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령군

덤프버전 :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고령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나이가 많음'이라는 뜻의 단어에 대한 내용은 노인 문서
노인번 문단을
노인#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경상북도 자치군
파일:고령군 CI.svg고령군
高靈郡
Goryeong County
||
군청 소재지대가야읍 왕릉로 55 (지산리)
광역자치단체경상북도
하위 행정구역1 7
면적384.06㎢
인구30,190명[1]
인구밀도78.98명/㎢
군수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이남철 (초선)
군의회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7석[2]
도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노성환 (초선)
국회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정희용 (초선)
지역번호054 - 95X
웹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1. 개요
2. 역사
2.1. 인구
3. 교통
4. 관광
5. 특산물
6. 금융
7. 교육
8. 정치
9. 하위 행정구역
10. 여담
11. 출신 인물
11.1. 고령이 본관인 유명인
12.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경상북도으로 가야연맹 시절에는 대가야의 중심지였다. 동쪽으로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달서구와 접해있고 서쪽으로는 경상남도 합천군, 남쪽으로는 경상남도 합천군, 창녕군과 접하며 북쪽으로 성주군과 접한다.

고령군(高靈郡)이 도자기의 원료인 고령토(高嶺土)로 유명한 지역이긴 한데, 고령토의 이름과는 관계가 없다. 나이가 많다는 고령(高齡)과도 더욱 더 관계가 없다.

2. 역사[편집]


일명 대가야로 불리는 옛 반파국(伴跛國)의 중심지로서 16대 520년 간을 계승했다. 그러다가 신라 진흥왕 때 신라에 병합되었고 대가야군(大伽倻郡)이 되었다. 757년(경덕왕 16) 때 전국 지명 한화정책에 따라 현대에 사용하는 이름인 고령군으로 바꿨다. 9주 5소경강주에 속했는데, 경북 다른 지역이 대부분 상주, 양주 관할인 것과 달리 지금의 경상남도 쪽 행정구역에 붙인 것이다. 강주 지역이 대부분 옛 가야 소국들이 있었던 땅이기에 그 쪽에 연관시켜 편입시킨 것으로 보인다.

1018년(고려 현종 9)에 영천현(靈川縣)으로 바꾸고 경산부(京山府:현재의 성주군)에 속하였다.

조선 태종 때 고양군의 고와 영천현의 영을 따서 고령현(高靈縣)이라 하였다고 한다. 그런데 이미 삼국사기 지리지에서 신라 경덕왕이 고령군이라고 이름지었다고 하고 있으므로 고려 때 잠시 달라졌던 옛 이름을 부활시킨 셈이다. 1895년(고종 32)에 성주군의 9개 면과 현풍군(현 대구광역시 달성군 남부 지역) 3개 면을 병합하여 고령군이 되었다. 1906년 성주군의 일부와 현풍군의 일부를 흡수하였다. 1930년 쌍동면과 임천면을 쌍림면으로 통합하였다.

1979년 고령면이 고령읍으로 승격하였다.

2015년 4월 2일 고령읍의 명칭이 대가야읍으로 변경되었다. 4월 2일인 이유는 대가야국이 AD 42년에 건국된 것을 기념하기 위해서다. # 대가야의 원래 이름을 따지면 반파읍이라 해야 되는 것 아닌가?[3] 사실 대가야 멸망 이후 신라에서도 '대가야군'이던 것을 신라 경덕왕고령군으로 바꾼 것이므로 새로 만든 이름이 아니라 1,300여년만에 원래 이름으로 되돌린 것이다.


2.1. 인구[편집]


파일:고령군 CI.svg 고령군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76,093명
1970년 67,534명
1975년 62,999명
1980년 48,950명
1983년 2월 15일 고령군 덕곡면 성동 → 성주군 수륜면 편입
1985년 41,187명
1990년 35,278명
1995년 36,194명
2000년 37,587명
2005년 34,271명
2010년 34,678명
2015년 34,594명
2020년 31,361명
2023년 10월 30,19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0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읍면별 인구 통계
[ 펼치기 · 접기 ]

대가야읍 9,728명
다산면 8,096명
쌍림면 3,281명
성산면 2,518명
개진면 1,889명
운수면 1,783명
우곡면 1,555명
덕곡면 1,420명
2023년 5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3. 교통[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고령군/교통#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관광[편집]


파일:중화유원지.jpg
파일:대가야수목원2.jpg
중화유원지대가야수목원
파일:고령 대가야 지산동 고분군.jpg
파일:대가야박물관.jpg
고령 지산동 대가야 고분군대가야박물관

