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남구 갑(인천)

덤프버전 :

||
선거인 수198,375명 (2016)
상위 행정구역인천광역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남구 일부
도화1동, 도화2·3동, 주안1동, 주안2동, 주안3동, 주안4동, 주안5동, 주안6동, 주안7동, 주안8동
신설년도1988년
이전 선거구중구·남구
이후 선거구동구·미추홀구 갑
국회의원
ta-hash-start=w-42b1394bf884c117a3acd38d2d91d13a[[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홍일표


1. 소개[편집]


인천광역시 미추홀구(구 남구)의 도화동, 주안동을 포함한 선거구다.


2. 내력[편집]


인천부 시절에는 야권의 성지였고 인천시 시절에는 역시 야권이 유리했다. 이후 제헌국회부터 제7대 총선까지 야권의 성지였으며 인천 남구로 개편된 후에도 제8대 총선에서 야권이 이겼다. 그러나 중선거구제가 실시되며 제9대 총선, 제10대 총선에서 민주공화당 류승원 후보가 2위로 승리하고 제11대, 제12대 총선에서 민주정의당 맹은재, 심정구 후보가 1위를 거둘 정도로 여권의 성지로 변해갔다. 소선거구제로 개편되고 제13대, 제14대, 제15대 총선에서도 민주정의당, 민주자유당, 신한국당 심정구 후보가 1위로 계속 당선되며 여권 성지가 된다. 제16대 총선에서는 한나라당 민봉기 후보가 당선될 정도로 인천에서 보수성향의 지역구였다.[1] 그러나 제17대 총선에서만 탄핵 역풍으로 열린우리당 유필우 후보가 당선되고, 이후 다시 보수 정당 성지가 되어 제18대, 제19대, 제20대 총선 모두 보수 정치인 홍일표가 당선되었다.

제20대 국회의원 임기 중 남구가 미추홀구로 개명되었지만, 선거구는 개편 전까지는 이 이름을 유지했다.(남구 을도 같았다.)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이 지역구가 동구와 통합되어 동구·미추홀구 갑이 되어, 단순한 '미추홀구 갑'이라는 이름은 존재한 적이 없게 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목록 및 선거 결과[편집]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남구 갑
도화1동, 도화2동, 도화3동, 주안1동, 주안2동, 주안3동, 주안4동, 주안5동, 주안6동, 주안7동, 주안8동, 문학동, 선학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심정구(沈晶求)48,6631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43.58%당선
2명화섭(明華燮)38,7022위

ta-hash-start=w-9721b6ac26895683a518faf4fd3b5745[[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34.63%낙선
3배종달(裵鍾達)11,0743위

ta-hash-start=w-f4a52c978af74a5ae3be1d2d285d0b0e[[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9.91%낙선
4서춘택(徐春澤)10,7864위

ta-hash-start=w-9154498493d8e734d9c7489c2b6b26d7[[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9.65%낙선
5박경선(朴京先)2,5145위

ta-hash-start=w-fe87435d12ef7642af67d9bc82a8b3cd[[파일:한겨레민주당 글자.svg
2.24%낙선
선거인 수153,588투표율
73.30%
투표 수112,614
무효표 수875


4.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남구 갑
도화1동, 도화2동, 도화3동, 주안1동, 주안2동, 주안3동, 주안4동, 주안5동, 주안6동, 주안7동, 주안8동, 문학동, 선학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심정구(沈晶求)42,8081위

ta-hash-start=w-005fa89da7d48e0c0cd6536000ed2cb5[[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36.69%당선
2명화섭(明華燮)40,1102위


34.38%낙선
3정의성(鄭義成)28,9423위

ta-hash-start=w-14a31775d302b5e0e25caa93b6d95ff5[[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24.80%낙선
4성관실(成瓘實)3,6094위

ta-hash-start=w-b2c4b2c51fe41bc50bf423450c6e09f0[[파일:신정치개혁당 글자.svg
3.09%낙선
5장효진(張孝振)1,1915위

파일:공명민주당글자.png

1.02%낙선
선거인 수172,781투표율
68.30%
투표 수118,055
무효표 수1,395
심정구와 명화섭의 리턴매치. 이번에도 근소한 표 차이로 심정구가 웃었다.


