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경복궁 건춘문

덤프버전 :

분류

[ 펼치기 · 접기 ]

현무문
천하제일복지천
오운각옥련정
벽화실청와대 관저
청와대 본관청와대 녹지원춘안당융문당
칠궁양정재수궁(구 관저터)융무당태화궁
지희실경농재(관풍루)대유헌경무대
청와대 위민관,헬기장
수궁청와대 춘추관
마장관가문희맹공신단
금화문팔도배미
청와대 영빈관,경호실
추성문금위군직소춘화문춘생문
신무문수문계무문광무문춘도문수문
태원전수문장청팔우정 집옥재 협길당각감청건청궁 관문각서녹산
남여고 육우정
직처소어구동녹산
어린이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선원전 경안당
종각가회정 보현당장고통화당순화궁 외소주방
순화궁 내소주방
영선문진전 소주방진전 생물방화락당나인처소
회안전문경전장고
숙설소
향원정
전기등소
만화당벽혜당(왕대비전 생물방)대향당
정훈당
나인처소
함화당 집경당영훈당만경전건기당(왕대비전 내소주방)요광당(왕대비전 외소주방)
원역처소빈궁 수랏간다경합건복합
원역처소
제관방
흥복전중궁전
침방,수방
대왕대비전
침방,수방
제수합영보당벽월당(상궁처소)
하향정원역처소(접견소)장방(기무처)아미산자미당자경전집희당(대왕대비전 내소주방)춘소당(대왕대비전 침방)취운당(대왕대비전 수방)
국별장직소함원전함홍각건순각원길헌인지당예춘당(대왕대비전 생물방)벽하당(상궁처소)웅향당(상궁처소)
국출신직소경회루흠경각교태전임향당함정당(대왕대비전 외소주방)계응당(상궁처소)
양의문복회당(대전 생물방)보월당(상궁처소)자운당(상궁처소) 나인처소
무겸직소응지당강녕전연길당
북위장직소경성전연생전대전 내소주방난지당(대전 외소주방)대소대금방(나인처소)
수문파수각향오문
영추문수문장청내각(규장각)검서청(규장각)대전장방(내시부)습회당협오당장원당천추전사정전만춘전자선당비현각장방 삼처관리소
수문장청
건춘문
초관직소장무관직소입심억석(내의원)주원(사옹원)수정전사정문오상방원역처소세자궁 수랏간등촉방장방
훈국군번직소침의청(내의원)약방(내의원)내반원(내시부)수정문협의문
융무루ㅓ
근정전계인문
융문루ㅏ
통장청문기수청춘방별감방초관처소
서소위장직소의약청(내의원)
옥당
(홍문관)
검서청(규장각)대전 수랏간영화문계조당계방훈국군번처소
누국당후(승정원)정원(승정원)월화문 근정문 일화문
일영대선전관청빈청숭양문기별청
유화문
수각
┃덕양문
수각
별군직청
춘방책고대청
주차장
상의원 면복각
영제교
신당덕응방북마랑흥례문
전사청국립고궁박물관
연고 내사복 거달처소 중마랑
동마랑용성문어도협생문계방
행각
오위도총부
우마랑좌마랑내구연지수문장청
매표소
군사방
수문장청
매표소
서소부장청
남소위장청
동소부장청
동소위장청
견마배청남마랑군사방초관처소
영군직소
측사
측사충장장청
수장장청
서십자각수문광화문
(월대)
수문동십자각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17호 경복궁
경복궁 건춘문
景福宮 建春門
소재지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세종로)
건축시기1395년 (창건) / 1867년 (중건)

파일:external/www.cha.go.kr/1624469.jpg
건춘문[1]
1. 개요
2. 이름
3. 역사
4. 구조
5. 여담



1. 개요[편집]


경복궁의 동문(東門)이다. 주로 왕실의 친인척이나 궁인들이 이용했다.

