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숫자 한자
[ 펼치기 · 접기 ]

/()()()()()
()()()()()
()廿(이십)(삼십)(사십)()
--
1(이백)()()()()
----
()()()()()
-----
()()()()
----
※회색 칸 안의 한자는 갖은자이다.

1 다만 이백 벽의 경우 후저우의 건축물인 '비쑹루(皕宋樓, 벽송루)'를 제외하고는 용례가 일절 없다.



십진수
[ 펼치기 · 접기 ]

큰 수작은 수
(/)
(100)
(/)
(101)
(//)
(102)
(//)
(103)
/분()
(10-1)
()
(10-2)
()/()
(10-3)
()
(10-4)
()
(104)
십만(十萬)
(105)
백만(百萬)
(106)
천만(千萬)
(107)
()
(10-5)
()
(10-6)
섬#jakeun_su()
(10-7)
()
(10-8)
()
(108)
십억(十億)
(109)
백억(百億)
(1010)
천억(千億)
(1011)
()
(10-9)
()
(10-10)
()
(10-11)
()
(10-12)
()
(1012)
()
(1016)
()
(1020)
()
(1024)
모호
(10-13)
준순
(10-14)
수유
(10-15)
순식
(10-16)
(/)
(1028)
()
(1032)
()
(1036)
()
(1040)
탄지
(10-17)
찰나
(10-18)
육덕
(10-19)
허공
(10-20)
()
(1044)
()
(1048)
항하사
(1052)
아승기
(1056)
청정
(10-21)
나유타
(1060)
불가사의
(1064)
무량대수
(1068)
...
구골
(10100)
구골플렉스
(10구골)
구골플렉시안
(10구골플렉스)



도랑 구
부수
나머지 획수
, 10획
총 획수
13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コウ
일본어 훈독
みぞ, どぶ
표준 중국어
gōu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용례
3. 유의자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溝는 '도랑 구\'라는 한자로, '도랑'을 뜻한다. 큰 수의 단위로 쓰이기도 하는데, 10의 32제곱을 의미한다.

2. 용례[편집]


유니코드에는 U+6E9D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ETTB(水廿廿月)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물 수)와 음을 나타내는 (짤 구)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2.1. 단어[편집]




2.2. 인명[편집]




2.3. 지명[편집]


  • 나자구(溝)[1]
  • 전라북도 군산시 옥구읍()

3. 유의자[편집]


  • (도랑/더럽힐 독)
  • (도랑 수/천)


4.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8 00:57:52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중국 영토이며 1913년 이상설 선생이 독립사관학교인 대순학교(大旬學校)를 세운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