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재 (r3판)

편집일시 :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김민재(동명이인) 문서
김민재(동명이인)번 문단을
김민재(동명이인)# 부분을
, 이번 시즌 나폴리에서의 경기 및 활약상에 대한 내용은 김민재/클럽 경력 문서
김민재/클럽 경력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메렛 · 3 나탕 · 4 데메 · 5 제주스 · 6 마리우 후이 (VC) · 7 엘마스 · 9 오시멘
13 라흐마니 · 14 콘티니 · 16 이다시아크 · 17 M.올리베라 · 18 시메오네 · 20 지엘린스키 (3C) · 21 폴리타노
22 디 로렌초 (C) · 23 제르빈 · 24 카쥐스트 · 29 린스트룀 · 38 루소 · 55 외스티고르
59 자놀리 · 68 로보트카 · 70 가에타노 · 77 크바라츠헬리아 · 81 라스파도리 · 95 골리니 · 99 앙귀사
파일:UEFA ITA.png 발테르 마차리
●이 표는 간략화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본래 스쿼드에서 타 팀으로 임대간 선수는 제외되었습니다.



김민재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파일:김민재_2022/23.png
SSC 나폴리 No. 3
김민재[1]
Kim Min-jae | 金玟哉
출생1996년 11월 15일 (27세)
경상남도 통영시 도천동[2]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체[3] 190cm / 체중 88kg / A형[4]
학력[5]두룡초등학교 (전학)
통영초등학교 (전학)
가야초등학교 (졸업)
남해해성중학교 (전학)
연초중학교 (졸업)
수원공업고등학교 (졸업)
연세대학교 (스포츠레저학 / 학사 중퇴)
종교개신교 (루터교회)[6][7]
병역예술체육요원[8]
포지션센터백
주발오른발[9]
등번호
SSC 나폴리3
대한민국 대표팀4
프로 입단2017년 전북 현대 모터스
소속 구단경주 한국수력원자력 (2016)
전북 현대 모터스 (2017~2018)
베이징 궈안 (2019~2021)
페네르바흐체 SK (2021~2022)
SSC 나폴리 (2022~ )
국가대표47경기 3골[10] (대한민국 / 2017~ )
링크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가족아버지 김태균 (1970년생)
어머니 이유선 (1969년생)
김경민 (1995년생)[1]
아내 안지민 (1996년생, 2020년 5월 2일 결혼)
김주아 (2021년생)
후원사나이키
서명파일:김민재서명.png


1. 개요
4. 플레이 스타일
5. 기록
5.1. 우승 기록
5.2. 개인 수상
5.3. 클럽 기록
5.4. 국가대표
8. 홍보대사
10. 여담
11. 관련 문서
12.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 국적의 SSC 나폴리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센터백.


2. 클럽 경력[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김민재/클럽 경력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국가대표 경력[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김민재/국가대표 경력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플레이 스타일[편집]



2022년 기준으로 뛰어난 신체 능력과 예측력을 바탕으로 수비수로서 요구되는 다양한 방면에서 우수한 모습을 보여준다. 패스 차단, 스탠딩 태클, 슬라이딩 태클, 헤딩을 비롯한 수비수라면 갖춰야 하는 필수적인 능력들 모두 뛰어난 편이다. 육중한 체격에 비해 발도 순간 최고 35km/h[11]로 굉장히 빠르고 최고 시속에 도달하는 가속도도 빠르다. 거기에 순발력도 좋으며 프로 데뷔 이후 2kg 정도 벌크업에 성공해 튼튼한 어깨와 견갑골, 상체근육과 함께 전반적인 피지컬과 몸싸움 능력이 매우 좋아졌다. 그래서 피지컬이 좋은 선수들과의 경합에서도 쉽게 밀리지 않는다. 오히려 SSC 나폴리로 이적해서는 안드레아 페타냐, 치로 임모빌레, 세르게이 밀린코비치사비치 등 건장한 체격을 가진 선수들을 능가하는 등 2022-23 시즌 세리에 A에서도 탑 클래스의 피지컬을 뽐내는 중이다.[12]

게다가 주발은 오른발이지만, 왼발 또한 수준급으로 잘 다뤄 수비라인 어디에나 설 수도 있다. 4백에선 양 쪽을 번갈아 뛰기도 하며, 3백에서도 중앙은 물론 양 측면 스토퍼 모두를 뛸 수 있다. 현대 축구에서 왼발 센터백이 어떤 대우를 받는 지를 생각하면 오른발잡이지만 양쪽 센터백 위치를 모두 소화할 수 있는 김민재의 특징은 좋은 강점이 될 수 있다.

