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전교통공사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교공'을 약칭으로 사용하는 대구광역시의 철도 운영기관에 대한 내용은 대구교통공사 문서
대구교통공사번 문단을
대구교통공사#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대한민국의 철도 운영 기관
[ 펼치기 · 접기 ]

전국
 한국철도공사   주식회사 SR
수도권
  서울시메트로9호선  공항철도  인천교통공사  우이신설경전철   우이신설경전철운영   신분당선  네오트랜스  경기철도  새서울철도  이레일   서부광역철도 용인경량전철  인천공항시설관리  남서울경전철    서해철도  김포골드라인운영  의정부경량전철 우진메트로  SG레일   남양주도시공사  넥스트레인     
동남권
  부산-김해경전철  스마트레일 가야철도
기타 권역
 
대전교통공사 
전라선철도  삼표레일웨이 
우진PRT
{{{#003478,#3090F0 주1 의정부경전철주식회사는 파산 이후 도시철도운송사업 폐업 절차를 마친 상태로, 운영기관이 아니다.
주2 서울메트로9호선운영주식회사서울교통공사9호선 2·3단계 구간을 직영하게 됨에 따라 2018년 11월 28일부로 해체되었다.
주3 서울9호선운영주식회사9호선 1단계 구간 도시철도 관리운영위탁계약이 2019년 6월 30일부로 해지된 상태로, 운영기관이 아니다.}}}




대전교통공사
大田交通公社
Daejeon Transportation Corporation
파일:대전교통공사 로고.svg
설립일2022년 1월 1일
전신대전광역시 지하철건설본부
(1996년 4월 8일 ~ 2004년 12월 31일)
대전광역시도시철도공사
(2005년 1월 1일 ~ 2021년 12월 31일)
사장연규양
주무부처대전광역시
주요 주주대전광역시: 100%
기업 분류공기업
상장 여부비상장기업
직원 수916명(2022년 12월 31일 기준)
자본금2조 935억 4,343만 6,959원(2020년 기준)
매출액436억 2,525만 8,919원(2020년 기준)
영업이익-735억 4,805만 8,984원(2020년 기준)
순이익-435억 8,324만 6,836원(2020년 기준)
자산총액1조 4,585억 4,607만 4,200원(2020년 기준)
부채총액362억 3,239만 6,568원(2020년 기준)
운영 구간 대전 도시철도 1호선
대전 도시철도 2호선
수도권 전철 신안산선
영업 거리22.74km
미션교통복지 확대와 사회적 책임 실천으로 살기 좋은 대전 건설에 이바지
비전최상의 서비스와 안전으로 시민의 행복을 만들어가는 교통공사
소재지본사 - 대전광역시 서구 월드컵대로 480 (월평동)
관련 웹사이트
파일:대전교통공사 심볼.svg 대전교통공사 공식 홈페이지
파일:대전교통공사 심볼.svg 대전교통공사노동조합 공식 홈페이지
공식 SNS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대전교통공사 공식 블로그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대전교통공사 공식 트위터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대전교통공사 공식 페이스북
공식 캐릭터
파일:external/thumb.mt.co.kr/2006030916295737357_1.jpg
마스코트 '두돌이'[1]
콜센터 및 유실물센터
고객콜센터: 042-539-3114
정부청사역 유실물센터: 042-539-3939
SMS, 사진제보 고객센터: 010-5436-3271

1. 개요
1.1. 대전교통공사 출범 과정
2. 역대 로고
3. 역대 사장
4. 운영 노선
5. 소유중인 철도차량
6. 안내방송



1. 개요[편집]


파일:external/www.mbstv.co.kr/10464_9861_5135.jpg
대전광역시 서구에 위치한 대전교통공사 본사

대전교통공사 로고송

엄마 품에 잠든 아기가 깰까봐

소곤소곤 얘기하는 학생들

원래는 터프가이 하지만 옆사람 불편할까

예쁘게 다리 모은 멋진 오빠

잠깐의 기다림 책도 볼 수 있죠

예쁜 그림 전시나 공연도 즐겨요

바쁘게 지나던 퇴근길 지하철역에서도

마음만 열면 문화를 만나죠

라라라 라랄랄라 라 라랄랄라

꽉 막힌 도로 위에서 짜증 낼 필요 없죠

약속시간 늦을까 초조할 필요 없죠

좁은 공간 홀로 외로운 자동차보단

따뜻한 이웃 함께하는 지하철 어떤가요

라라라 라랄랄라 라 라랄랄라

꽉 막힌 도로 위에서 짜증 낼 필요 없죠

약속시간 늦을까 초조할 필요 없죠

좁은 공간 홀로 외로운 자동차보단

따뜻한 이웃 함께하는 지하철 어떤가요

대전교통공사 공식 로고송


「안전한 교통 친환경 교통」대전교통공사가

150만 대전 시민의 행복을 실어 나르겠습니다.

