남부지역(청주, 보은, 옥천, 영동)[12], 경기도 남부지역 특히 안성, 평택, 오산에서도 SBS 대신 TJB를 시청할 수가 있다. TV는 물론 DMB, FM도 청취 가능하다.[13] 이들 지역에서 안테나로 직접수신을 할 경우 TJB는 20 dB이 넘는 깡패급 수신율을 보여준다. 이는 천안의 흑성산 중계소에서 KBS대전, 대전MBC 뿐만 아니라 TJB도 송출하기 때문. 덕택에, 경기도 사람이 충남 지역 뉴스를 볼 수 있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원효봉 중계소에서 송신되는 TJB 파워FM수원, 안산은 기본이고 시흥, 인천까지도 넘어온다.

2013년 11월 15일방송통신위원회가 의결하고 공개한 2012년도 방송평가 결과에서 83.97점을 받아 전국 10개 지역민방 중 3위를 차지했다. 방통위는 "어린이방송, 재난방송 편성실적과 방송기술 투자가 향상돼 큰 폭으로 점수가 상승했다(전년 대비 6.75%p)"고 설명했다. 방송평가 점수는 방송법에 따라 방송사 재허가, 재승인 심사에 일정 비율 반영된다.기사

2. 로고[편집]


파일:TJB 개국 알림 광고.jpg
대전 방송 개국을 알리는 신문 광고

파일:대전방송 로고(1995-2010).svg파일:대전방송 로고.svg파일:대전방송 로고(2005).png
구 로고 (1995년 ~ 2010년 5월 13일)현 로고 (2010년 5월 14일 ~ 현재)폐기된 로고 (2005년)

대전방송은 개국 10주년을 맞은 2005년CI를 바꾸기로 하고 기념식을 준비하고 있었다. 하지만, 어른의 사정이 있었는지 CI 교체는 무산되었으며, 5년 뒤인 2010년에 기존 기울임꼴 CI를 똑바로 세운 형태로 수정한 CI(맨 위의 CI)로 교체하였다. 참고로 폐기된 CI와 ID는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알프레드 이미지웍스[14]에서 제작하였으며, TJB 노동현 기자의 블로그에서 ID 영상도 확인할 수 있다.

여담으로 로고에서 알파벳으로만 따졌을 때 지역민영방송들 중에 TV에 송출될 때 하얀색이 아닌 부분이 있는 유일한 방송 로고이다.[15][16][17]


3. 사옥[편집]


파일:attachment/149435_329968010446874_366724968_n.jpg
파일:attachment/대전방송/542857_329967600446915_1969650469_n.jpg
TJB 본사 (대전광역시 유성구 엑스포로 131)

파일:attachment/040TJBBuilding01.jpg
TJB 효동 구 사옥 (현 대전 국악방송), (대전광역시 동구 대전로 591)

파일:TJB서울지사.jpg
TJB 서울지사






4. 로고송, ID[편집]


기간문구
11995년 5월 14일 ~ 2001년 1월새로운 선택, 신선한 느낌~ TJB 대전방송[20]
21995년 5월 14일 ~ 2010년 5월 9일우리 고장, 우리 방송~ T~J~B~~[21]
32010년 5월 10일 ~ 2013년 5월 5일언제나 다정한 방송~ T~J,B~~~
42013년 5월 6일 ~ 현재새롭고 즐거운 방송 T↗J↘B↗[22]



5. 연중캠페인[편집]



6. 송출 현황[편집]



송신소채널ㆍ주파수주소
TV FMDMB
식장산15(HD)
53(UHD)
95.711C대전광역시 동구 낭월동 300
적오산15--대전광역시 유성구 화암동 산11
만악산40--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 만악리 산1
성당리15--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성당리
내 판15--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송용리
향적산43-11C충청남도 계룡시 엄사면 향한리 산50-1[23]
공 주46--충청남도 공주시 반죽동 산2-1 (봉황산)
부 여37--충청남도 부여군 장암면 석동리 산271-1 (장암산)
원효봉2096.511C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산수리 산25-1
서 천34--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남산리 산34 (남산)
흑성산4595.511C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교촌리 산32-4
옥마산4896.111C충청남도 보령시 성주면 개화리 산23-4
안 면20--충청남도 태안군 안면읍 승언리
우암산--11C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수동 산2-1 (청주방송)
가엽산--11C충청북도 충주시 신니면 화안리 산59-1 (청주방송)
용두산--11C충청북도 제천시 신월동 산39-30 (청주방송)

PC, 모바일, 앱으로 시청취가 가능하다. 다만 TJB의 자체 프로는 대부분 음악프로라, 다시듣기가 불가능하다. 다시 말해 라디오 생방송으로 들어야 한다.