최대 강점이 적극성을 앞세운 수비력이지만, 그것이 김민재의 능력의 전부는 아니다. 필요할 때에는 넓은 시야를 활용한 긴 패스와 빌드업도 주저하지 않으며, 모험적인 로빙 패스도 자주 시도한다.[13] 이게 잘 먹히는 날에는 패스로 공격 전개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혹은 과감하게 자신이 기습적으로 공을 몰고 전진하기도 하며, 공이 끊기면 스피드를 활용해 빠르게 수비에 복귀해 공격을 끊기도 하는 등 괴물이라는 별명이 아깝지 않은 플레이를 자주 보여주곤 한다.

국대에서도 기회가 생기면 직접 드리블을 하며 올라가 경우에 따라서는 중앙선까지 넘어가서 패스를 뿌려주는 오버래핑을 자주 시도하는데, 거구에 속도도 빠르고 발밑도 준수한데다가 패스 성공률도 높기 때문에 상대하는 입장에서는 상당히 부담스러우며, 아군 입장에서는 침체된 경기에 활력을 불어넣어주는 좋은 요소다. 잘못 맛들리면 과거 다비드 루이스처럼 집 나가서 안돌아와 자주 실점하게 되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지만, 잘할 수 있다면 답답한 상황에서 적절하게 공격 가담을 하다가 수비 시에는 재빠르게 복귀해서 자리를 지키며 팀 경기력 전체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과거에는 전형적인 '파이터형 수비수'로 컷팅 능력과 슬라이딩 태클 능력이 돋보였다. 그러나 점차 성장하면서 공격적으로 오버래핑하거나 뒤쪽에서 기다리면서 커버하는 롤도 수행하는 등 팀과 전술에 맞춰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본인 말로는 대부분 감독의 주문을 많이 따르려고 하며, 그 안에서 자기가 하고 싶은 플레이를 한다고 말했다.

프로 초창기에는 피지컬로 밀어붙이는 투박한 수비를 했으며, 그로 인해 오프사이드 라인을 잘 맞추지 못하는 등 라인 관리 능력이 미숙해 실수가 자주 나왔다. 그러나 김민재를 눈여겨 본 최강희 전북 감독이 꾸준히 주전으로 출전시키며 경험이 쌓이면서 많이 개선되었다. 하지만 체력이 저하되면 패스 미스가 많아지고, 경기에 따라 패스에서 잔실수를 범한다는 단점은 남아 있었다. 이전보다 라인을 잘 맞추고 무작정 뛰쳐나가는 일은 줄었지만, 그래도 기본적인 활동 범위가 넓은데다 라인을 비우고 마킹을 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뒷공간 노출의 위험이 수반됐다. 그렇기에 옆에서 적절하게 조율하고 공격전개를 해줄 커맨더형 수비수+수비형 미드필더와의 역할 분배가 이뤄져야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었다.[14][15] 그리고 탄성 나오는 롱패스가 나올 때도 있지만, 세밀한 패스나 패스 선택지를 선정하는 과정 등에서는 개선이 필요했다. 하지만 경험 많은 김영권의 약점이던 수비 라인 조절이나 빌드업 능력이 좀 더 발전한 모습을 보면 김민재도 경험이 많아지면 해결이 될 것이라 예견됐고, 현재 소속팀 나폴리에서 수비라인에서의 빌드업과 라인 조절을 주도하고 있기 때문에 기대 이상대로 성장했다고 볼 수 있다.

페네르바흐체에 이적했을 때에도 통곡의 벽에 가까운 모습을 보여주었다. 국대에서 보여주던 드리블을 통한 오버래핑과 정확한 롱패스로 공을 공격진에게 배달하고, 웬만한 윙어보다 빠른 속도로 복귀를 하거나 공을 가진 선수를 뒤에서 따라잡아서 커팅을 해내는 것은 물론, 기본적인 수비력마저 뛰어나서 사실상 완전체 센터백의 모습을 보여줬다. 튀르키예 내에서도 반응이 굉장히 좋고 팬들에게 큰 사랑을 받았으며, 바이아웃이 낮아서 팬들은 6개월만에 이적해버리는게 아니냐고 불안해하고 있다고 할 정도로 이적 초부터 팀의 핵심선수가 되었다.[16] 튀르키예에서 한 시즌만을 보냈음에도 불구하고 주간 베스트 수비수에 여러번 선정될 정도로 최고의 활약을 펼쳤고, 이에 유럽 빅리그에서도 김민재에 대한 관심이 폭발하면서 스타드 렌 FC, SSC 나폴리 간의 치열한 영입 경쟁이 펼쳐졌다. 그 외에 PL에서도 여러 팀이 관심이 있다는 소식도 나오는 등 몸값이 크게 상승했다.