지산동 고분군, 대가야박물관, 우륵박물관 등의 대가야 시대에 관한 관광지들이 있으며 매년 4월 초 대가야읍 역사 테마 관광지를 중심으로 대가야 체험 축제가 개최된다. 하지만 2020년에는 코로나-19 사태로 축제가 개최되지 않았다. 축제가 개최되는 날에는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VR 체험 등 대가야읍 역사 테마 관광지 주변에 있는 커다란 건물 뒤로 행사가 개최된다. 국수 등 여러 가지 음식을 맛볼 수 있다. 음식을 먹는 곳 앞에는 소형 미니 공연장 같은 것이 있는데, 그 곳에서 음악단이 노래를 하거나 악기를 연주하는 등 공연을 하기도 한다. 곳곳에서 노래를 틀어놓고 축제 마지막 날에는 전통 의상을 입고 행진을 한다. 주로 마을의 촌장 이런 사람들이 참가한다. 그뿐만 아니라 미니 공연장 다음으로 미니 공연장 크기에는 버금가지 못 하는 엄청 거대한 하얀 공연장에서 옛날 이야기 뮤지컬을 하기도 하며, 연예인이 온 적도 있다. 아이들한테 가장 인기가 있었던 높은 풍선 미끄럼틀 타기 등 여러모로 참가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부모의 손을 놓고 마음대로 돌아다니는 아이들 때문에 아이를 잃어버리거나 귀중품을 잃어버리는 등 사건사고가 발생한다. 그래서 대가야 체험 축제가 열릴 때면 항상 아이나 다른 사람을 찾거나 귀중품을 찾는다는 방송이 울려퍼지는 공식이 있다. 가야에서 유일한 금관이 발견된 곳이 이 곳이지만, 정식으로 발굴한 게 아니라 도굴꾼에게 도굴당한 것이 돌고 돌아 현재 진품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리움미술관에 있으며, 이 곳 고령군에는 모조품만 전시되어 있다. 미숭산 자연 휴양림, 대가야수목원도 휴양을 즐길 수 있는 곳이다.


5. 특산물[편집]


파일:고령딸기.jpg
파일:고령수박2.jpg
고령 딸기고령 수박
파일:고령 성산멜론.gif
파일:개진감자.jpg
고령 성산메론고령 개진감자

특산물로는 딸기, 수박, 멜론, 감자가 있다. 수박과 감자는 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에 등록되어 있다.



6. 금융[편집]


고령군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제1금융권
국가기관
고령우체국 (7)
특수은행
농협은행(중앙회) (2)
지방은행
대구은행 (1)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농업협동조합
고령농협 (3)동고령농협 (3)쌍림농협 (1)고령성주축협 (2)
다산농협 (1)
새마을금고
고령새마을금고 (4)
신용협동조합
고령신용협동조합 (2)
산림조합
고령군산림조합 (1)


7. 교육[편집]



파일:고령군 CI_White.svg 경상북도 고령군 초등학교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고령군 CI_White.svg 경상북도 고령군 중학교
[ 펼치기 · 접기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고령군 CI_White.svg 경상북도 고령군 고등학교
[ 펼치기 · 접기 ]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고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어떤다큐는 고령군 중학생이 1면 이라소개하여 성주까지 통학한다고 한다만 실제중학인구 는 고령군에 1명은아니고 그보다 만을 것으로 추정된다

8. 정치[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고령군/정치#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하위 행정구역[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고령군/행정#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여담[편집]


파일:고령 한국사.jpg





11. 출신 인물[편집]




11.1. 고령이 본관인 유명인[편집]




12. 관련 문서[편집]



[1] 2023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2] 고령군 가선거구 (대가야읍, 덕곡면, 운수면): 김기창, 성원환
고령군 나선거구 (성산면, 다산면): 이달호, 성낙철
고령군 다선거구 (개진면, 우곡면, 쌍림면): 김명국, 이철호
비례대표: 유희순
[3] 반파라는 이름보다 대가야라는 이름이 인지도가 더 높아서 이렇게 변경한 것으로 보인다.[괄호] A B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4] 호남 동부 섬진강 유역까지 진출했기 때문이다. 1번은 관산성 전투에서 전사한 국왕이라는 얘기가 나오니 백제 성왕이고, 2번은 울릉도(우산국, 울릉군 일원)를 정복했다는 얘기니 신라 지증왕이고, 4번은 고구려 광개토대왕 이야기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2 10:58:36에 나무위키 고령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