6.1. 방송 지역[편집]


대전광역시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전역을 중심으로 방송범위를 지정하고 있다. 경우에 따라 경기도 평택, 안성, 오산, 화성 일부와 전라북도 군산, 익산, 완주, 전주, 무주, 진안 일부와 충청북도 청주, 영동, 옥천, 보은 일부 지역에서도 방송된다. 다만 인천 일부지역에서도 전파가 잡힌다


안성시, 평택시, 오산시, 화성시 일부


옥천군, 영동군, 청주시, 보은군 일부

군산시, 무주군, 완주군, 익산시, 전주시, 진안군 일부


7. 제작 프로그램[편집]



7.1. 뉴스[편집]


파일:TJB NEWS.jpg
[ 펼치기 · 접기 ]

#ffffff,#191919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70a2><height=90><width=25%><rowbgcolor=#0070a2> [[TJB 8 뉴스|[[파일:TJB8뉴스.png|width=70]]]] ||<width=25%><bgcolor=#ec510e> [[TJB 아침 뉴스|[[파일:TJB MORNING NEWS.jpg|width=70]]]] ||<width=25%> [[아침 뉴스(프로그램명)#s-6.2|[[파일:TJB NEWS.jpg|width=70]]]] ||<width=25%><bgcolor=#159795> [[TJB 뉴스(17:40)|[[파일:TJB NEWS (오후).jpg|width=70]]]] || ||<bgcolor=#cbcbcb> [[TJB 8 뉴스|'''{{{#!html <span style="color:#020b4f; ">TJB 8 뉴스}}}''']][br]{{{-4 {{{#!html <span style="background-color: #CBCBCB;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20b4f; color: #020b4f;">주중, 일 20:30 | 토 20:25}}}}}} ||<bgcolor=#020b4f> [[TJB 아침 뉴스|'''{{{#!html <span style="color:#fff; ">TJB 아침 뉴스}}}''']][br]{{{-4 {{{#!html <span style="background-color: #020b4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ff; color: #fff;">주중 07:10}}}}}} ||<bgcolor=#cbcbcb> [[아침 뉴스(프로그램명)#s-6.2|'''{{{#020b4f TJB 뉴스}}}''']][br]{{{-4 {{{#!html <span style="background-color: #cbcbcb;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20b4f; color: #020b4f;">평일 10:20}}}}}} ||<bgcolor=#020b4f> [[TJB 뉴스(17:40)|'''{{{#fff TJB 뉴스}}}''']][br]{{{-4 {{{#!html <span style="background-color: #020b4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color: #fff; border-width: 1px; color: #fff;">평일 17:40}}}}}} || ||<height=90><colbgcolor=#0070a2> [[투데이 뉴스|[[파일:TODAY NEWS.jpg|width=120]]]] || || || || ||<bgcolor=#cbcbcb> [[투데이 뉴스|'''{{{#!html <span style="color:#020b4f; ">투데이 뉴스}}}''']][br]{{{-4 {{{#!html <span style="background-color: #CBCBCB;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20b4f; color: #020b4f;">월 ~ 목 18:10}}}}}} || || || ||




2019년 개편을 통해 전체적인 오프닝 영상을 SBS와 유사한 그래픽으로 교체했다.

TJB 아침 뉴스


TJB 뉴스(오전 10시 20분)


TJB 뉴스(오후 5시 40분)


투데이 뉴스


TJB 8 뉴스


민방 네트워크 뉴스 (kbc 공동제작)


7.2. 시사 / 교양[편집]




7.3. 연예 / 오락[편집]




7.4. 어린이[편집]




7.5. 라디오[편집]


TJB 파워FM 참조.


8. 종영 프로그램[편집]




9. 스포츠 중계[편집]


KNNTBC처럼 지역 연고 프로야구 구단인 한화 이글스의 홈경기를 라디오로 중계하지만 전 경기 중계는 하지 않는다. 원정경기는 물론이고, 4~5월의 일요일 경기[29]도 중계하지 않는다.

그러나 로컬방송임에도 불구하고 이정기 아나운서의 신들린 언변과 이게 과연 야구 중계가 맞는건가(...)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수준이 떨어지고 코믹한 만담중계가 화제가 되었다. 실제로 경기 중계 도중 캐스터가 청취자들 핑계대며 해설위원에게 기본적인 야구 규칙을 물어보고, 잘 나가다가 종종 이야기가 삼천포로 빠지는 등 기묘한 야구 중계를 선보였다.