현판 글씨는 고종 때 관료인 이경하[2]가 1865년(고종 2) 9월 17일 현판 서사관(書寫官)에 차출되어 쓴 것이다.

최근 발견된 <경복궁 영건일기> 일본 와세다 대학 소장본에 따르면 원래 건춘문 현판은 묵본록서(墨本綠書; 검정 바탕 녹색 글씨)였다고 한다. # 그러나 이 현판은 전해지지 않고 현재 걸려있는 현판의 글씨는 서예가 일중(一中) 김충현(金忠顯, 1921~2006)이 썼다. #

2. 이름[편집]


‘건춘’은 직역하면 ‘봄(春)을 세운다(建)’는 뜻이다. ‘建(세울 건)’은 ‘立(설 립)’과 의미가 비슷하므로, ‘입춘(立春)’, 즉 ‘봄이 시작된다’는 뜻으로 볼 수 있다. 오행에서 동쪽은 봄을 나타내므로, 동쪽 문에 ‘춘(春)’ 자를 붙이는 경우가 많다.#


3. 역사[편집]


1395년(태조 4년)에 경복궁을 창건할 때 건립되었으며# 1428년(세종 10년) 5월에 다시 지었다.# 1592년(선조 25년) 임진왜란으로 불탄 뒤 270여 년간 방치되었다. 1865년(고종 2년)에 중건되어 오늘에 이른다.


4. 구조[편집]



  • 아치을 낸 석축 위에 단층짜리 문루(門樓)를 올렸다. 문루 4면의 가장자리 앞에는 벽돌로 쌓은 통여장이 놓여있다.#

  • 통여장의 바로 밑 부분 석축에 석누조 2개가 달려 있다. 이는 비가 올 때 빗물이 빨리 빠져나가게 하기 위해 설치한 것이다.

  • 문루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총 6칸이다. 지붕은 우진각 지붕이다. 용마루와 내림마루는 전부 양성바름을 했고 그 위에 취두와 용두, 잡상을 올렸으며, 추녀 끝에는 토수를 끼웠다. 처마는 겹처마이고 공포는 이익공이다. 공포 사이마다 화반을 놓았으며 단청은 모루단청으로 칠했다.

  • 문루의 내부는 전부 한 공간으로 트여있다. 가운데칸 천장은 구조가 다 드러나 보이는 연등천장이다. 가장자리 쪽 들보 위는 우물반자로 마감하였다. 문루의 바닥은 전부 전돌을 깔았으나 가운데 칸만 마루를 깔았다.#

  • 아치은 겉에만 아치를 구성하고 내부의 천장은 반자로 덮어 놓은 모습이다. 반자에는 청룡황룡이 그려져 있다. 은 동쪽의 수호신을 뜻하기에 경복궁의 동쪽 문인 건춘문에 그려넣은 것이다. 문짝은 붉은색 나무이며 문짝 위에는 문둔테를 두었다.#

  • 경복궁 안쪽 부분의 석축 양쪽에 문루로 올라갈 수 있는 계단을 두었다. 계단에 난간은 설치하지 않았다. 계단과 문루 사이의 통여장 가운데에는 전돌을 쌓은 을 두었다.#


5. 여담[편집]


  • 조선 초 · 중기에 유독 건춘문 일대에서 해괴한 일이 많이 일어났다. 세종 때는 부엉이가 나타나서 울었고#, 세조 때는 궁궐을 지키는 갑사 한 명이 벼락을 맞아 해괴제를 지냈다.# 또한 중종 때는 익명서가 달린 화살이 건춘문에 날라온 일이 여러 번 있었다.###


파일:external/images.wikia.com/Kof97koreabg.gif
〈더 킹 오브 파이터즈 '97〉의 한국 스테이지 배경으로 나온 건춘문
[1]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2] 흥선대원군의 신임을 받던 포도대장, 금위대장이었다. 이범진의 아버지이자 이위종의 할아버지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8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8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2 03:13:12에 나무위키 경복궁 건춘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