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네피도

덤프버전 :



아시아의 국가별 수도
[ 펼치기 · 접기 ]

동아시아
ta-hash-start=w-b4bd0b72a3e223b82937959a017ad259[[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ta-hash-start=w-bc5cbed16977e921c857898f3754ca5c[[파일:일본 국기.svg 일본ta-hash-start=w-f9e613692de084cee0631e4f3831f1a8[[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서울특별시도쿄도베이징시
ta-hash-start=w-b2759da044ea9401e7e455f149116a40[[파일:북한 국기.svg 북한ta-hash-start=w-bf8d643e574588f2bdbbbcbee8af2466[[파일:대만 국기.svg 대만ta-hash-start=w-901f68ea244d346e7d0443e81202ef95[[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평양시타이베이시울란바토르
동남아시아
ta-hash-start=w-4d17298d67ec9460263f96b7813ee02a[[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ta-hash-start=w-f25f9cde8fd9b4c2e25c79efcf188f22[[파일:태국 국기.svg 태국ta-hash-start=w-6e8c283856c8ba1e6720cb6752c829bb[[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자카르타방콕마닐라시
ta-hash-start=w-30c62029db762582675707eced5582c1[[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ta-hash-start=w-73ae443d7bcb8169c047834d8ceaa17b[[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ta-hash-start=w-51c8a2a1dffa372556506579fcb41a1d[[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쿠알라룸푸르
푸트라자야
싱가포르하노이시
ta-hash-start=w-0d770c496aa3da6d2c3f2bd19e7b9d6b[[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ta-hash-start=w-c5d0151996a2237cbfa36230613c683f[[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ta-hash-start=w-4faf57e033eaa65158defcae7ae3d30f[[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네피도프놈펜비엔티안
ta-hash-start=w-b1516c17004643f8158f05e30a76bc69[[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ta-hash-start=w-8272203bd76e337de9737329905060bf[[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
반다르스리브가완딜리
남아시아
ta-hash-start=w-d12dbd37a4a8bc4327e3faa9bf8a20cf[[파일:인도 국기.svg 인도ta-hash-start=w-0a30a980e3540e51eb25423caa79f0cb[[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ta-hash-start=w-b72c832df92479ccc7bcb42c9faeb5af[[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델리 연방 수도구역카불다카
ta-hash-start=w-3f1e40a75431c8db588ba8e298525e4a[[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ta-hash-start=w-9c123eba5bc29eab896e90889a019725[[파일:네팔 국기.svg 네팔ta-hash-start=w-7a769d43321df14f25c7a2318bb8c4a5[[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이슬라마바드카트만두스리자야​와르데네​푸라코테
ta-hash-start=w-8c521f17e906281b90537757705c8cd3[[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ta-hash-start=w-94c0915ab3bcbc61c1c61624dd6d7cd5[[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말레팀부
서아시아
ta-hash-start=w-97e48472142cfdd1cd5d5b5ca6831cf4[[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ta-hash-start=w-1227f1221621bd026563d53b9cc7d864[[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ta-hash-start=w-b52630c925d39fd3e8917621a930705f[[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베이루트마나마앙카라
ta-hash-start=w-3de6b3bc1b015cc1c8ecdc8415a1d693[[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ta-hash-start=w-d4bad256c73a6b25b86cc9c1a77255b1[[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ta-hash-start=w-c9bc2a9cbd599fcd2e77e5063989f898[[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바그다드리야드암만
ta-hash-start=w-7706d2dc2da6837340effd985dc620b6[[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ta-hash-start=w-bb0975dd4c51e80f5a597fff07ba83bb[[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ta-hash-start=w-2ece43ae64a6d8da7b88b71be40f7b13[[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바쿠도하사나
ta-hash-start=w-652d3e8f602e98b4536335f978450167[[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ta-hash-start=w-4d0eff2294b9d47db256d84c1f8dfee8[[파일:이란 국기.svg 이란ta-hash-start=w-73601bc3bd5a961a61a973e92e29f169[[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예루살렘
정치

텔아비브
경제
테헤란예레반
ta-hash-start=w-7a8f692cebd289e81aebd39ecdecb945[[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ta-hash-start=w-67967c07b2e94e8b169717ade98b5b2b[[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ta-hash-start=w-4422aa7d02d6bcd90458cf33a9a4d140[[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쿠웨이트트빌리시니코시아
ta-hash-start=w-2f23fc815326491f0346a6d49ea05faf[[파일:오만 국기.svg 오만ta-hash-start=w-e25f50c93d321b7fdff05757de426238[[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ta-hash-start=w-4d171e8c3b2ef70c7afb02614b99e632[[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무스카트다마스쿠스아부다비
ta-hash-start=w-9a85c12a21b76392747906fc7b2aff92[[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ta-hash-start=w-ed565472d8ce021500229c77a0f731a1[[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압하지야ta-hash-start=w-3acb546257bdab68f5cef5ea5fb15785[[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남오세티야
라말라수후미츠힌발리
ta-hash-start=w-40c1e118ed9126beb9db296b4a4196bd[[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레프코샤
중앙아시아
ta-hash-start=w-b180da1593ce9ff93d453eccc44021ad[[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ta-hash-start=w-cc54b5b760ae76d20f584f9d5d422be1[[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ta-hash-start=w-69516965caa2e105770f453ad70d0254[[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타슈켄트아스타나비슈케크
ta-hash-start=w-1268adfb5db8c00c75b37961e8a9b787[[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ta-hash-start=w-fb739f78a1b83ccad7886436e3146c77[[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두샨베아시가바트
아메리카의 수도 | 아프리카의 수도 | 오세아니아의 수도 | 유럽의 수도






