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금천군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서울특별시의 자치구에 대한 내용은 금천구 문서
금천구번 문단을
금천구#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금천군
金川郡 / Kŭmchŏn County
국가북한(실질적)
대한민국(명목적)
광복 당시 면적959㎢
광역시도황해북도
광복 당시 행정구역12면
시간대UTC+9


1. 개요
2. 지리
3. 역사
4. 교통
5. 출신인물
6. 북한 기준 행정구역
7.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7.1. 구 금천군 지역
7.2. 구 토산현 지역



1. 개요[편집]


북한 황해북도의 군. 이북5도 행정구역상으로는 황해도.

한국의 시·군 단위 지명에서 '(쇠 금)'으로 시작하는 시·군명은 대개 '김'으로 읽어야 하는(김천시, 김포시, 김제시, 김해시, 김화군 등) 것과 달리 여기는 '금'이라 읽어야 한다. 서울특별시 금천구의 '금'자는 옷깃 금(衿)자이므로 이 곳과 한자가 다르다.


2. 지리[편집]


군의 서부 중앙을 예성강이 흐른다. 이북5도상 행정구역 기준으로 군 동쪽에는 임진강이 흐르는데, 대체로 강원도와의 경계를 이루지만 토산면 내리, 외리, 부압리 지역은 임진강을 건넌 월경지이다.


3. 역사[편집]


삼국시대 중기 고구려가 이 땅을 차지한 후 우잠군(牛岑郡)과 오사함달현(烏斯含達縣)을 설치했다. 신라가 이후 차지한 뒤 신라 경덕왕 때 전국 지명 한화정책에 따라 우잠군은 우봉군(牛峯郡), 오사함달현은 토산군(兎山郡)으로 개칭했다. 일단 삼국사기 지리지의 기록상으로는 신라 9주 5소경한주에 속했는데, 신라 후기에 한주와 구분되는 특수 행정구역 패강진을 신라 서북면에 설치했다는 설을 긍정한다면 금천군도 위치상 패강진 관할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 중기까지 군의 서쪽은 강음, 중앙은 우봉, 동쪽은 토산으로 불렸으나, 강음과 우봉은 효종대에 합쳐져 금천군이 되었고, 토산군1914년에 편입되었다.

광복 당시 면적 959.5km², 하위행정구역은 12면으로 되어 있었다. 경의선 철도가 지나가며, 개성시에서 남천, 사리원시 방면으로 가려면 꼭 거쳐야 하는 곳이다. 개성인삼이라고 불리는 인삼이 이 곳에서도 재배되었다.


4. 교통[편집]


개성평양간 고속도로가 여기를 지나며, 평의선 혹은 경의선금천역이 시가지 근처에 있다. 남북통일 이후에는 평양개성간 고속도로와 경의선을 끼고 있어서 교통거점으로 발전될 가능성이 높다.


5. 출신인물[편집]


우봉 최씨우봉 이씨의 발상지가 이 군 우봉면이다. 고려 말 무인정권의 지배자 최충헌과 4대에 이르는 최씨 무인정권은 우봉을 본관으로 삼은 우봉 최씨이다. 똑같이 우봉을 본관으로 삼은 우봉 이씨 출신 인물 중에서는 을사오적 중 한명인 이완용이 있다.


6. 북한 기준 행정구역[편집]


총 1읍 14리로 구성되어 있다.
  • 읍: 금천읍
  • 리: 백양리, 신강리, 백마리, 남정리, 용성리, 현내리, 원명리, 문명리, 월암리, 계정리, 덕산리, 강북리, 강남리, 양합리


7.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편집]


||


파일:금천군기.png
파일:황해도 휘장.svg 황해도미수복지구(군)
파일:금천군 상징.png
금천군
金川郡
Kŭmchŏn County
||
파일:금천군.jpg
군청 소재지금천면 금릉리
광역자치단체황해도
하위 행정구역12 111
면적959.46㎢
인구72,281명[1]
인구밀도75.33명/㎢
명예읍·면장12석
홈페이지이북5도위원회 금천군 소개
남쪽은 경기도 개풍군·장단군, 황해도 연백군과 접하고, 서쪽은 황해도 평산군, 북쪽은 신계군과, 동쪽은 강원도 이천군·철원군, 경기도 연천군과 접한다.


7.1. 구 금천군 지역[편집]


아래 지역은 원래부터 금천군이었던 곳이다.










7.2. 구 토산현 지역[편집]


과거 토산현에 속했던 미원면(美原面)은 신계군 수면(水面)의 6개 리와 병합되어 신계군 다미면(多美面)으로 재편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5 07:10:21에 나무위키 금천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944년 호구조사[2] 1914년 군내면(郡內面)과 구수면(九水面)을 병합하여 신설되었던 면[3] 광복 직후에 면이 복구되었다가 1952년에 다시 폐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