사실 이런 방식의 중계도 화제가 되었지만 국내 최초로 라디오 스포츠 중계 중 실시간 문자를 받는 방식을 2008년에 도입해 화제가 되었다. 이는 다음해인 2009년 TBS 교통방송에서 주말 잠실경기 중계 때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는 지난 2008 시즌 도중 청취자들에게 더 손쉽게 다가갈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고민하던 차에 회의 중 당시 야구중계 담당 PD인 유성상 PD와 이정기 캐스터가 고안해 낸 방식이라고 한다. 이로 인해 "저 1루쪽에 지금 있어요"라는 문자가 오면 캐스터는 "아 그래요? 좀 일어서 주실래요? (벌떡) 아 네 반갑습니다"라고 답하며 서로 상견례를 하는 상황도 빈번하게 일어났다. 또 이들 중 추첨해 선물을 나눠주기도 했는데, 직접 중계석으로 찾아와 받아갈 수 있도록 했다. 경품 중에는 한화 선수들의 싸인공이나 배트도 있었고 상대 팀 선수들의 사인 공, 배트도 있었다. 한화 선수들은 대전방송이니 그냥 주지만 상대 팀들의 경우는 해설위원이나 이정기 캐스터가 거의 반사정 반협박(?)으로 가져오는 경우도 있었다. 심지어는 중계진들이 먹었던 치킨 상자에 싸인을 해서 선물로 주기도 했다(...). 또 류현진김태균이 다니던 대전대학교에서는 류현진이 삼진을 잡거나, 김태균이 홈런을 치는 그 즉시마다 문화상품권을 일정 개수대로 방송 경품으로 뿌렸다. 2009년까지는...

또 클리닝타임 때 신청곡을 틀어주기도 했다. 그때는 에코 스포츠 운동 하기 전이라 지금보다 확실히 길었으니깐 2곡 틀어주는 것도 충분히 가능했을 정도. PD는 방송국에 있고, 중계진은 현장에 있어서 이 둘은 네이트온 같은 메신저로 소통했다고 한다.

지금까지 거쳐간 해설위원으로는 정구선 전 한화 이글스 코치 (2002~2005년), 이광길 NC 다이노스 코치 (2006년), 황병일 kt wiz 수석코치 (2007년), 김경원 두산 베어스 코치 (2008년), 이광권 해설위원 (2009년) 등이 있고, 2015년 현재는 위 해설위원들이 라디오에서 활약할 당시 TV 로컬중계 해설위원이자 빙그레 창단멤버였던 김성호 해설위원이 평일에, 조규수와 입단동기(지만 대졸이라서 4살 형인)였던 장재혁 해설위원이 주말에 해설을 맡고 있다.

그리고 전술한 만담중계의 역사가 시작된 곳은 바로 2008년 김경원 위원 때였고, 그 때가 가히 절정이었다. 이 둘은 서로 치고박고 하는 '톰과 제리'식 중계를 펼쳤다. 하지만 항상 당하는 곳은 김경원 쪽.
만담배틀1
만담배틀2

그러나 2012년을 마지막으로 이정기 캐스터는 한화 이글스 IPTV, 인터넷 구단 자체 편파중계 캐스터로 자리를 옮겼고, 이 후 이광성 아나운서(2013년), MBN 출신의 박영식 아나운서(2014년)가 캐스터를 맡다가 2015년에는 안현준 아나운서가 평일 경기, 최승희 아나운서가 주말 경기 캐스터를 맡고 있다. 2016년에는 안현준 아나운서가 SBS Sports로 이직함에 따라 이정훈 아나운서가 그 자리를 2년동안 담당했다. 2018년 2월 이정훈 아나운서가 퇴사했고, 2018 시즌에는 박용현 아나운서가 캐스터로 합류하게 되었다.

SBS Sports의 박상준 캐스터가 잠시 이 곳에서 아나운서로 활동하기도 했다.

2020 시즌에는 중계를 편성하지 않고 있으며 2018-2019시즌 중계를 했던 박용현 캐스터는 현재 스포카도에서 퓨쳐스리그 중계캐스터를 하고 있다.


