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환진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전구지 前仇池
초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양무수양난적양의양초습양국
제6대제7대제8대말대
양준양세양통양찬
후구지 後仇池
초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양정양성양현양보종양난당
제6대말대
양문덕양보치
탕창 宕昌
초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양근양미홀양호자양미지양미기
제6대제7대제8대제9대제10대
양미박양미힐양미승양미합양미옹
제11대제12대제13대말대
양미태양헌정양미정양노감
등지 鄧至
초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상서치상서자상굴탐상서팽상남제
등지 鄧至염위 冉魏
말대추존추존초대말대
상첨함원제고제평제해빈후
환초 桓楚
추존초대제2대말대
선무제무도제환진환석수
대 代
초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목제보근왕대왕평문제혜제
제6대제7대제8대말대부흥
양제열제소성제헌명제탁발규
초촉 譙蜀적위 翟魏선우조 鮮于趙왕씨 정권 王氏
초대초대초대추존초대
성도왕하남공선우걸태상황태평제
우문부 宇文部
초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보회막나막괴보발구불권
제6대제7대
막규실독관걸득귀일두귀
단부 段部
초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일륙권걸진무목진취륙권섭부진
제6대제7대제8대제9대제10대
말파단아단료단란단감
말대
단근
서연 西燕
항목 참조



환초 제2대 군주
桓振 | 환진
묘호없음
시호없음
환(桓)
진(振)
도전(道全)
부친환석건(桓石虔)
생몰? ~ 405년
재위환초 제2대 군주
404년 ~ 405년
1. 개요
2. 생애
3.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중국 오호십육국의 왕조중 하나인 환초의 2대 군주.

환온의 동생인 환석건의 아들로 환현의 사촌이다.

2. 생애[편집]


환현이 형주자사를 지낼 때, 양무장군(楊武將軍), 회남태수(淮南太守), 강하(江夏) 관할자가 되었으나 성품이 좋지 못하단 이유로 면직당했고 후에 조카 환현이 황제로 즉위했을 때에도 다른 환씨 자제들을 등용했지만 환진은 등용하지 않았다.

404년 유유가 군사를 일으켜 환현을 공격하자 환현은 패해 서쪽으로 도주했으나 촉(蜀)에서 붙잡혀 처형당하고 만다. 당시 강릉도 동진군이 차지하자 환진은 지금의 감리현(監利縣) 북쪽에 은신했고 파릉(巴陵)에 주둔하던 환현의 옛 부하 왕치휘(王致徽)가 환진에게 사람을 보내 환흠(桓歆)이 건강(建康)을 차지했다고 거짓으로 알려 환진은 세를 모아 강릉을 습격하였다. 참고로 이때 환겸도 독자적인 세력을 이끌고 있었다.

환진은 강릉에 입성하자 환초를 배반하고 동진에 합류한 왕강산(王康產), 왕등지(王騰之)를 죽이고 진안제가 있는 남군부(南郡府)에 도착했고, 환현의 아들 환승(桓昇)이 처형당했다는 사실에 크게 분노해 진안제를 죽이려 했다. 하지만 환겸이 환진을 말렸고 환겸은 안제에게 전국옥새를 반납하였다. 그러자 환진은 자신의 심복들을 진안제의 곁에 두고 장군 및 자사로 봉했으며 환현에게 애도를 표하고 시호를 무도황제(武悼皇帝)라 하였다.

환진의 세력은 강릉을 차지했으나 환씨의 잔당은 형주 일대에 머물렀고 환진이 환겸에게 말했다.

「公(桓玄)當日不任用我,導此這個下場。假若公還在,我當前鋒,天下就大定了。現在只佔有江陵,哪裏是歸處呀?」

공(환현)이 그날 저를 임용하지 않아 이런 일이 발생했습니다. 만약 공(환겸)이 있다면, 내가 군림한다면, 천하의 일을 제대로 결정할 것입니다. 일단 지금은 강릉을 점유하고 있다만, 어디가 귀환할 곳입니까?


이후 환진은 주색, 주살 등 폭정을 행했다. 동년 유의가 왕치휘를 공격하자 하무기 등은 마두(馬頭)에서 환겸군을 격파했다. 그리고 하무기는 그 여세를 몰아 환진 치하의 강릉으로 진격했지만 환진은 영계(靈溪)에서 동진군을 격파하였다. 결국 동진은 심양(尋陽)을 환진에게 넘겼다.

405년 남양태수 노종지(魯宗之)가 군사를 일으켜 양양(襄陽)을 공격하자 옹주자사 환울(桓蔚)을 보내 그를 막게 하였다. 그러나 환울이 패해 유의 등이 자신의 근거지에 오자 환진은 진안제를 납치해 형주, 강주와 교환할 것을 요구했으나 유의는 거부하였고, 이틀 뒤 노종지가 환진의 부하 온해(溫楷)를 격파한 후 강릉 환진의 관저에서 십여 리 떨어진 성에 입성하였다. 환진은 환겸 등을 남겨두고 군사를 모아 노종지와 싸우게 되었으나 패했고 강릉은 유의에게 함락되어 방화되었다. 이후 환진은 자신의 세력이 궤멸된것을 깨닫자 운천(濦川)으로 도주하였다.

동년 3월, 환진은 운성(雲城)에서 강릉을 공격해 형주자사 사마휴(司馬休)가 도주하는 것으로 강릉을 함락하곤 형주자사를 참칭하였다. 동진군의 유회숙이 군사를 이끌고 환진과 지금의 후베이 강릉서(江陵西)에서 맞붙었으며 환진의 병력이 현저히 적었으나 사력을 다해 싸우니 환진의 용력으로 인해 아무도 그를 막지 못했다. 결국 유의가 당흥(唐興)을 보내 유회숙을 도와 참전했고 환진은 술에 취한 채 싸우러 나왔다가 당흥이 쏜 화살에 맞아 전사하고 말았다. 이후 강릉은 다시 동진에게 반납되었다.


3. 둘러보기[편집]


환초의 역대 군주
2대 무도제 환현환진환석수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7 00:38:56에 나무위키 환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