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텁쇼르

덤프버전 :

분류

아시아의 현악기
[ 펼치기 · 접기 ]

찰현악기
(호금류)
동아시아의 찰현악기
대한민국해금 · 아쟁(a)
북한소해금 · 중해금 · 대해금 · 저해금
중화권쓰후 · 얼후 · 징후 · 징얼후 · 반후 · 마구후 · 자오후 · 투후 · 후루후 · 예후 · 콩히안 · 가오후 · 디후 · 다후 · 종후 · 싼후 · 거후 · 디인거후 · 이인
시친 · 티친 · 정니(a) · 야정(a) · 주이후(a) · 레이친(a) · 라루안(a)
일본코큐(a)
(a) 발현악기의 형태 + 찰현악기의 연주 방식
중앙아시아의 찰현악기
몽골호치르 · 마두금 · 대마두금 · 이킬
튀르크코비즈 · 비잔치 · 기작
동남아시아의 찰현악기
베트남단 니 · 당 가오
태국소 우
캄보디아트로
발현악기금·슬·쟁(지터)
다현금고금 · · 거문고 · · 대쟁 · 가야금 · 고토 · 야특 · 단 짜인 · 미 갸웅 · 철현금 · 한아고
일현금이치겐킨 · 단 보우
월금(류트)
비파비파#악기 · 향비파 · 당비파 · 비와 · 텁쇼르 · 돔브라
삼현싼시엔 · 산신 · 샤미센 · 샨즈 · 담탐
공후(하프)
공후수공후 · 알타이 야특 · 사산도
타현악기양금
양금양금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a2032 33%,#0066b3 33% ,#0066b3 66% ,#da2032 66%)"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ext-align: left"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border:1px solid #fff"
[[몽골|[[파일:몽골 국기.svg|height=35&align=left]]]]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몽골
관련 문서
}}}}}}
<^|1><height=32><bgcolor=#ffffff,#1f202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


몽골의 텁쇼르


1. 개요
2. 상세


1. 개요[편집]


몽골, 알타이 공화국, 부랴티야 공화국, 칼미키야 공화국, 투바 공화국의 민속악기


2. 상세[편집]


텁쇼르(Товшуур, Tovshuur)는 돔브라와 비슷한 2현 발현악기로, 몽골 서부와 알타이 산맥을 중심으로 연주되었다. BCE 5000년부터 역사가 이어져 오고 있으며 비파와 관련이 있다고 한다.[1]

현대에는 포크 락 같은 대중가요나 몽골 전통공연 오케스트라 등 몽골 음악에 많이 쓰이고 있다. 흐미를 할 때 반주로 많이 사용된다. 울림통은 등변사다리꼴형, 타원형 등 다양하다. 연주법은 기타와 비슷하며 대체로 프렛이 없다.

마두금과 마찬가지로 나무로 만든 틀에 앞판을 가죽으로 씌우는 게 전통 방식이며, 현대에는 울림통 전면을 나무로 만든다.

만주족에게도 비슷한 2줄 현악기인 주워르거가 있으나, 울림통이 텁쇼르보다 많이 좁다. 투바 공화국에도 비슷한 더슈플루르(Doshpuluur)가 있으나 더슈플루르는 전통적으로 3현으로 만든다.

몽골의 메탈 밴드 The HU의 멤버 템카는 개량한 텁쇼르를 연주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2 09:18:19에 나무위키 텁쇼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논문 - '몽골 악기의 종류와 분류', 박소연, 2002.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