10. 전속 방송인[편집]



10.1. 현직 아나운서[편집]




10.2. 전직 아나운서[편집]




10.3. 리포터, MC, DJ[편집]




10.4. 교통캐스터[편집]




11. 보도국[편집]



11.1. 보도국 간부[편집]




11.2. 취재편집팀[편집]





11.3. 영상제작팀[편집]




11.4. 충남방송센터[편집]




11.5. 세종천안방송센터[편집]




11.6. 서울방송센터[편집]



11.7. 전직 기자[편집]



12. 기자상 수상작[편집]


2021년

'기적의 생환, 은혜 갚은 백구‘ 연속 기획보도
‘기적의 생환, 은혜 갚은 백구’ 연속 기획보도
‘기획보도, 급식카드, 이대로 안된다’
‘아동학대 제로, 그날까지’ & 특별기획 ‘사랑해 반창고’
‘아동학대 예방 기여’

2020년

‘여행용 가방 학대 사망, 9살 아동 & 아동학대 기획 보도’
‘여행용 가방 학대 사망, 9살 아동 & 아동학대 기획 보도’
‘여행용 가방 학대 사망, 9살 아동 & 아동학대 기획 보도’
‘아동학대 예방 기여’
‘로타 바이러스 감염, 산후조리원은 ’쉬쉬‘’
‘로타 바이러스 감염, 산후조리원은 ’쉬쉬‘’

2019년

‘엉터리 낙뢰보호기’ 실체 의혹
‘엉터리 낙뢰보호기’ 실체 의혹
‘엉터리 낙뢰보호기’ 실체 의혹

2018년

‘대전 시내버스 비리 연속 보도’
‘사고처리 떠넘기고, 합의금 빼돌리고’ 시내버스 비리
'사고처리 떠넘기고, 합의금 빼돌리고' 시내버스 비리
‘합격 불합격 뒤바뀐 충남대 의대 편입학 전형’

2017년

‘사행성 속임수 인형뽑기 시장’
‘대전도시공사 사장, 거짓 병가 내고 재취업 시도’

2016년

‘심정지 기사 두고 떠난 비정한 승객, 선한 사마리아인법 필요’
‘심정지 기사 두고 떠난 비정한 승객, 선한 사마리아인법 필요’
‘사립고 엉터리 채점, 성적정정 320건’
‘사립고 엉터리 채점, 성적정정 320건’
‘청소년 착취하는 택배 아르바이트’

2014년

‘수천억 하수관공사 부실 투성이’
‘수천억 하수관공사 부실 투성이’
‘특별기획 축제, 도시를 바꾸다’
‘어린이 물놀이장 유해 논란’
‘신보령화력 부실 의혹’

2012년

‘다문화 희망 프로젝트 - 무지개교실’
‘다문화 희망 프로젝트 - 무지개교실’
‘다문화 희망 프로젝트 - 무지개교실’
‘4대강 세종보 치명적 결함’
‘대기업이 독차지한 급식카드 가맹점’
‘아시아의 숨은 혼, 백제를 가다’

2011년

‘다문화 희망 프로젝트 - 무지개교실’
‘다문화 희망 프로젝트 - 무지개교실’
‘다문화 희망 프로젝트 - 무지개교실’
‘다문화 희망 프로젝트 - 무지개교실’
‘집단폭행 사망 중학생, 유족 두 번 울린 경찰과 119’
‘지역명주 전통의 혼’등 다수 기획보도

2009년

‘검거실적 위해 죄 만드는 경찰’
석면광산, 폐질환 공포’
‘석면광산, 폐질환 공포’

2007년

'최초보고, 범죄지도로 말한다‘

2005년

‘대덕연구단지, 핵 불안’

2004년

‘특집 다큐 우주를 향한 한국의 꿈’

2003년

’행정수도와 백지계획‘
‘수도 이전 백지계획과 특집 다큐 세계의 행정수도’
‘행정수도와 백지계획’

2002년

‘허울 좋은 행정구역’

1998년

‘방사능 지하수’



13. 주변 교통편[편집]



13.1. 버스[편집]




