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합수역

덤프버전 :

合水驛 / Hapsu Station

합수역

다국어 표기
영어Hapsu
한자合水
중국어
일본어合水(ハプス
주소
량강도 백암군 양흥로동자구
관리역 등급
불명
(청진철도총국)
운영 기관
백두산청년선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개업일
혜산선1933년 11월 1일
철도거리표
길주청년 방면
양 곡
← 9.4 ㎞
백두산청년선
합 수
혜산청년 방면
남 계
6.2 ㎞ →

1. 개요
2. 역 정보
3. 여담



1. 개요[편집]


백두산청년선철도역. 량강도 백암군 양흥로동자구 소재.

워낙 로동자구나 리의 이름과 맞지 않는 역들이 이 백두산청년선에는 널리고 널렸는데, 합수역도 그 역들 중 하나.[참고자료] 더 우스운 건, 그 당시 길주역백암역 사이에 있던 역 중 행정구역상의 명칭과 역의 이름이 딱 맞는 것은 양곡역뿐이었다.


2. 역 정보[편집]


멀리 평라선내동역(평안남도 양덕군 소재)과 같이 역사가 본선 밖으로 분리되어 있는 역이다. 때문에 이 역으로 들어오려면 스위치백처럼 일단 역으로 쭉 진입했다가 뒤로 뺀 이후에 앞으로 출발해야 하는 괴상한 구조. 그 증거로 합수역에서 길주역 방면으로 나 있는 선로의 높이가 피난선으로 쓸 만큼 높지 않고 터널도 없는 것을 들 수 있다.


3. 여담[편집]


역세권은 대단히 좋지 못하다. 입지 조건의 문제여서 어쩔 수 없는 것. 민가가 거의 10여 채뿐인데, 애당초 입지 조건이 좋았다면 선로를 이렇게 부설할 필요도 없었을 것이다. 승강장은 1면 3선.

합수 도롱뇽 동물보호지라는 곳의 합수가 이 합수이기는 한데, 문제는 이 보호지역은 이 합수역 일대가 아니라 백무선 상황토역 인근이라는 것(...)

고도는 약 1125m로 이미 추전역을 뛰어넘은 지 오래.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22:34:05에 나무위키 합수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참고자료] 국사편찬위원회 한국근대지리정보에 있는 1918년 합수역 일대 지도이다. 파일:백암역 일대 지도.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