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이카 덴노

덤프버전 :

분류

[ 펼치기 · 접기 ]

전승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제13대제14대
고훈 시대
제15대제16대제17대제18대
제19대제20대제21대제22대
제23대제24대제25대제26대
제27대제28대제29대제30대
제31대제32대
아스카 시대
제32대제33대제34대제35대
제36대제37대제38대제39대
제40대제41대제42대제43대
나라 시대
제43대제44대제45대제46대
제47대제48대제49대제50대
헤이안 시대
제50대제51대제52대제53대
제54대제55대제56대제57대
제58대제59대제60대제61대
제62대제63대제64대제65대
제66대제67대제68대제69대
제70대제71대제72대제73대
제74대제75대제76대제77대
제78대제79대제80대제81대
제82대
가마쿠라 시대
제82대제83대제84대제85대
제86대제87대제88대제89대
제90대제91대제92대제93대
제94대제95대제96대
남조
제96대제97대제98대제99대
무로마치 시대
제100대제101대제102대제103대
제104대제105대제106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제106대제107대
에도 시대
제107대제108대제109대제110대
제111대제112대제113대제114대
제115대제116대제117대제118대
제119대제120대제121대제122대
근현대
제122대제123대제124대제125대
제126대





일본 제9대 천황
가이카 덴노
開化天皇
파일:external/www.saturn.dti.ne.jp/kaikwa.jpg
출생기원전 208년
사망기원전 98년 4월 9일 (향년 110세)
나라현 춘일솔천궁
(現 일본 나라현 텐리시)
능묘스가와라노후시미동릉(菅原伏見東陵(관원복견동릉)
재위기간왜국 황태자
기원전 254년 1월 1일 ~ 기원전 214년 2월 21일
제9대 천황
기원전 158년 11월 12일 ~ 기원전 98년 4월 9일
[ 펼치기 · 접기 ]

부모부황 고겐 덴노
모후 우츠시코메 황후
형제자매5남 1녀 중 장남
배우자이카가시코메 황후
자녀4남 1녀
종교신토
관저가스카노이자카야노미야(春日率川宮(춘일솔천궁)
마키무쿠노타마키노미야(纒向珠城宮(전향주성궁)
한풍 시호가이카 덴노(開化天皇(개화천황)
화풍 시호치일본근자언대일일천황
(稚日本根子彦大日日天皇)[1][2]
약왜근자일자대비비명추일본근자언대일일존
(若倭根子日子大毘毘命稚日本根子彦大日日尊)[3][4]

[1] 와카야마토네코히코오오히히노스메라미코토[2] 《일본서기》(日本書記)[3] 와카야마토네코히코오오히히노미코토[4] 《고사기》(古事記)

1. 소개
2. 계보
3. 《일본서기》 기록



1. 소개[편집]


일본의 제9대 천황. 《고사기》에서는 63세, 《일본서기》에서는 111세 혹은 115세에 붕어했다. 결사팔대의 여덟 번째이자, 마지막 천황이었다.


2. 계보[편집]


  • 제1비: 타니와노타카노히메(丹波竹野媛)
    • 1남: 히코유무스미노미코토(彦湯産隅命)
  • 황후: 이카가시코메노미코토(伊香色謎命) 황후[1]
    • 2남: 미마키이리히코이니에노미코토(御眞木入日子印惠命) - 제10대 스진 덴노
    • 1녀: 미마츠히메노미코토(觀松姬命)
  • 제2비 하하츠히메노미코토(姥津媛命)
    • 3남: 히코이마스 왕(彦坐王)
가계 펼치기
  • 제1비 오케츠히메노미코토(袁祁都比賣命)
    • 1남: 야마시로노오오츠츠키마와카노 왕(山代之大筒木眞若王)
      • 1남: 카니메이카즈치 왕(迦邇米雷王)
        • 1남: 오키나가노스쿠네노미코토(息長宿禰王)
          • 1녀: 오키나가타라시노히메미코토(息長足姬尊) - 진구 황후
    • 2남: 히코오스 왕(比古意須王)
    • 3남: 이리네노 왕(伊理泥王)
  • 제2비 사호노오오쿠라미토메(沙本之大闇見戸賣)
    • 4남: 사호비코 왕(狹穗彦王)
    • 5남: 오자호 왕(袁邪本王)
    • 1녀: 사호비메노미코토(狹穗姬命) - 제11대 스이닌 덴노의 황후
    • 6남: 무로비코 왕室毘古王
  • 제3비 오키나가노미즈요리히메(息長水依比賣)
    • 7남: 타니와노미치누시 왕(丹波道主王)
    • 8남: 미즈호노마와카 왕(水穗之眞若王)
    • 9남: 카무노오오네 왕(神大根王)
    • 2녀: 미즈호노이오요리히메(水穗五百依比賣)
    • 3녀: 미이츠히메(御井津比賣)
  • 제4비 야마시로노에나츠히메(山代之荏名津比賣)
    • 10남: 오오마타 왕(大俣王)
    • 11남: 오마타 왕(小俣王)
    • 12남: 시부미노스쿠네 왕(志夫美宿禰王)

  • 제3비 와시히메(鸇比賣)
    • 4남: 타케토요하즈라와케 왕(建豊波豆羅和氣王)


3. 《일본서기》 기록[편집]


  • 기원전 159년 11월 12일: 천황이 되다.
  • 원년[2] 1월 4일: 황후(어머니)를 높여 황태후로 삼았다.
  • 원년 10월 13일: 도읍을 옮기다.
  • 5년 2월 6일: 쿄겐 덴노를 장사지내다.
  • 6년 1월 14일: 타니와노타카노히메를 황후로 삼았다.
  • 28년 4월 9일: 천황이 죽었다.
  • 28년 10월 3일: 천황을 장사지냈다.[3]

[1] 아버지인 고겐 덴노의 제1비였다. 아버지의 부인을 아들이 부인으로 삼은 것이다.[2] 기원전 158년.[3] (殯)을 한 것이다. 즉, 요새식으로는 조문기간이라고 할 수 있다. 요즘은 보통 빈이라고 해야 만 2일이 안 되고, 길어도 1주일이지만, 고대 일본의 천황은 빈 기간이 기본 몇 개월, 심하게는 1년을 넘기기도 했다. 빈을 오랫동안 하면서 조문하러 오는 신하들 및 각지의 유력자들로부터 (고인의 명복을 비는 형식으로) 충성의 맹세를 받았다. 충성의 시험기간이었기 때문에 이토록 길었던 것이다. 당시 일본에서도 이런 것이 필요없는 서민들은 대략 7일이면 빈을 마쳤던 듯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9 12:52:09에 나무위키 가이카 덴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