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함우치

덤프버전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좌리공신
[ 펼치기 · 접기 ]

1471년 3월 2일 성종에 의해 책록
순성명량경제홍화좌리공신 (1등)
권감김국광신숙주윤자운
정현조조석문최항한명회1
홍윤성
순성명량경제좌리공신 (2등)
김질송문림심회윤사흔
이정이침정인지1정창손1
한계미한계희한백륜구치관
순성명량좌리공신 (3등)
강곤김겸광강희맹노사신
박중선서거정성봉조신승선
양성지윤계겸이극배이극증
이숭원임원준정효상한계순
한치형1홍응
순성좌리공신 (4등)
구문신김교김길통김수녕
김수온김순명류수류지
박거겸선형신정2신준
심한어유소오백창우공
윤필상1이극돈3이석형이수남
이숙기이승소이철견이현
이훈정난종정숭조한보
한의한치례한치의한치인
함우치허종황효원
1 1504년 갑자사화로 인한 제명, 1506년 중종 때 복권
2 1482년 성종의 인신을 위조해 남의 재산을 탈취한 혐의로 인한 제명
3 1504년 조카 이세좌와의 연좌로 인한 제명, 1511년 중종 때 복권



조선 좌리공신
동평군(東平君) 평양공(平襄公)
함우치
咸禹治
출생1408년(태종 8)
사망1479년(성종 10)
봉호동평군(東平君)
시호평양(平襄)
본관강릉 함씨
문명(文命)
송담(松潭)

1. 개요
2. 생애
3. 여담



1. 개요[편집]


조선의 좌리공신이자, 문신.


2. 생애[편집]


조선개국공신 함부림(咸傅霖)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좌우참찬, 형조판서, 대사헌, 4도의 관찰사 등 여러 관직을 역임했다. 그리고 조선 성종조(成宗朝)에 좌리 4등공신에 책록되었다.


3. 여담[편집]


  • 서거정이 편찬한 필원잡기(筆苑雜記)에 함우치가 전라도 관찰사 재직시에 판결한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다.[1]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0 18:09:49에 나무위키 함우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