이후 김민재는 SSC 나폴리로 이적하였고, 팀을 떠난 레전드 수비수 칼리두 쿨리발리의 역할을 그대로 이어받았다. 쿨리발리의 빈자리을 채우는 것은 매우 부담이 될 수 있는 상황임에도 프리시즌과 리그 초반 좋은 모습을 보여줬으며, 리그 시작 이후 곧바로 이달의 선수상까지 받을 정도로 성공적으로 쿨리발리의 빈자리를 꽉 채웠다.

일부 이탈리아 현지 언론에서는 쿨리발리보다 빠른 조르조 키엘리니에 더 가깝다는 평가를 하기도 했다.# 풋볼리스트에서도 쿨리발리가 깔끔한 태클에 우아한 드리블을 펼치는 데 비해, 키엘리니는 어깨를 이용한 몸싸움 수비에 능하며 기세 좋게 밀고 올라가는 드리블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에 동의하는 듯한 의견을 냈다.


5. 기록[편집]



5.1. 우승 기록[편집]






5.2. 개인 수상[편집]


  • AFC 아시안컵 토너먼트의 팀: 2019
  •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최우수 수비수: 2019
  • K리그1 베스트 XI: 2017, 2018
  • K리그1 영플레이어상: 2017
  • 세리에 A 이달의 선수: 2022년 9월[17]
  • AIC[18] 이달의 선수: 2022년 10월


5.3. 클럽 기록[편집]


  • 2022년 10월 30일 기준[19]

시즌 소속 리그 리그 국내 컵 대륙 대항전 총합
경기 도움 경기 도움 경기 도움 경기 도움
2016경주 한국수력원자력한국 내셔널리그1500200---1700
1시즌합계1500200---1700
시즌 소속 리그 리그 국내 컵 대륙 대항전 총합
경기 도움 경기 도움 경기 도움 경기 도움
2017전북 현대 모터스K리그 클래식2920100---3020
2018K리그123101006013011
2시즌합계52302006016031
시즌 소속 리그 리그 국내 컵 대륙 대항전 총합
경기 도움 경기 도움 경기 도움 경기 도움
2019베이징 궈안중국 슈퍼 리그26002006003400
20201700---6002300
2021200------200
3시즌합계450020012005900
시즌 소속 리그 리그 국내 컵 대륙 대항전 총합
경기 도움 경기 도움 경기 도움 경기 도움
21-22페네르바흐체 SK쉬페르리그31101008004010
1시즌합계31101008004010
시즌 소속 리그 리그 국내 컵 대륙 대항전 총합
경기 도움 경기 도움 경기 도움 경기 도움
22-23SSC 나폴리세리에 A1120---4001520
1시즌합계1120---4001520
통산15460700300119161


5.4. 국가대표[편집]


  • 2022년 3월 29일 기준.

  • 출전기록
소속 대표팀
연령
경기
득점
대한민국U - 1700
U - 2020
U - 2380
A 대표423
통산523

  • 골 기록
날짜
장소
상대팀
결과
대회명
2019.1.16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부다비파일:중국 국기.svg 중국2:0 승


6. 논란[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김민재/논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김민재에 대한 언사[편집]


파일:피파 공식 SNS 김민재.jpg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김민재/관련 언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8. 홍보대사[편집]




  • 2022년 5월 지난해 5천만 원에 이어 올해 5천만 원을 추가 기부하며 총 1억 원을 기부, 푸르메재단 고액기부자모임 '더미라클스'의 35번째 회원이 되었다. #1 #2


9. WAGs[편집]


2020년 5월 3일에 업로드된 박문성 해설위원 유튜브 채널 영상에 김민재가 출연하여 2020년 5월 2일 결혼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배우자는 일반인이며 김민재는 자신이 대학생때 축구보다 연애를 더 열심히 했어서 빨리 결혼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2021년 딸이 태어나자 혼전임신설 등이 불거져 비난이 쏟아지기도 했다. 팬들의 발언 수위가 점점 높아지자 2021년 8월 31일 김민재 본인이 인스타그램 게시물을 통해 아내가 힘들어하고 있다며 자제해줄 것을 부탁했다. 사실 결혼식보다 혼인신고가 빨랐고 아이는 혼인신고 후에 생겼다고 직접 밝혀 논란이 사그라들었다.

2022년 10월에는 아내와 함께 축구신문 칼치오 나폴리에 나왔는데 나폴리 시내의 일식 전문점에 가서 초밥을 먹는 사진이 실렸다.

같은 해 11월, 나폴리 현지 강도들에게 차량을 도난당하는 피해를 입었다.

얼마 뛰지않은 김민재에게 아직도 깊은 사랑을 주고 있는 페네르바체 팬들이 심지어는 아내의 인스타그램에까지 와서 커뮤니티에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

10. 여담[편집]



  • 가족이 모두 체육인 집안이다. 아버지가 유도선수, 어머니가 육상선수 출신이다. 그러니 지금의 운동신경은 부모님으로부터 물려받은 것이라고 봐도 된다. 형도 명지대학교에서 골키퍼로 활약 중이라고 한다.