4.3. 제15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남구 갑
도화1동, 도화2동, 도화3동, 주안1동, 주안2동, 주안3동, 주안4동, 주안5동, 주안6동, 주안7동, 주안8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심정구(沈晶求)27,3871위
29.11%당선
2박우섭(朴祐燮)26,3042위
27.96%낙선
3유종섭(兪鐘燮)4,3245위
4.59%낙선
4정의성(鄭義成)15,4194위
16.39%낙선
5심상길(沈相吉)20,6193위
21.92%낙선
선거인 수157,093투표율
60.09%
투표 수95,607
무효표 수1,554


4.4. 제16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남구 갑
도화1동, 도화2동, 도화3동, 주안1동, 주안2동, 주안3동, 주안4동, 주안5동, 주안6동, 주안7동, 주안8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민봉기(閔鳳基)29,3851위
37.60%당선
2유필우(柳弼祐)26,1322위
33.43%낙선
3정의성(鄭義成)8,8894위
11.37%낙선
4박우섭(朴祐燮)13,7453위
17.58%낙선
선거인 수152,218투표율
52.80%
투표 수79,024
무효표 수873


4.5. 제17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남구 갑
도화1동, 도화2동, 도화3동, 주안1동, 주안2동, 주안3동, 주안4동, 주안5동, 주안6동, 주안7동, 주안8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홍일표(洪日杓)31,5952위
36.29%낙선
2정호선(鄭鎬宣)4,6364위
5.33%낙선
3유필우(柳弼祐)38,3081위
44.00%당선
4오흥범(吳興範)1,0996위
1.26%낙선
5장광수(張光洙)7,2353위
8.31%낙선
6민봉기(閔鳳基)4,1865위
4.81%낙선
선거인 수162,243투표율
54.15%
투표 수87,861
무효표 수802


4.6. 제18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남구 갑
도화1동, 도화2동, 도화3동, 주안1동, 주안2동, 주안3동, 주안4동, 주안5동, 주안6동, 주안7동, 주안8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유필우(柳弼祐)26,8862위
43.17%낙선
2홍일표(洪日杓)33,3791위
53.59%당선
6김인창(金仁昶)2,0183위
3.24%낙선
선거인 수158,356투표율
39.92%
투표 수63,215
무효표 수932


4.7. 제19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남구 갑
도화1동, 도화2·3동, 주안1동, 주안2동, 주안3동, 주안4동, 주안5동, 주안6동, 주안7동, 주안8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홍일표(洪日杓)40,1951위
51.76%당선
4김성진(金聖珍)33,5012위
43.14%낙선
6이형호(李衡昊)3,9463위
5.08%낙선
선거인 수166,471투표율
47.13%
투표 수78,459
무효표 수817


4.8. 제20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남구 갑
도화1동, 도화2·3동, 주안1동, 주안2동, 주안3동, 주안4동, 주안5동, 주안6동, 주안7동, 주안8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홍일표(洪日杓)37,2831위
44.83%당선
2허종식(許琮植)29,5232위
35.50%낙선
3김충래(金忠來)16,3523위
19.66%낙선
선거인 수168,229투표율
50.1%
투표 수84,277
무효표 수1,119
새누리당의 홍일표 의원이 당선되며 3선에 성공했다.

4.9. 21대 총선[편집]


2020년 3월 3일 선거구획정위원회가 새로운 선거구 조정 결과를 내놨는데 이 지역이 조정지역으로 분류됐다. 기존 도화동과 주안동 지역에 인구 6만여명이 거주하는 원도심지역 동구가 붙게 됐고 갑과 을로 나눠 동구·미추홀구 갑, 동구·미추홀구 을로 나누게 됐다.


[1] 다만 야권분열로 어부지리로 당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