대전교통공사 CEO 인사말 中

대전 도시철도를 운영하는 지방공기업. 1996년 대전 도시철도 1호선을 착공한 뒤 2004년 도시철도공사 설립기획단을 세운 뒤 2005년 1월 1일 출범했다. 사장 밑에 6처 2실로 운영 중이다.

2022년 1월 1일, 대전광역시도시철도공사에서 대전교통공사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현재는 대전 도시철도 1호선만 운영 중이나, 추후 대전 도시철도 2호선을 추가로 운영할 예정이며, 교통공사로 확대되면서 장애인 콜택시, 타슈의 운영도 맡게 되었다.

1.1. 대전교통공사 출범 과정[편집]


  • 2019년, 대전광역시 측에서 가칭 “대전교통공사” 설립을 검토중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만약 대전교통공사가 설립이 된다면 아마 대전광역시도시철도공사가 대전교통공사로 바뀌면서 BRT, 시내버스, 도시철도를 모두 총괄할 가능성도 있다. 가끔 도시철도공사가 도시철도 건설본부 역할을 하는것으로 알고있으나 도시철도 건설본부 역할을 하는것은 대중교통혁신추진단이 담당한다. 2호선, BRT, 충청권 광역철도를 담당하는 부서이다.

  • 대전광역시 공공기관 개편에 따라, 대전교통공사로 확대 개편 및 사명이 변경될 예정이다.#

  • 2021년 9월, 허태정 대전광역시장은 브리핑에서 대전교통공사 설립 비전과 운영전략을 발표했다. #

  • 2021년 12월 말, 개편 중인 모습이 확인되었다.#

  • 2022년 1월 1일, 대전도시철도공사대전교통공사로 확대 개편 및 출범하였다.


2. 역대 로고[편집]


파일:대전광역시도시철도공사 구 로고.svg파일:대전광역시도시철도공사 로고.svg파일:대전교통공사 로고.svg
대전광역시도시철도공사 (2005 ~ 2021)[2]대전교통공사 (2022 ~ 현재)


3. 역대 사장[편집]


대수이름임기비고
초대김광희2004년 ~ 2006년대전광역시 정무부시장
2대이강규2006년 ~ 2007년대전광역시 지하철건설본부장
3대김종희2008년 ~ 2011년교통안전공단 이사장
4대김창환2011년 ~ 2012년대전시 서구 부구청장
5대박상덕2013년 ~ 2015년대전광역시 행정부시장
6대차준일2015년 ~ 2016년대전광역시 교통국장
7대김민기2016년 ~ 2019년대전도시철도공사 기술이사
8대김경철2019년 ~ 2022년한국교통연구원 이사장
9대[3]연규양2022년 ~ 현재대전방송 보도국장


4. 운영 노선[편집]



5. 소유중인 철도차량[편집]




6. 안내방송[편집]


정확한 문장과 표현에 관한 정보는 안내방송/열차/도시철도안내방송/역을, 열차 진입음은 열차 진입음, 안내방송 성우와 관련된 부분은 이쪽을 참조할 것.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06:05:15에 나무위키 대전교통공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두더지이다. 그래서인지 서대전네거리역 1층 대합실에 청소년 (상설) 춤연습장인 '두더지홀'이 있다.[2] 왼쪽이 CI, 오른쪽은 BI로, 처음부터 혼용하여 썼고 나중으로 갈수록 BI의 사용 비중이 더 늘어났다. 아직 지하철역 인근 자전거 주차대나 일부 안내문에서 이 로고를 볼 수 있다. 다만 아직 대전교통공사는 출범 초기이기에 추후 대전교통공사 로고로 교체될 수 있었고, 전동차에 있던 구 로고는 2022년 하반기쯤 새 로고로 모두 바뀌었다.[3] 대전교통공사 명칭 변경 후 첫 취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