  • 축구를 시작한 계기가 공부가 하기 싫어서였다고 한다.

  • 본래 프로 입단 이전에 포지션은 지금처럼 센터백이 아니라, 초등학교 시절에는 공격수 출신이었다고 한다.

  • 한때 SNS를 매우 활발히 했다. 안 끼는 곳이 없다 싶을 정도로 다른 선수들 글에 댓글도 열심히 남기는 편이었다. 상당히 재치있는 글도 많이 올렸는데 시비거는 팬과 키배를 벌이거나 도발해오는 이란 팬에게 노빠꾸로 극딜을 먹인 일이 유명하다. 크게 문제가 된 적은 없었지만 본인이 이런저런 일로 많이 데이다 보니 지금은 예전보다 자제하고 있다.

  • 최강희 감독을 영입한 텐진 취안젠에서 김신욱과 함께 영입 대상이 되었다.# 이에 팬들은 당연히 김신욱이라면 모를까, 김민재의 중국 진출은 절대 반대하고 있었고, 이 와중에 유망주 중국화 시킬 셈이냐며 최강희 감독 또한 비난을 받았다. 그러나 취안젠이 망했고[20], 최강희도 계약 해지를 당해서 김민재 영입전은 그렇게 흐지부지됐다.

  • 여배우 신도현과 친한 것으로 보인다. 김민재가 드라마 땐뽀걸즈 촬영 현장에 신도현을 위해 커피차를 보냈고 인스타그램에서도 댓글을 남기는 등 매우 친밀한 사이다.

  • 인터뷰에 의하면 베이징 생활은 대체로 만족했지만, 음식에 들어가는 고수에 적응하는 것은 좀 힘들었다고 한다.

  • 베이징 궈안 이적 후 ACL에서 유독 K리그 팀들만 만나면 실수를 하는 애국자 기믹이 제대로 생겼다. 2019년 친정팀 전북과의 조별예선에서는 김민재답지 않은 빌드업 미스로 전북에게 선취골을 내주고, 2020년 조별예선 FC 서울전과 8강전 울산 현대 전에서는 핸드볼 파울을 저질러 PK를 내줬다.


  • 예전에 머리스타일을 짧게 잘라 축구유튜버 채널에 출연했다. 당시 헤어 스타일이 군대 입영하는 병사처럼 짧아진 이유에 대해 밝히길 중국리그 시절 현지에서 커트를 했을때 엉망이 돼서 차라리 잘됐다 생각하고 그냥 밀어버렸다고 한다.

  • 박주호장현수에게 수비수에 대한 지능적 플레이를 많이 배웠다고 한다. 김영권에게도 많이 배우긴 했지만 그는 즉석에서 물어볼 수 있기 때문에 많이 따라다니진 않았다고 말했다.

  • 완벽주의자라 한번이라도 수비를 실수하면 정말 화가 많이 나며 용납이 안된다고 한다.

  • 중국리그로 이적하면서 한창 까이던 시절 그의 이름을 중국식으로 로컬라이징한 김민짜이, 진민짜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당사자는 이 별명이 정말 싫은 모양인지 여러 번 민감한 반응을 보였고, 심지어 본 항목 탐방 도중 진민짜이 별명을 보더니 이제 진민짜이 그만 써달라고 부탁까지 했다.

  • 진민짜이와는 반대 의미의 별명은 반다이크와 플레이스타일이 비슷하다고 반다이크를 변형시킨 것들이 많다. Ex) 한반다이크, 반도다이크, 반의 반다이크, 민자이크 등

  • 자신이 축구선수가 안 됐으면 뭘 했을거라 생각하냐는 질문에 집이 통영이라서 수산업을 했을 것 같다고 말했다.


  • 롤모델은 처음엔 세르히오 라모스페페였지만 최근에는 다요 우파메카노로 바꼈다고 한다. 둘의 플레이스타일도 꽤 비슷한데 뇌지컬과 피지컬이 동시에 된다는 점과 센터백치고 발재간이 좋다는 점이 공통점


  • 유튜브에서는 주로 자신의 스폐셜영상을 많이 본다고 한다.

  • 닮은꼴로는 김신영이 주로 언급되는데 옛날부터 김신영을 닮았다는 말을 많이 들었다고 한다. 최근에는 허각, 그리고 가수 양다일을 닮았다는 이야기를 많이 듣는다. 그래서 양다일이 노래하는 유투브 영상에 "김민재 선수 앞으로 나폴리에서도 좋은 활약 보여주세요!", "김민재 노래도 잘하네?" 같은 개드립스러운 댓글이 있었을 정도였다.# 그리고, 김민재 본인도 고알레 유투브 채널에서 이 댓글을 실제로 봤다고 한다.#

  • 거대한 몸집과 큰 키에 상반되는 귀여운 얼굴을 가져 은근히 여성팬들이 많다.

