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체울린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웨식스 왕조
체르디치킨리치체울린체올
체올울프퀴네길스퀴첼름첸왈흐
머시아 왕조웨식스 왕조
펜다첸왈흐색스부르흐애스크위네
웨식스 왕조
첸트위네캐드왈라이네애설허드
쿠드레드시게베르흐트퀴네울프베오르흐트리치
에즈베르흐트애설울프애설볼드애설버트
애설레드 1세알프레드대 에드워드앨프워드
애설스탠에드먼드 1세이드리드이드위그
웨식스 왕조크누트 왕조
에드거 1세순교왕 에드워드애설레드 2세스웨인
웨식스 왕조크누트 왕조
애설레드 2세에드먼드 2세크누트해럴드 1세
크누트 왕조웨식스 왕조
하다크누트참회왕 에드워드해럴드 2세에드거 2세
노르만 왕조블루아 왕조
윌리엄 1세윌리엄 2세헨리 1세스티븐
노르만 왕조블루아 왕조플랜태저넷 왕조
마틸다스티븐헨리 2세청년왕 헨리
앙주 왕조플랜태저넷 왕조
리처드 1세헨리 3세에드워드 1세
플랜태저넷 왕조랭커스터 왕조
에드워드 2세에드워드 3세리처드 2세헨리 4세
랭커스터 왕조요크 왕조랭커스터 왕조
헨리 5세헨리 6세에드워드 4세헨리 6세
요크 왕조튜더 왕조
에드워드 4세에드워드 5세리처드 3세헨리 7세
튜더 왕조
헨리 8세에드워드 6세제인메리 1세

필립
튜더 왕조스튜어트 왕조
엘리자베스 1세제임스 1세찰스 1세찰스 2세
스튜어트 왕조
제임스 2세메리 2세윌리엄 3세




이름웨식스의 체울린
(Ceawlin of Wessex)
생몰년도? ~ 593년
재위기간560년 ~ 592년
종교앵글로색슨 이교에서 기독교로 개종
고대 영어: Ceawlin (체울린)[1]
라틴어: Ceaulinus (체아울리누스)[2]

1. 개요
2. 상세


1. 개요[편집]


웨식스 왕국의 제3대 국왕이다.

2. 상세[편집]


《앵글로색슨 연대기》에서 계보를 읊는 것을 제외하면 556년 브리튼인들과의 싸움인 베란부르흐(Beranburh) 전투에서 아버지 킨리치와 함께 참전한 것이 첫 기록이다.

568년 위반둔(Wibbandun)에서 체울린과 그의 형제 쿠다(Cutha)가 애설버트와 싸워 그를 켄트로 몰아내고, 두 앨도르만[3]인 오슬라프(Oslaf)와 크네바(Cnebba)를 죽였다.

577년 데오르함(Deorham, Dyrham)에서 브리튼인들과 싸워 콘마일(Conmail), 콘디단(Condidan), 그리고 파린마일(Farinmail) 세 왕을 죽이고, 글로스터(글레붐), 사이런세스터(코리니움), 바스(아쿠아 술리스)의 세 도시를 차지했다. 이 전투는 그 이전까지는 육지로 이어져 있었던 웨일스의 지역적인 분리를 불러왔다.

584년 페단 레아그(Fethan leag)에서 체울린과 쿠다가 브리튼인들과 싸웠고, 쿠다가 전사했다. 격노한 체울린은 여러 마을들과 수많은 전리품을 빼앗은 후, 자신의 영토로 돌아갔다.

592년(기록에 따라 591년) 워드네스베오르게(Wodnesbeorge)[4]에서 브리튼인에게 대패했다.[5] 그 후 체울린은 쫓겨나고 그 해에 죽었다. 그 후 (체울린에게는 조카가 되는) 쿠다의 아들인 체올이 6년을 다스렸던 것으로 여겨진다.

수도사 성 베다(Bēda)가 브리튼 땅의 패자, 즉 브레트왈다의 목록에 두 번째로 기록할 만큼[6] 체울린의 세력은 대단했으나 오딘의 무덤 전투에서 패배하고 쫓겨나 죽음을 맞게 되는 꽤나 극적인 인생을 살았다.

여담으로 체울린이 브리튼인과의 전쟁에서 패배하고 얼마 지나지 않은 596년에 캔터베리의 어거스틴교황 그레고리오 1세의 명령을 받고 잉글랜드로 건너갔다. 그 후 그는 601년에 초대 캔터베리 대주교[7]로 임명되었다. 그리고 AD 7세기부터 켄트 왕국을 시작으로 앵글로색슨족은 점차 고유의 게르만 신앙을 버리고, 기독교(가톨릭)로 개종하게 된다.
[1] 고대 영어에서는 전설모음과 이중모음 앞의 c는 k보다 tʃ로 발음되는 경우가 잦으며, c 다음의 ea는 æ로 발음.자세한 발음법은 여기를 참고.[2] 이전 주석에서는 '케아울리누스'라고 되어 있었는데 그건 로마 공화국 말기, 제정 초기때 라틴어이고, 당시의 라틴어로는 고대 영어와 비슷하게 발음되었다.[3] ealdormann. 영주라는 뜻이다.[4] 원래 '워덴의 무덤', 즉 '오딘의 무덤'이라는 뜻이나 지금은 Adam's grave로 불린다.[5] 베다의 저서, 《색슨 연대기》, 전설들에 따르면 웨식스 왕가를 비롯해 잉글랜드로 넘어온 앵글로색슨 지도자들의 조상을 거슬러 올라가면 공통적으로 오딘이 나온다. 그러니 오딘의 무덤에서 오딘의 후손이 패배했다는 것은 의미심장하다.[6] 첫 번째는 서식스의 엘라이다.[7] 현재는 세계성공회의 최고 성직자로, 로마 가톨릭교황이나 동방 정교회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와 같은 위치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22:05:25에 나무위키 체울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