14.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06:18:56에 나무위키 대전방송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DMB] [1] 이 TV는 아날로그 TV를 말하며 지난 2012년 10월 16일 오후 2시, 이미 대한민국 대전충남권에선 방송 4사인 KBS, MBC, EBS, TJB의 수신 송출이 종료됨에 따라 문서에도 가로 줄이 쳐져있는 것도 바로 이 이유이다. 그래서 지금 우리가 보고 있는 TV는 아래 문단의 DTV(SD, HD) 혹은 UHDTV. 즉 디지털 TV이다. 대전방송의 경우 95년 개국했을 때부터 부여받아 17년간 사용했다.[2] 청주방송도 DMB의 송신 전반을 대전방송에 위임하고 있어서 이 호출 부호를 쓴다.[3] 알뜰형 8VSB: 13-1[4] 알뜰형 8VSB: 5-1[5] 기존 디지털 채널과 UHD채널의 가상 번호가 동일한 이유는 별개의 방식, 별개의 송신망으로 송출되고 있기 때문이다.[ATV] A B 1995년 5월 14일 ~ 2001년 12월 31일(단독)/2002년 1월 1일 ~ 2012년 10월 16일(병행)[6] 2002년 1월 1일 ~ 2012년 10월 16일(480/60㎐ 병행)/2012년 10월 17일 ~ 2017년 12월(단독)/2017년 12월 ~ (2160p 병행). 프로그램은 자체 프로그램 외에도 SBS의 HD 제작 프로그램을 따른다.[7] SBSUHD 제작 프로그램을 따른다.[8] 2002년 1월 1일 ~ 2012년 10월 16일(FM-FM 투 캐리어 스테레오 병행)/2012년 10월 17일 ~ 2017년 12월(단독)/2017년 12월 ~ (MPEG-H 3D Audio 병행).[9] 자체 편성 및 프로그램 편성배치권[10] 릴레이 편성[11] 그래서 시보에 모회사의 제품인 키츠가든이 TJB 8 뉴스에 시보방송을 한 적이 있다.[12] CJB 청주방송이 개국하면서 가시청권 구역으로 편입되었다[13] 신경을 안 쓰는지 자체방송을 할때 DMB만 로고가 TJB|SBS 로 되어 있다.[14] 2007년과 2011년의 MBC ID등을 제작한 모션그래픽 회사다. 현재는 거의 게임 시네마틱과 3D 캐릭터 애니메이션 제작만 하고 있다.[15] J의 점부분. 기본 로고와 TV 송출시의 백색로고 모두 이 부분에 빨간색이 입혀져있다. [16] 알파벳 부분 이외에서 보자면 G1방송도 로고가 전부 다 하얀색으로 송출 되지 않는다. (로고 옆의 빨간색 아이콘)[17] JIBS는 파란색 로고를 사용하고 있으며, (2020년 9월까지는 자체 방송시에 한해 흰색 로고를 사용했다.) JTV도 언제부턴가 파란색 로고 그대로 송출하고 있다.[18] 저 사진에서 왼쪽과 연결통로 부분이 철거되었다.[19] 대전지역 라디오 방송 중 유일하게 식장산, 계룡산 등에 송신소를 세우지 않고 이 곳에서 송신을 하고 있다. 덕분에 충남 북부 지역에서는 수신이 전혀 안된다.[20] 2가지 버전이 있었다.[21]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앞 부분이 MR로 된 버전만 사용했으며, 2012년까지 라디오 무광고 시보로도 쓴 적 있다.[22] 이 로고송은 세가지 버전이 있다. 활기찬 분위기 버전과 여유로운 분위기 버전. 나머지 한개는 최근에 추가됨.) 정줄 놓고 들으면 "사납고 차가운"으로도 들릴 수 있다[23] 2020년 12월 이전의 국방FM과 같이 송신소가 계룡산 꼭대기가 아닌 중턱에 있어서 세종시는 난시청 지역에 속한다. 대전MBC는 DMB라도 있지, TJB는 아예 없다. 참고로 세종시는 계룡산 전파의 양청지역이다.[24] 이 지역은 세종시 출범 이전에 충청북도 청원군(현재 충청북도 청주시)권역이라 CJB 청주방송이 송출하는 지역이다. 무엇보다 개국 당시에는 세종시가 없었다.[SBS/OBS] A B SBS, OBS 구역이다.[CJB] CJB 구역이다.[JTV] JTV 구역이다.[25] 2023년 9월달부터 주관사가 울산방송으로 변경되었다.[26] 2001년 10월부터 2002년 4월까지 저녁 6시 40분에 방송된 저녁뉴스[27] TJB 생방송 투데이가 잠시 아침으로 이동했을때 방송된 저녁뉴스. 2012년 5월부터 같은해 11월까지 방송되었다.[28] 게임해설가 이현주가 출연했던 게임프로그램이었다.[외화] A B [29] 청주 홈 경기는 2017년부터 중계편성.[30] 과거 쇼 네트워크 방송분이나 가는 해 오는 해 등 지역MBC를 연결한 프로그램에 지역MBC 아나운서로 출연하였다.[31] 펫트라슈에서 동물 뉴스를 진행한 적도 있다.[32] 대전MBC 출신[33] 포항MBC 출신[34] 대전일보 출신[35] 서울MBC 출신[36] TBC 제외[37] 대전방송의 지분 5.8%를 보유중이다. 우성사료에 이은 2대 주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