  • 강해보이는 각진 얼굴 골격을 가졌는데도 불구하고 앞머리를 덮는 더벅머리를 하는 등 강한 이미지와는 맞지 않는 스타일링으로 피지컬에 비해 순해보이는 이미지가 있었는데 유럽 이적 후 머리를 짧게 자르면서 갖고있던 얼굴 골격 특유의 세보이는 이미지와 매력이 드러난다는 평가가 있다. 실제로 실력에 대한 평가에 외모가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입증되면서 정치계나 스포츠계에서는 전략적으로 외모나 스타일링에 대한 디자인을 받는다.
파일:김민재 근육팔.jpg

  • 국내 커뮤니티에서는 김민재 특유의 여덟 팔자 모양으로 끝이 쳐지고 길이가 짧은 눈썹이 인상을 흐려보이고 피지컬에 비해 약하게 보이게 한다는 의견이 있어 위와 같은 눈썹 교정 염원 짤이 돌아다니기도 한다. 실제로 눈썹교정은 문신이나 제모 등으로 외모를 드라마틱하게 바꿀 수 있어 최근 한국에서 면접 등을 앞두고 광범위하게 받는 기본적인 외모 관리에 속한다.
파일:kimin1.jpg파일:kimmin2.jpg

  • 대한민국 축구 선수 중 근육량이 가장 좋다는 평이 있는데, 매일 벌크업을 위해 운동한다고 한다.

  • 몸에 기독교 관련 문신이 많다. 가슴에는 커다랗게 레터링을 했고 등판에는 아마겟돈을 형상화한 그림과 가운데에는 십자가를 쥐고 있는 예수 문신이 있다. 왼팔 안쪽면에도 레터링과 성 야고보 십자가 문신이 있다. 그래서 가톨릭 신자가 대부분인 나폴리 팬들도[21] 신기하게 바라본다고 한다.#

  • 파주 NFC에서 음식을 가장 잘 먹는 선수라고 한다.

  • 통영시 출신이라서 그런지 사투리를 쓴다. 인터뷰를 할때는 사투리를 안쓰지만 평소 훈련을 하거나 자신과 친숙한 사람하고는 사투리를 쓰는 것으로 보인다.

  • 친화력이 굉장히 좋다.

  • 풋볼매니저 시리즈에서 별로 좋지않은 능력치의 소유자였으나 [22] 풋볼매니저 22에는 능력치가 상당히 좋아지며 epl 중상위권 구단은 물론 심지어 레알 마드리드가 노리는 자원으로 까지 능력치가 조정됐다. 실제로도 노리고 있는 중이다.#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공식 페이스북의 2022 수능 응원 게시물#에서 뜬금없이 수능 준비물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정확히는 시간이 부족할 때는 4번으로 찍으라는 뜻이라고.

  • 국가대표 훈련장에서 후배들에게 서로 의사소통을 많이 해야 한다면서 잔소리를 했을 때 "운동장 와 이리 조용하노?" 발언이 축구 커뮤니티에서 여러가지로 밈이 되었다.#

  • 동명이인 배우 김민재에게 영상편지를 보냈다.#

  • 김민재가 SSC 나폴리로 이적하고 선수들이 모여있는 입단 신고식에서 싸이의 '강남스타일' 을 노래해서 소소한 화제가 되었다.# 그리고, 나중에 주장 디로렌초의 생일파티에서 강남스타일을 한 번 더 불렀다고 한다.# 이에 네티즌들은 "오락부장 김민재", "축구하러 간게 아니라 구단 전속 가수로 행사뛰러 간거 아니냐? ㅋㅋㅋ", "보컬형 센터백이냐? ㅋㅋㅋ" 같은 농담을 하기도 했다.

  • 나폴리 이적 직전 고알레 채널에서 본인의 나무위키 문서를 다시 읽어봤다.#

  • 나폴리 이적 후 기자회견에서 김민재의 통역을 맡은 통역사가 유창한 한국어로 화제가 되었다. 이 통역사는 나폴리동양학대 한국학과 책임교수인 안드레아 데 베네디티스인데, 한국에서 교환학생으로 지내면서 한국어를 배웠다고 한다.#

  • 2022년 들어 K리그의 정동식 주심이 김민재와 닮은 꼴 외모로 축구팬들에게 크게 이슈가 되었다.


  • 김민재가 세리에 A 데뷔골을 넣고 알려진 사실인데 나폴리 이적설이 보도될 당시 스카우터들이 만장일치로 아우성을 쳤고 데라우렌티스 회장과 내기까지 하려고 했다고 한다.


