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진흥왕릉

덤프버전 :

신라 왕릉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align=center><width=25%>
[[혁거세 거서간|{{{#fff 초대 혁거세 거서간}}}]]
[br][[오릉|혁거세왕릉(오릉)]] ||<width=25%>
[[남해 차차웅|{{{#fff 제2대 남해 차차웅}}}]]
[br][[오릉|남해왕릉(오릉)]]
||<width=25%>
[[유리 이사금|{{{#fff 제3대 유리 이사금}}}]]
[br][[오릉|유리왕릉(오릉)]]
||<width=25%>
[[탈해 이사금|{{{#fff 제4대 탈해 이사금}}}]]
[br][[탈해왕릉]]
|| ||
[[파사 이사금|{{{#fff 제5대 파사 이사금}}}]]
[br][[오릉|파사왕릉(오릉)]] ||
[[지마 이사금|{{{#fff 제6대 지마 이사금}}}]]
[br][[지마왕릉]] ||
[[일성 이사금|{{{#fff 제7대 일성 이사금}}}]]
[br][[일성왕릉]] ||
[[아달라 이사금|{{{#fff 제8대 아달라 이사금}}}]]
[br][[배동 삼릉|아달라왕릉(배동 삼릉)]] || ||
[[벌휴 이사금|{{{#fff 제9대 벌휴 이사금}}}]]
[br]'''현재 소재 파악 불가''' ||
[[내해 이사금|{{{#fff 제10대 내해 이사금}}}]]
[br]'''현재 소재 파악 불가''' ||
[[조분 이사금|{{{#fff 제11대 조분 이사금}}}]]
[br]'''현재 소재 파악 불가''' ||
[[첨해 이사금|{{{#fff 제12대 첨해 이사금}}}]]
[br]'''현재 소재 파악 불가''' || ||
[[미추 이사금|{{{#fff 제13대 미추 이사금}}}]]
[br][[미추왕릉]] ||
[[유례 이사금|{{{#fff 제14대 유례 이사금}}}]]
[br]'''현재 소재 파악 불가''' ||
[[기림 이사금|{{{#fff 제15대 기림 이사금}}}]]
[br]'''현재 소재 파악 불가''' ||
[[흘해 이사금|{{{#fff 제16대 흘해 이사금}}}]]
[br]'''현재 소재 파악 불가''' || ||
[[내물 마립간|{{{#fff 제17대 내물 마립간}}}]]
[br][[내물왕릉]][br][[황남대총]](소수설) ||
[[실성 마립간|{{{#fff 제18대 실성 마립간}}}]]
[br][[황남대총]](소수설) ||
[[눌지 마립간|{{{#fff 제19대 눌지 마립간}}}]]
[br][[황남대총]](다수설) ||
[[자비 마립간|{{{#fff 제20대 자비 마립간}}}]]
[br][[황남대총]](소수설) || ||
[[소지 마립간|{{{#fff 제21대 소지 마립간}}}]]
[br]'''현재 소재 파악 불가''' ||
[[지증왕|{{{#fff 제22대 지증왕}}}]]
[br][[천마총]](통설) ||
[[법흥왕|{{{#fff 제23대 법흥왕}}}]]
[br][[법흥왕릉]] ||
[[진흥왕|{{{#fff 제24대 진흥왕}}}]]
[br][[진흥왕릉]] || ||
[[진지왕|{{{#fff 제25대 진지왕}}}]]
[br][[진지왕릉]] ||
[[진평왕|{{{#fff 제26대 진평왕}}}]]
[br][[진평왕릉]] ||
[[선덕여왕|{{{#fff 제27대 선덕여왕}}}]]
[br][[선덕여왕릉]] ||
[[진덕여왕|{{{#fff 제28대 진덕여왕}}}]]
[br][[진덕여왕릉]] || ||
[[태종 무열왕|{{{#fff 제29대 태종 무열왕}}}]]
[br][[무열왕릉]] ||
[[문무왕|{{{#fff 제30대 문무왕}}}]]
[br][[문무대왕릉|문무대왕릉(대왕암)]] ||
[[신문왕|{{{#fff 제31대 신문왕}}}]]
[br][[신문왕릉]] ||
[[효소왕|{{{#fff 제32대 효소왕}}}]]
[br][[효소왕릉]] || ||
[[성덕왕|{{{#fff 제33대 성덕왕}}}]]
[br][[성덕왕릉]] ||
[[효성왕|{{{#fff 제34대 효성왕}}}]]
[br][[효성왕릉]] ||
[[경덕왕|{{{#fff 제35대 경덕왕}}}]]
[br][[경덕왕릉]] ||
[[혜공왕|{{{#fff 제36대 혜공왕}}}]]
[br]'''현재 소재 파악 불가''' || ||
[[선덕왕|{{{#fff 제37대 선덕왕}}}]]
[br]'''현재 소재 파악 불가''' ||
[[원성왕|{{{#fff 제38대 열조 원성왕}}}]]
[br][[원성왕릉|원성왕릉(괘릉)]] ||
[[소성왕|{{{#fff 제39대 소성왕}}}]]
[br]'''현재 소재 파악 불가''' ||
[[애장왕|{{{#fff 제40대 애장왕}}}]]
[br]'''현재 소재 파악 불가''' || ||
[[헌덕왕|{{{#fff 제41대 헌덕왕}}}]]
[br][[헌덕왕릉]] ||
[[흥덕왕|{{{#fff 제42대 흥덕왕}}}]]
[br][[흥덕왕릉]] ||
[[희강왕|{{{#fff 제43대 희강왕}}}]]
[br][[희강왕릉]] ||
[[민애왕|{{{#fff 제44대 민애왕}}}]]
[br][[민애왕릉]] || ||
[[신무왕|{{{#fff 제45대 신무왕}}}]]
[br][[신무왕릉]] ||
[[문성왕|{{{#fff 제46대 문성왕}}}]]
[br][[문성왕릉]] ||
[[헌안왕|{{{#fff 제47대 헌안왕}}}]]
[br][[헌안왕릉]] ||
[[경문왕|{{{#fff 제48대 경문왕}}}]]
[br]'''현재 소재 파악 불가''' || ||
[[헌강왕|{{{#fff 제49대 헌강왕}}}]]
[br][[헌강왕릉]] ||
[[정강왕|{{{#fff 제50대 정강왕}}}]]
[br][[정강왕릉]] ||
[[진성여왕|{{{#fff 제51대 진성여왕}}}]]
[br]'''현재 소재 파악 불가''' ||
[[효공왕|{{{#fff 제52대 효공왕}}}]]
[br][[효공왕릉]] || ||
[[신덕왕|{{{#fff 제53대 신덕왕}}}]]
[br][[배동 삼릉|신덕왕릉(배동 삼릉)]] ||
[[경명왕|{{{#fff 제54대 경명왕}}}]]
[br][[배동 삼릉|경명왕릉(배동 삼릉)]] ||
[[경애왕|{{{#fff 제55대 경애왕}}}]]
[br][[경애왕릉]] ||
[[경순왕|{{{#fff 제56대 경순왕}}}]]
[br][[경순왕릉]] || ||<-4>
{{{#000,#e5e5e5 수장급 능묘}}}
[br][[대릉원]]([[금관총]] · [[금령총]] · [[봉황대]] · [[서봉총]] · [[식리총]] · [[천마총]] · [[호우총]] · [[황남대총]])[br][[금척리 고분군]] ·[[서악동 고분군]][br][[구정동 방형분]] · [[경주 김유신묘|김유신장군묘]] · [[김인문]]묘 · [[김양]]묘 · [[설총]]묘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사적 제177호
진흥왕릉
眞興王陵
[ 펼치기 · 접기 ]

