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집을 념/점
부수
나머지 획수
, 5획
총 획수
8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デン, ネン
일본어 훈독
つま-む, ひね-る
-
표준 중국어
niān, diān, nián, niǎ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1. 개요[편집]


拈은 '집을 념/점'이라는 한자로, '집다', '집어 비틀다', '무게를 달다'를 뜻한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집다달다
념(염)
중국어표준어niān, niánniǎndiān
광동어nim1, nim4nim2, nim5dim1
객가어ngiâm
민동어niĕng
민남어liam, niliàmtiam
오어'nyi (T1)
일본어음독ネン, デン
훈독つまむ, ひねる
베트남어chêm, niêm, chiêm, chớm, niếm, nắm

유니코드에는 U+62C8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QYR(手卜口)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손 수)와 소리를 나타내는 (점령할/점칠 점)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4. 유의자[편집]


  • (집을 렴)
  • (집을 사)
  • 𢫷[⿰扌⿸𠂆巴](집을 와)
  • (집을 인)
  • 𠰅[⿱口手](집을 지)
  • (집을 차)
  • (집을 촬)


5.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서로만나밥먹을 념)
  • (번쩍거릴 섬)
  • 𢓕[⿰彳占](걷는모양 임)
  • (고개 재, 절이름 점)
  • 𦕒[⿰耳占](귀조금늘어질 점/접)
  • (데칠 점, 불타오를 첨/섬, 삼나무 삼)
  • (말꾸며댈 점, 수다스러울 잠, 잔소리할 첩)
  • 𪖚[⿰鼻占](매부리코 점)
  • (메기 점)
  • (벼 점)
  • (붙을 점)
  • (살찔 점/첨)
  • (쐐기 점)
  • (엿볼 점, 속삭거릴 첨)
  • (옥티 점)
  • (옷깃 점/접)
  • (위태로운 점/염)
  • (잔돌려놓는자리 점)
  • (점 점)
  • (차질 점/념)
  • (추할 점)
  • (흠 점)
  • (띠장식 접/첩)
  • (밟을 접)
  • (역마을 참)
  • 𪗦[⿰齒占](이뺄 참)
  • 𪉜[⿰鹵占](짤 참)
  • 𡖞[⿰多占](많을 첨)
  • (백황색 첨)
  • (섞을 첨)
  • (약할 첨)
  • (엿볼 첨/점)[1]
  • (젖을 첨)
  • (고요할 첩, 어울리지않을 첨)
  • (문서 첩)
  • (붙일 첩)
  • (소곤거릴 첩)
  • (안장장식 첩)
  • (족집게 첩, 보습 검)
  • (차조 첩, 차질 념)
  • 𤝓[⿰犭占](핥을 첩)
  • (다듬잇돌 침)
  • (모탕 침)
  • 𤘇[⿰牙占](잠)
  • 𨱬[⿰镸占](점)
  • 𫥄[⿰冫占]
  • 𫥸[⿰刀占]
  • 𠕟[⿰冉占]
  • 𭙀[⿰干占]
  • 𡖵[⿰夜占]
  • 𪯴[⿰方占]
  • 𫼜[⿰手占]
  • 𭮆[⿰歹占]
  • 𫀅[⿰示占]
  • 𥎁[⿰柔占]
  • 𥿕[⿰糸占]
  • 𬜅[⿰舌占]
  • 𧲸
  • 𫚳[⿰鳥占]
  • 𪕐[⿰鼠占]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편집]


  • 𥮠[⿱𥫗拈](재갈 겸)[2]
  • 𤭥[⿱拈瓦](괴어평평하게할 점)
  • 𢜋[⿱拈心]
  • 𭾄[⿱拈皿]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7 18:49:27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엿볼 첨/점)의 동자[2] (재갈 겸)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