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강서대묘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평양시
중구역평양성 (대동문 / 보통문 / 연광정 / 전금문) · 숭령전
대성구역고구려 고분군 (호남리 사신총) · 광법사 · 안학궁 · 대성산성 · 청암리 사지 & 청암리 토성
력포구역고구려 고분군 (동명왕릉 / 진파리 고분군) · 정릉사
만경대구역법운암
모란봉구역룡화사 · 평양성 (부벽루 / 을밀대 / 최승대 / 칠성문 / 현무문)
강동군단군릉
개성시
전체개성역사유적지구 (개성 성균관 / 개성 남대문 & 개성성 / 숭양서원 / 선죽교 / 만월대 / 현릉 / 현정릉) · 해선리 고려왕릉 · 관음사 · 영통사 · 흥국사 · 목청전
남포시
전체고구려 고분군 (강서삼묘 (강서대묘) / 덕흥리 벽화분 / 룡강대총 / 수산리 벽화분 / 쌍영총 / 약수리 벽화분)
강원도
전체보덕암 · 총석정 · 표훈사 · 신계사 · 장안사 · 유점사 · 석왕사 · 정양사 · 고성행궁
자강도
전체인풍루 · 보현사 · 상원암
평안남도
전체강선루 · 고구려 고분군 (덕화리 고분군) · 백상루 · 법흥사
평안북도
전체약산동대 · 영변행궁 · 통군정 · 귀주성
함경남도
전체함흥본궁 · 황초령비 · 마운령비 · 귀주사
함경북도
전체개심사 · 북관대첩비
황해남도
전체고구려 고분군 (안악 1호분 / 안악 2호분 / 안악 3호분) · 패엽사
황해북도
전체성불사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 화이트.svg 유네스코 세계유산 고구려 고분군

동명왕릉과 진파리 고분군 | 호남리 사신총 | 덕화리 1, 2, 3호분 | 강서삼묘 (강서대묘) | 덕흥리 벽화분 | 약수리 벽화분 |
수산리 벽화분 | 용강대총 | 쌍영총 | 안악 1호분 | 안악 2호분 | 안악 3호분



||
[ 펼치기 · 접기 ]

생애 및 활동배산 전투
가족부왕 양원왕

태자 영양왕 · 왕자 영류왕 · 왕자 대양왕 · 왕녀 평강공주

사위 온달
관련 문서장안 | 강서대묘



||
[ 펼치기 · 접기 ]

생애 및 활동생애 | 고구려-수 전쟁
관련 문서신집 | 강서대묘
연호건흥



파일:강서대묘_조선고적도보.jpg
1915년 조선고적도보에 실린 강서대묘의 모습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흰 배경).svg유네스코 세계유산
UNESCO World Heritage
이름한국어고구려 고분군
영어The Complex of the Koguryo Tombs
프랑스어Ensemble des tombes de Koguryo
국가·위치북한 평안남도·평양시·황해남도·남포시
등재유형문화유산
등재연도2004년
등재기준(ⅰ)[1], (ⅱ)[2], (ⅲ), (ⅳ)[3]


파일:북한 국장.svg
지정번호제 28호
이름조선어강서삼묘
한자四神塚
위치남포시 강서구역 호남리
시대고구려 6세기~7세기
지정연도미상
||

1. 개요
2. 특징
3. 벽화
4. 무덤의 주인



1. 개요[편집]


파일:강서삼묘.jpg
남포시 강서구역에 있는 고구려의 벽화 고분 및 굴식 돌방무덤으로 강서삼묘 무덤 중 크기가 가장 크다. 북한의 국보 제28호.


2. 특징[편집]


내부는 반듯하게 잘 다듬은 화강암 판석으로 쌓아 올린 뒤 그 위에 을 덮어 봉긋하게 만든 봉토석실분으로 봉분의 크기는 직경이 51m, 높이가 9m에 이르는 대형 고분이다


3. 벽화[편집]


파일:강서대묘 주작도.png
파일:강서대묘 사신도 현무.png
파일:강서대묘 사신도 백호.png
주작현무백호.

파일:강서대묘 사신도 청룡.png
청룡


4. 무덤의 주인[편집]


시대상으로 볼 때 평원왕 혹은 영양왕으로 비정된다고 보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0 05:26:17에 나무위키 강서대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고구려 고분 벽화는 고구려 문화의 걸작이며, 고분의 구조는 정교한 건축 공법을 보여 준다.[2] 고구려 문화의 독특한 매장 풍습은 일본을 포함한 인근의 다른 지역 문화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3] 고구려 고분은 고대 매장 양식의 중요한 사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