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귀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철부김구해김거칠부김세종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수을부을제수품비담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알천금강김유신김군관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진복김문영김개원인품
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배부김사공김정종김사인
제21대제22대제23대제24대
신충만종신유김양상
제25대제26대제27대제28대
김경신충렴세강김언승
제29대제30대제31대제32대
김숭빈김수종김충공김균정
제33대제34대제35대제36대
김명김귀장보고김예징
제37대제38대제39대제40대
김의정김안김정위진
제41대제42대제43대제44대
김위홍준흥김성계강
제45대제46대
박위응김성
문헌상 기록이 확인된 인물
김춘추, 김순정, 김옹, 김주원




파일: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png
신라의 상대등(上大等)
김명김귀장보고?[1]

金貴

통일신라 하대의 진골 귀족. 관등은 이찬.

전임 상대등이었던 민애왕 본인이 838년 왕위에 오르면서 그 자신의 후임으로 김귀를 신라 귀족의 수장직인 상대등에 임명했다. 이에 따르면 민애왕의 측근이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장보고김우징의 궐기로 민애왕 정권이 무너지면서 권력을 잃은 것으로 추정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6 00:12:20에 나무위키 김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삼국사기에는 안 나오고 삼국사절요에서만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