소재지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 산92-2번지
분류유적건조물/무덤
면적50,148㎡
지정연도1969년 8월 27일
제작시기신라
위치

파일:external/www.gyeongjuimage.or.kr/w_%EC%A7%84%ED%9D%A5%EC%99%95%EB%A6%89.jpg

1. 개요
2. 상세


1. 개요[편집]


眞興王陵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에 위치한 신라 제24대 국왕 진흥왕 김삼맥종의 능이다. 사적 제177호로 지정되었다.


2. 상세[편집]


삼국사기에 의하면 승하한 뒤 애공사(哀公寺) 북쪽 봉우리에 장사 지냈다고 기록되어 있다.

진흥왕은 신라의 전성기를 열어서 비중이 높은 왕으로 전국 각지에 크고 아름다운 진흥왕 순수비까지 남아 있는 왕인데도, 남긴 업적과 위상에 맞지 않게 왕릉은 위 사진으로도 알 수 있듯 매우 작다.[1] 불쌍하다.

다만 이 고분이 한동안 잊혀져 있다가 진흥왕릉으로 비정된 것은 조선시대에 김씨 문중에 의해서 된 것으로, 현재 이 고분이 조선시대에 진흥왕릉으로 비정된 이후 지금까지 공식적으로 지정됐긴 하지만, 대부분의 신라 왕릉이 그렇듯 진짜 진흥왕릉이라고 확실시되는 건 아니고 추정하는 정도다. 아무리 봐도 기록에 남은 진흥왕의 위상에 맞지 않는 초라한 무덤이라는 이유로 근처에 있는 서악동 고분군에서 가장 높은 곳에 있는 거대한 고분이 바로 진흥왕릉이라고 여기기도 한다. 진흥왕과 진지왕이 태종 무열왕의 직계 조상이므로 무열왕릉 바로 위쪽에 있다는 것도 맞아떨어지기도 한다. 조선시대 추사 김정희도 저서 《신라진흥왕릉고》(新羅眞興王陵考)에서 무열왕릉 위에 있는 서악동 고분 4기를 진흥왕, 진지왕, 문성왕, 헌안왕의 능으로 추정했는데, 이 김정희의 추정은 진흥왕릉 앞의 안내판에도 써 있다.

파일:Seoakdong.jpg
이것이 서악동 고분군의 모습. 이 정도로 거대한 규모면 신라에서 가장 중요한 왕의 왕릉이라 보기에도 무리가 없는데다 서악동 고분군 가장 아래쪽 무열왕릉과의 관계나 배치를 생각해보면 신빙성이 있긴 하지만, 공식적으로 확정된 것은 아니다.

왕릉 아래쪽에 대한민국의 보물 제65호 서악동 삼층석탑이 있는데 원래는 이 자리에 왕릉을 지키는 원찰이 있었다가 오랜 세월이 지나면서 석탑만 남은 것으로 보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04:03:29에 나무위키 진흥왕릉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물론 상대 신라왕릉치고는 작다는 것이지 조선왕릉 등 후대의 왕릉에 비하면 봉분은 큰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