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성혁(축구선수)

덤프버전 :

북한의 축구 선수
파일:choesonghyok(18-19).jpg
이름최성혁
崔成赫 | Choe Song-hyok
출생1998년 8월 2일 (25세)
평양시
국적
파일:북한 국기.svg

신체176cm, 68kg
포지션윙어, 스트라이커
소속유소년초병축구단 (2013~2016)
ACF 피오렌티나 (2016)
선수ACF 피오렌티나 (2016)
AC 페루자 칼초 (2017~2018)
올비아 칼초 (2018 / 임대)
SS 아레초 (2018~2020)
국가대표3경기 (북한 / 2018~ )

1. 개요
2. 클럽 경력
3. 기록
3.1. 대회 기록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북한축구 선수. 이탈리아에 진출한 최초의 북한 선수다. 포지션은 윙어.


2. 클럽 경력[편집]


한때 아시아의 WC 진출팀이었으나, 1990년 경제난 이후 막장화된 축구실력을 재건하기 위해 북한은 2010년대에 여러 유망주들을 유럽에 축구유학을 보냈고, 최성혁은 그 중 한명이다. 이렇게 유학보낸 북한 축구 유망주는 30여명에 이른다고 알려져 있다. 북한의 경제상태를 감안하면 상당한 투자인셈. 최성혁은 스페인 바르셀로나의 푼다시온 마르셋 (Fundacion Marcet) 에 유학했다고 알려져 있다.

2014년 U-17 아시안컵에 출전해 조별리그에서 쿠웨이트와 네팔을 상대로 골을 넣었고 이후 토너먼트에서 득점 기록은 없다가 결승전에서 후반 66분 박명수의 실수로 흘러나온 공을 그대로 몰고가 한국을 상대로 쐐기골을 집어넣고 한광성과 같이 AFC U-17 아시안컵 우승을 견인하였다.

최성혁은 2015년 U-17 월드컵 아시아 예선에서 국대 데뷔전을 치렀다. 이 대회에서 최성혁은 주전이 아니었음에도 3골을 넣었다. 북한은 한국, 호주, 시리아와 함께 예선을 통과했고 최성혁도 여기에 참가했고, 북한은 조별예선을 통과하지 못했지만, 최성혁 및 여러 북한 유망주들은 에이전트의 눈에 띄게 되었다.

이어 북한에 돌아가 북한 리그의 초병팀에 있다가 2016년 3월 세리에 AACF 피오렌티나의 유스팀과 계약하고 합류하게 되었다. 하지만 북한제재에 부담을 느낀 피오렌티나는 4개월만에 방출했다. 대체로 북한선수의 연봉소득은 70%는 북한당국이 , 30%는 본인이 가져가는데, 이탈리아 의회에서 이런 사실을 문제삼자, 구단측이 부담을 느껴 포기한 것.

하지만 이 문제는 어떻게 해결이 되었는지, 2017년 7월, 1년만에 세리에 BAC 페루자 칼초는 이렇게 무소속이 된 최성혁을 3년 계약으로 영입했다. 페루자는 최성혁 뿐만 아니라 다른 유망주인 한광성칼리아리 칼초로부터 임대하기도 했다.

현재 최성혁은 이탈리아 세리에 C의 올비아 칼초로 임대 되었다가 2018년 7월 13일 세리에 C SS 아레초로 완전이적하였다.

이후 2020년 1월 31일, SS 아레초 구단과의 계약 만료로 팀을 떠나게 됐다. 다만,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이탈리아에 머물고 있다.

2023년 8월 22일 북한은 코로나19 사태로 국경을 봉쇄한 지 3년 7개월여 만에 북한 국영항공사인 고려항공 여객기를 베이징으로 보냈다. 이 여객기는 베이징에서 북한 주민 200여 명을 태우고 평양으로 돌아갔는데 아마 이때 한광성과 함께 귀국한 것으로 알려진다.


3. 기록[편집]



3.1. 대회 기록[편집]




4. 둘러보기[편집]


||
[ 펼치기 · 접기 ]

포지션등번호한글 성명영문 성명생년월일출장득점클럽비고
GK1강주혁Kang Ju-Hyok1997년 5월 31일00홰불체육단
18신대성Sin Tae-song2000년 5월 30일004.25체육단
21유광준Yu Kwang-jun2000년 11월 5일00려명체육단
DF2김경석Kim Kyong-sok2000년 2월 19일00선봉체육단
3장국철Jang Kuk-chol1994년 2월 16일625홰불체육단주장
5정금성Jong Kum-song1997년 1월 24일00리명수체육단
14최옥철Choe Ok-chol1998년 11월 11일00기관차체육단
16김유성Kim Yu-song2003년 7월 18일00압록강체육단
17강국철Kang Kuk-chol1999년 9월 29일90리명수체육단
23최진남Choe Jin-nam1998년 11월 20일00려명체육단
MF4김범혁Kim Pom-hyok2002년 4월 15일00려명체육단
6최성혁Choe Song-hyok1998년 2월 28일30FA
7권혁준Kwon Hyok-jun1997년 3월 6일00FA
11정일관Jong Il-gwan1992년 10월 30일7626리명수체육단
15리은철Ri Un-chol1995년 7월 13일251선봉체육단
19김국범Kim Kuk-bom1995년 2월 19일100려명체육단
20백충성Paek Chung-song2002년 2월 25일00려명체육단
FW8김국진Kim Kuk-jin2000년 10월 11일00기관차체육단
9박광룡Pak Kwang-ryong1992년 9월 27일4114FA
10한광성Han Kwang-song1998년 9월 11일101FA
12최주성Choe Ju-song1996년 1월 27일60압록강체육단
13리일송Ri Il-song2004년 1월 14일004.25체육단
22리형진Ri Hyong-jin1993년 9월 21일634.25체육단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11월 18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30 02:50:48에 나무위키 최성혁(축구선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