네피도
နေပြည်တော်
Naypyidaw
파일:네피도 연방주기.svg파일:네피도 연방주 심볼.svg
연방주기문장
||
국가
파일:미얀마 국기.svg

네피도 주
면적7,504.37km²
인구924,608명
인구밀도131.1명/km²
시간대UTC+06:30
지역번호067
링크 주 미얀마 대한민국 대사관
양곤 무역관 (KOTRA)

1. 개요
2. 연혁
3. 여담



1. 개요[편집]


파일:z27IMRo.jpg
대통령 관저. 과거에는 양곤에 있었지만 천도 이후 신축되었다.
파일:1r4SphF.jpg
미얀마 연방 의회 앞부터 시작해서 핀마나 북부로 이어지는 왕복 20차로 도로인 야자 타니 대로(Yaza Htarni Road). 위치
파일:8XPb6Qtr.jpg
야자 타니 대로의 정면.
미얀마수도이자 계획도시이다.


2. 연혁[편집]




원래 이름은 핀마나(Pyinmana)로 내륙의 작은 지방도시였다. 2000년대 수도로 지정되며 새로 붙인 도시명이 바로 '네피도'로 '왕궁'이라는 뜻이다.[1] 흔히 사람들이 아는 미얀마 최대도시 양곤(Yangon, 1989년 이전에는 랑군)은 옛 수도이다.[2] 2005년 11월 6일에 먼저 핀마나로 행정수도를 옮기고, 2006년 핀마나를 네피도로 이름을 바꾼 뒤 공식적으로 천도했다. 미얀마 정부는 절대 인정하지 않으나 야사 같은 이야기에 따르면, 당시 독재자 탄 쉐가 본인이 총애하는 점성술사의 말을 듣고 술사가 정해준 곳으로 천도했다고 한다.

옛 수도 양곤영국이 식민통치의 일환으로 만든 계획도시이기에 수도 천도는 식민잔재 청산이란 목적도 있었다. 한편으론 미군의 침공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함이라는 분석도 있다. 당시 미국 조지 W. 부시 정권이 '폭정국가' 리스트에 미얀마를 올렸으므로, 미국이 이라크처럼 공격할까 걱정하여 방어에 불리한 항구도시 양곤에서 군사적 요충지인 내륙의 네피도로 천도했다는 것이다. 사실이라면 도둑이 제 발 저린 격이다.

게다가 대충 국토의 중심부에 가깝고 방어에도 유리한 지형인데다 인구마저도 적으니, 통제하고 감시하며 방어하기에는 안성맞춤이다. 어쩌면 주술적 이유와 군사적 이유가 둘 다 맞을지도 모른다. 심지어 미얀마 민주화 운동의 상징인 아웅 산 수 치 여사의 기운을 떨어뜨리기 위한 주술적인 목적으로 일부러 심은 나무들도 있다고 한다.# 게다가 독립 후 수십 년 동안 수차례 민주항쟁이 양곤에서 일어났으므로, 민주화 세력의 힘을 꺾고 국내 통제를 용이하게 하고자 함도 있다.

하지만 급하게 옮긴 수도인 데다가 당시 미얀마 경제제재가 풀리기 전이라 허겁지겁 만들었기 때문에, 당연히 도시계획이 엉망일 수밖에 없었다. 드문드문 들어선 주택가와 정부청사밖에 없는 곳에 위에 있는 사진처럼 왕복 20차선 도로를 만들어 놓으니 이용을 하는 인원이 극히 적다. 간혹 도로를 소떼가 가로질러 가며 소똥을 여기저기 흩뿌리는 수준. 위성사진을 보면 아직 개발 중인 곳도 많은 듯하다.

수도로 지정된 이후로는 인구가 매년 큰폭으로 증가하지만, 네피도의 면적이 서울의 10배를 넘는 데다가 아직 개발이 완료되지 않은 곳이 많아 양곤에 비해 황량한 모습은 2020년대에도 여전하다. 네피도의 곳곳에는 군사정권을 미얀마의 정당한 집권세력이자 상좌부불교의 수호자(?)로 포장하는 여러 랜드마크와 종교시설물, 상징들을 배치했다. 도시 곳곳의 지명은 팔리어로 작명되었는데, 아웅 산 장군보다는 왕조 시대의 영광과 관련된 명칭이 많다.

2014년 아세안 정상회의를 여기서 개최했고, 2016년 미얀마 정권이 교체된 이후로도 여전히 수도 지위를 유지한다. 건설한 지 얼마 되지 않은 데다가 수도 건설로 쏟아 부은 예산이 적지 않아, 굳이 양곤이나 만달레이로 재천도하기도 뭐하기 때문이다. 애초에 만달레이 관구 내에 현 수도가 있기에 천도라기보단 식민지 이전 수도로 간접적 환도한 것이라고 볼 수도 있다.


3. 여담[편집]


외국인의 네피도 관광은 엄격히 통제되며, 복잡한 절차를 거쳐 군경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가더라도 볼거리가 많진 않지만, 굳이 가보기로 했다면 건물 간 공간이 매우 넓기 때문에 도보여행은 불가능하며 최소한 오토바이라도 타야 한다.

네피도, 양곤, 만달레이 세 도시들은 정확하게 남북으로 일직선상에 있다. 제일 북쪽이 만달레이, 제일 남쪽이 바다와 접해있는 양곤이며 네피도는 이 둘 사이에 있다. 거리 상으로는 네피도가 이 두 도시들의 정확하게 중간은 아니고 만달레이 쪽으로 약간 가깝다.

[1] 장준영, 2017, 하프와 공작새ㅡ미얀마 현대정치 70년사, 눌민, 310면.[2] 양곤 이전에는 만달레이가 수도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2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2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3 19:13:20에 나무위키 네피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