  • 페네르바체에서의 활약 덕에 이적 이후에도 튀르키예 팬들이 상당히 많아진 것으로 보인다. # 특히 페네르바체 팬들은 여전히 김민재를 그리워해하고 있다. 카타르 월드컵 조별리그 우루과이 전에 관중석에 페네르바흐체 SK 유니폼을 입고 응원하는 팬이 찍히기도 했다.

  • 최근 연이은 활약으로 인해 팬들이 많아지면서 "김민재 굉장하다"가 밈처럼 많이 쓰이고 있다. 변형버전도 많이 쓰이고 있다.

  • 나폴리 시내에 자신의 벽화가 그려졌다. 기사 놀라운 것은 나폴리로 이적한지 한 시즌도 지나지 않았다는 것. 참고로 22-23 스쿼드 선수 전부가 그려진 것은 아니고 현재 가장 활약이 좋은 선수들로 그려졌다고 한다.

  • 세리에 A 2022-23시즌 10라운드 볼로냐전에는 나폴리 팬들이 한글로 철기둥[23]이라는 현수막을 들고 응원했다. #

  • 2022년 10월 축구전문매체 442가 선정한 세계 최고의 센터백 10위에 랭크되었다.
442 선정 세계 최고의 센터백 Top 10 (2022.10.24 기준) 링크

  • 카타르 월드컵 공식 인스타그램에 단독 사진 게시물이 올라오면서 월드컵에서도 주목할만한 선수라는 완벽한 인증을 받았다.

  • 김민재는 카타르 월드컵 무대를 밟는 이탈리아 세리에A 선수들 중 주목할 선수로 꼽혔다.미국의 CBS 스포츠에서 "주목할 10명을 선정했다"며 발표했는데, 그 명단 속에 김민재도 포함됐다. 관련 기사

2022 CBS 스포츠 선정 카타르 월드컵에서 주목할 이탈리아 세리에 A 소속 선수 10인

  • 나폴리에서 홈 데뷔전 골, 라치오전 동점 골 같은 임팩트 있는 득점을 하다 보니 현 포지션이 센터백임에도 김민재 관련영상 댓글에 골실점이 아닌 골득점과 관련된 이야기가 종종 나오고 있다.

  • 경기[24]가 끝난 이후 "맘마미아!"라고 말하며 승리를 만끽하는 장면이 세리에 A 공식 트위터에 올라왔다. 이 때 세리에 A 공트에서 K리그 공식 트위터를 언급하며 한국에서는 맘마미아를 어떻게 말하는지 물어봤고 K리그 공트는 '대박', '맙소사'로 말한다고 답변했다.

  • 청와대 만찬 자리에서 행사 사회자가 조규성에게 “국가 대표팀에서 자신이 가장 잘 생겼다고 생각하느냐”고 묻자 조규성이 손흥민을 지목하고 손흥민이 김민재를 지목했는데, 이에 대해 김민재는 “저에게 잘생겼다고 말하는 사람을 믿지 않는다”고 말해 현장을 웃음바다로 만들었다.#

  • 2022-23 시즌 전반기를 마치고 세리에 A에서 누구를 막기가 제일 힘들었냐고 질문받자 올리비에 지루라고 답했다.

11. 관련 문서[편집]




12. 둘러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SSC 나폴리 2023-24 시즌 스쿼드
파일:메렛2324.webp
파일:나탕2324.webp
파일:데메2324.webp
파일:제주스2324.webp
파일:마리오후이2324.webp
1345{{{#ffffff 6
{{{#1a90cd VC}}}
}}}
알렉스 메렛
Alex Meret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GK
1997.03.22
2019~2024
나탕
Natan

파일:브라질 국기.svg | DF
2001.02.06
2023~2028
디에고 데메
Diego Demme

파일:독일 국기.svg | MF
1991.11.21
2020~2024
주앙 제주스
Juan Jesus

파일:브라질 국기.svg | DF
1991.06.10
2021~2025
마리우 후이
Mário Rui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DF
1991.05.27
2018~2026
파일:엘마스2324.webp
파일:오시멘2324.webp
파일:라흐마니2324.webp
파일:니키타콘티니2324.webp
파일:이다시아크2324.webp
79131416
엘리프 엘마스
Eljif Elmas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 MF
1999.09.24
2019~2025
빅터 오시멘
Victor Osimhen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 FW
1998.12.29
2020~2026
아미르 라흐마니
Amir Rrahmani

파일:코소보 국기.svg | DF
1994.02.24
2020~2027
니키타 콘티니
Nikita Contini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GK
1996.05.21
2015~2025
후베르트 이다시아크
Hubert Idasiak

