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덤프버전 :

편안 강
부수
나머지 획수
广, 8획
총 획수
11획
고등학교
-
일본어 음독
コウ
일본어 훈독
やす-い, やす-らか
-
표준 중국어
kāng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康은 '편안 강'이라는 한자로, '편안하다', '탈이 없다' 등을 뜻한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편안하다
중국어표준어kāng
광동어hong1
객가어hông
민북어kó̤ng
민동어kŏng
민남어khong[文] / khang[白]
오어khaan (T1)
일본어음독コウ
훈독やす-い, やす-らか
베트남어khang

유니코드에는 U+7CE0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FDILE(火木戈中水)로 입력한다.

겉보기에는 广(집 엄)과 (미칠 이)가 합쳐진 회의자처럼 보이나, 실제로는 (별 경)과 (쌀 미)가 상하로 합쳐진 게 뭉개지면서 隶처럼 변한 것이다. 따라서 본래는 쌀겨를 뜻했으나 의미가 파생되면서 편안하다는 뜻으로 쓰이게 되었고, 본래 뜻은 (쌀겨 강)이라는 별도의 글자로 나타내게 되었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5. 창작물[편집]




4. 유의자[편집]


  • (편안할 념)
  • (편안 녕)
  • (편안할 담)
  • (편안할 수)
  • (편안할 온)
  • (편안 일)
  • (편안할 일)
  • (편안할 정)
  • 便(편할 편/똥오줌 변)


5.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당나라/당황할 당)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7 17:19:19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文] 문독[白] 백독[1] 성이 강씨인 사람들의 6~8%로 소수이며, 대부분은 (성 강)을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