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광주교통공사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본사가 운영하는 유도 선수단에 대한 내용은 광주교통공사 여자 유도단 문서
광주교통공사 여자 유도단번 문단을
광주교통공사 여자 유도단#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대한민국의 철도 운영 기관
[ 펼치기 · 접기 ]

전국
 한국철도공사   주식회사 SR
수도권
  서울시메트로9호선  공항철도  인천교통공사  우이신설경전철   우이신설경전철운영   신분당선  네오트랜스  경기철도  새서울철도  이레일   서부광역철도 용인경량전철  인천공항시설관리  남서울경전철    서해철도  김포골드라인운영  의정부경량전철 우진메트로  SG레일   남양주도시공사  넥스트레인     
동남권
  부산-김해경전철  스마트레일 가야철도
기타 권역
 
대전교통공사 
전라선철도  삼표레일웨이 
우진PRT
{{{#003478,#3090F0 주1 의정부경전철주식회사는 파산 이후 도시철도운송사업 폐업 절차를 마친 상태로, 운영기관이 아니다.
주2 서울메트로9호선운영주식회사서울교통공사9호선 2·3단계 구간을 직영하게 됨에 따라 2018년 11월 28일부로 해체되었다.
주3 서울9호선운영주식회사9호선 1단계 구간 도시철도 관리운영위탁계약이 2019년 6월 30일부로 해지된 상태로, 운영기관이 아니다.}}}





광주교통공사
光州交通公社 | Gwangju Transit Corporation
파일:광주교통공사 상하CI.svg파일:광주교통공사 상하CI_white.svg
설립일2023년 9월 15일([age(2023-09-15)]주년)
전신광주광역시 지하철공사 운영기획단
(2001년 8월 6일~2002년 11월 1일)
광주광역시도시철도공사
(2002년 11월 2일~2023년 9월 14일)
대표자조익문
주무 부처광주광역시
주요 주주광주광역시: 100%
기업 분류공기업
상장 여부비상장 기업
직원 수937명(2022년 12월 31일 기준)
자본금1조 7,643억 2,896만 5,891원(2020년 기준)
매출액246억 7,791만 4,705원(2020년 기준)
영업 이익-818억 2,824만 7,272원(2020년 기준)
순이익-374억 8,508만 2,026원(2020년 기준)
자산 총액1조 1,833억 8,336만 2,684원(2020년 기준)
부채 총액400억 1,680만 6,518원(2020년 기준)
운영 구간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 광주 도시철도 1호선
파일:광주 2호선 아이콘.svg 광주 도시철도 2호선[미개통]
파일:SillimLine_icon.svg 서울 경전철 신림선[위탁]
영업 거리20.5km
미션시민의 안전을 최고로, 신뢰받는 행복 도시철도 (2018~ )
비전The(더) 안전하고 The(더) 편리한 교통서비스 제공 (2018~ )
소재지본사 -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대로 760 (마륵동)
관련 웹 사이트
파일:광주교통공사 심볼.svg광주교통공사 공식 홈페이지
광주도시철도노동조합 공식 홈페이지
공식 소셜 미디어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광주교통공사 공식 블로그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광주교통공사 공식 유튜브
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 광주교통공사 공식 카카오스토리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광주교통공사 공식 X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광주교통공사 공식 페이스북
공식 캐릭터
파일:광주교통공사 마스코트 씽아.svg
마스코트 '씽아(Ssing-A)'
콜 센터 및 유실물 센터
고객 콜 센터: 062-604-8000
종합 관제실: 062-604-8218
1호선 소태역 유실물 센터: 062-604-8554
SMS, 사진 제보 고객 센터: 010-2922-2844

파일:광주교통공사_사옥.jpg
광주광역시 서구에 위치한 광주교통공사 본사[1]

광주교통공사 공식 로고송

안전하고 신속해요

편안하고 쾌적해요

항상 우리곁에 함께해요

광주교통공사 광주교통공사

광주교통공사의 로고송[2]


1. 개요
2. 역대 사장
3. 운영 노선
3.1. 직영 노선
3.2. 위탁 운영 노선
4. 소속 열차
5. 안내 방송


1. 개요[편집]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의 운영사인 광주광역시도시철도공사를 전신으로 출범한, 광주광역시 산하 지방 공기업이다. 2001년 지하철공사 운영기획단이 그 시초이며 2002년 광주광역시의회가 도시철도공사 설립 조례를 통과시키면서 광주광역시도시철도공사가 정식 출범했고 지금의 광주교통공사는 2023년 9월 15일에 출범했다.

2004년에 개통한 광주 도시철도 1호선 밖에 없는 현재, 광주교통공사는 1호선 노선의 결함으로 인해 도시철도 운영 적자가 계속 누적되고 있는 형국이다. 하지만 이런 암울한 이용율에 비해 2018년 이후 계속 서비스와 시설 고객 만족도에서 전국 1위 평가를 받아 오고 있다. 심지어 2015년 이후부터, 광주송정역KTXSRT가 개통되고 나서 광주 도시철도 이용객이 예전에 비해 크게 늘었고 추후에 개통 예정인 광주광역시 인구의 70%를 소화하는 순환선 광주 도시철도 2호선을 통하여 이용객을 늘릴 계획이라 미래가 어둡지만은 않다.


2. 역대 사장[편집]


대수이름임기비고
초대조익문2023년 9월 15일~광주광역시도시철도공사 제8대 사장


3. 운영 노선[편집]



3.1. 직영 노선[편집]


  •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 광주 도시철도 1호선 전 구간: 녹동역 ~ 평동역
  • 파일:광주 2호선 아이콘.svg 광주 도시철도 2호선 전 구간: 시청역 ~ 효천역[3]


3.2. 위탁 운영 노선[편집]


  • 파일:SillimLine_icon.svg 서울 경전철 신림선 전 구간: 샛강역 ~ 관악산역[위탁]


4. 소속 열차[편집]




5. 안내 방송[편집]


정확한 문장과 표현에 관한 정보는 안내방송/열차/도시철도안내방송/역을, 열차 진입음은 열차 진입음, 안내방송 성우와 관련된 부분은 이쪽을 참조할 것.


6. 스포츠단[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광주교통공사 여자 유도단#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8 23:23:29에 나무위키 광주교통공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미개통] 1단계 2027년, 2단계 2029년 개통. 3단계는 개통미정[위탁] A B 개통 후 3년간 관제 업무를 담당하며, 노선 운영과 같은 종합 운영은 현대로템의 자회사인 로템SRS가 맡는다.[1] 본사 관내에 종합관제실이 있다. 지하 3층, 지상 10층 규모이며 1~6층은 교통공사가 사용하고 9층은 인포렉스 주식회사(現 여보야 주식회사)가 사용하다가 철수했다. 7~8층은 광주광역시 도시철도건설본부에서 사용 중이며 1, 5층 일부와 9, 10층은 모두 기타 기업이 공간을 임차하여 사용 중이다. 1층의 여유 공간에는 광주광역시 자원봉사센터가 입주했다.[2] 도시철도공사 시절 로고송에서 사명만 바뀌었다.[3] 미개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