파일:폴란드 국기.svg | GK
2002.02.03
2022~2024
파일:올리베라2324.webp
파일:시메오네2324.webp
파일:지엘린스키2324.webp
파일:폴리타노2324.webp
파일:디로렌초2324.webp
1718{{{#ffffff 20
{{{#1a90cd 3C}}}
}}}
21{{{#ffffff 22
{{{#1a90cd C}}}
}}}
마티아스 올리베라
Mathí­as Olivera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 DF
1997.10.31
2022~2027
지오반니 시메오네
Giovanni Simeone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 FW
1995.07.05
2023~2026
피오트르 지엘린스키
Piotr Zieliński

파일:폴란드 국기.svg | MF
1994.05.20
2016~2024
마테오 폴리타노
Matteo Politano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FW
1993.08.03
2021~2024
조반니 디 로렌초
Giovanni Di Lorenzo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DF
1993.08.04
2019~2028
파일:제르빈2324.webp
파일:카쥐스트2324.webp
파일:린스트룀2324.webp
파일:루소2324.webp
파일:외스티고르2324.webp
2324293855
알레시오 제르빈
Alessio Zerbin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FW
1999.03.03
2017~2027
옌스 카쥐스트
Jens Cajuste

파일:스웨덴 국기.svg | MF
1999.08.10
2023~2028
예스페르 린스트룀
Jesper Lindstrøm

파일:덴마크 국기.svg | FW
2000.02.29
2023~2028
로렌초 루소
Lorenzo Russo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MF
2005.04.19
2023~2024
레오 외스티고르
Leo Østigård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DF
1999.11.28
2022~2026
파일:자놀리2324.webp
파일:로보트카2324.webp
파일:가에타노2324.webp
파일:흐비차2324.webp
파일:라스파도리2324.webp
5968707781
알레산드로 자놀리
Alessandro Zanoli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DF
2000.10.03
2020~2026
스타니슬라프 로보트카
Stanislav Lobotka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 MF
1994.11.25
2020~2027
잔루카 가에타노
Gianluca Gaetano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MF
2000.05.05
2019~2025
흐비차 크바라츠헬리아
Khvicha Kvaratskhelia

파일:조지아 국기.svg | FW
2001.02.12
2022~2027
자코모 라스파도리
Giacomo Raspadori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FW
2000.02.08
2023~2028
파일:골리니2324.webp
파일:앙귀사2324.webp
9599
피에를루이지 골리니
Pierluigi Gollini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GK
1995.03.18
2023~2024 [A]
앙드레프랑크 잠보 앙귀사
André-Franck Zambo Anguissa

파일:카메룬 국기.svg | MF
1995.11.16
2022~2025
SSC 나폴리 2023-24 시즌 주요 임대선수
파일:SSC 나폴리 로고.svg
파일:SSC 나폴리 로고.svg
파일:SSC 나폴리 로고.svg
파일:SSC 나폴리 로고.svg
파일:SSC 나폴리 로고.svg
2530707090
엘리아 카프릴레
Elia Caprile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GK
2001.08.25
엠폴리 FC 임대
2024.06.30 복귀
안토니오 베르가라
Antonio Vergara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MF
2003.01.16
AC 레지아나 1919 임대
2024.06.30 복귀
왈리드 셰디라
Walid Cheddira

파일:모로코 국기.svg | FW
1998.01.22
프로시노네 칼초 임대
2024.06.30 복귀
주세페 암브로시노
Giuseppe Ambrosino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FW
2003.09.10
US 카탄차로 1929 임대
2024.06.30 복귀
마이클 폴로룬쇼
Michael Folorunsho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MF
1998.02.07
엘라스 베로나 FC 임대
2024.06.30 복귀
구단 정보
회장: 아우렐리오 데 라우렌티스 / 감독: 발테르 마짜리 / 홈 구장: 스타디오 디에고 아르만도 마라도나
출처: 나폴리 공식 홈페이지 /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8월 21일
[A] 아탈란타 BC에서 임대



||
[ 펼치기 · 접기 ]

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득점소속 구단
GK1김승규
(Kim Seung-Gyu)
1990년 9월 30일 (33세)790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샤바브 FC
12송범근
(Song Bum-Keun)
1997년 10월 15일 (26세)10파일:일본 국기.svg 쇼난 벨마레
21조현우
(Jo Hyeon-Woo)
1991년 9월 25일 (32세)240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울산 HD FC
DF2이기제
(Lee Ki-Je)
1991년 7월 9일 (32세)110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수원 삼성 블루윙즈
3김진수
(Kim Jin-Soo)
1992년 6월 13일 (32세)682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북 현대 모터스
4김민재
(Kim Min-Jae)
1996년 11월 15일 (27세)554파일:독일 국기.svg FC 바이에른 뮌헨
15정승현
(Jung Seung-Hyun)
1994년 4월 3일 (30세)191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울산 HD FC
19김영권
(Kim Young-Gwon)
1990년 2월 27일 (34세)1037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울산 HD FC
22설영우
(Seol Young-Woo)
1998년 12월 5일 (25세)70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울산 HD FC
23김태환
(Kim Tae-Hwan)
1991년 7월 24일 (32세)240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울산 HD FC
MF5박용우
(Park Yong-Woo)
1993년 9월 10일 (30세)70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알 아인 FC
6황인범
(Hwang In-Beom)
1996년 9월 20일 (27세)495파일:세르비아 국기.svg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7손흥민 파일:주장 아이콘.svg
(Son Heung-Min)
1992년 7월 8일 (31세)11641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토트넘 홋스퍼 FC
8박진섭
(Park Jin-Seob)
1995년 10월 23일 (28세)10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북 현대 모터스
10이재성
(Lee Jae-Sung)
1992년 8월 10일 (31세)779파일:독일 국기.svg 1. FSV 마인츠 05
11황희찬
(Hwang Hee-Chan)
1996년 1월 26일 (28세)5912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13이순민
(Lee Soon-Min)
1994년 5월 22일 (30세)40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광주 FC
14문선민
(Moon Seon-Min)
1992년 6월 9일 (32세)162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북 현대 모터스
17정우영
(Jeong Woo-Yeong)
1999년 9월 20일 (24세)153파일:독일 국기.svg VfB 슈투트가르트
18이강인
(Lee Kang-In)
2001년 2월 19일 (23세)184파일:프랑스 국기.svg 파리 생제르맹 FC
FW9조규성
(Cho Gue-Sung)
1998년 1월 25일 (26세)308파일:덴마크 국기.svg FC 미트윌란
24오현규
(Oh Hyeon-Gyu)
2001년 4월 12일 (23세)70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셀틱 FC
일정1월 친선 경기2024년 1월 6일(토)중립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2023 AFC 아시안컵2024년 1월 15일(월)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2023년 1월 20일(토)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2023년 1월 25일(목)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출처: 대한축구협회
2023년 12월 13일 기준



[1] 안동 김씨[2] 실제로 통영시에 "통영 바다막썰이횟집 아들 축구선수 김민재 아시안게임 금메달!"이라는 현수막이 걸린 적이 있다.[3]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공식 프로필[4] ZUM, 다음, 네이트 포털 사이트 프로필 기준[5] K리그 DB 참조[6] http://m.kmib.co.kr/view.asp?arcid=0924001984[7] 등 뒤에 십자가를 든 예수 문신이 그려져 있다.#[8]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금메달로 병역특례를 받았다.[9] 나폴리에선 왼쪽 라인에 자주 서는 만큼 왼발도 수준급으로 사용한다.[10] 2022년 12월 6일 기준.[11] 22/23 시즌 소속 팀인 나폴리 내에서 두 번째로 빠르다. 1위는 최고시속 37km/h를 기록한 빅터 오시멘.[12] 한국인 선수가 유럽 선수들과 아프리카 선수들을 상대로 피지컬로 찍어 누르던 게 차두리곽태휘 이후로 거의 전무했던 것을 생각하면 김민재의 피지컬이 얼마나 사기적인지 알 수 있다.[13] 벤투호 체제에 들어서서 김민재→황의조로 이어지는 롱패스 패턴이 간간이 나온다.[14] 현재 국대에서는 스타일이 반대되면서도 상호보완이 가능해 베스트 센터백 조합이라 평가받는 김영권과 역할을 나눠서 수비를 조율하는 것으로 커버하고 있다.[15] 빌드업 리더는 현역 시절에 스위퍼를 맡았던 홍명보가 국대에서는 사실상 유일했다. 그마저도 1대1 상황에서는 수비력이 떨어진 탓에 쓰리백에서만 제대로 활약했다. 그나마 장현수의 경우가 패스라던가 기본적인 수비력 면에서는 홍명보보다 못했지만 라인 조절 등 그나마 커맨더형 수비수의 기본 역할을 잘 수행했던 선수지만, 봉사활동 미이행으로 인해 국대 영구제명을 당해 이제는 과거 이야기. [16] 딱 한 시즌만 뛰었는데도 구단의 레전드 수비수인 시몬 키예르, 디에고 루가노에 비견될 정도로 위상이 어마어마하다.[17] 아시아 최초 수상[18] 이탈리아 축구 선수 협회(Associazione Italiana Calciatori)[19] 출처[20] 취안젠 그룹이 불법 행위를 저지르다 망했다. 그래서 이름이 톈진 톈하이로 변경.[21] 참고로 마라도나의 사망 이전 나폴리의 홈 경기장 이름은 바울로의 이름을 딴 스타디오 산 파올로였다.[22] 잘해봤자 베이징 잔류나 심지어 주전 경쟁에 밀려 덴마크 리그로 가는게 빈번했다.[23] 주세페 브루스콜로티의 별명이었다.[24] 2022-23 13R 아탈란타 BC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1-27 07:07:31에 나무위키 김민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