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효공

덤프버전 :

강제(姜齊) 국군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width=20%>
{{{#ece5b6 초대}}}
[br][[강상|{{{#000,#e5e5e5 태공}}}]] ||<width=20%>
{{{#ece5b6 제2대}}}
[br][[제정공|{{{#000,#e5e5e5 정공}}}]] ||<width=20%>
{{{#ece5b6 제3대}}}
[br][[제을공|{{{#000,#e5e5e5 을공}}}]] ||<width=20%>
{{{#ece5b6 제4대}}}
[br][[제계공|{{{#000,#e5e5e5 계공}}}]] || ||<width=20%>
{{{#ece5b6 제5대}}}
[br][[제애공|{{{#000,#e5e5e5 애공}}}]] ||<width=20%>
{{{#ece5b6 제6대}}}
[br][[제호공|{{{#000,#e5e5e5 호공}}}]] ||<width=20%>
{{{#ece5b6 제7대}}}
[br][[제헌공|{{{#000,#e5e5e5 헌공}}}]] ||<width=20%>
{{{#ece5b6 제8대}}}
[br][[제무공|{{{#000,#e5e5e5 무공}}}]] || ||<width=20%>
{{{#ece5b6 제9대}}}
[br][[제여공|{{{#000,#e5e5e5 여공}}}]] ||<width=20%>
{{{#ece5b6 제10대}}}
[br][[제문공|{{{#000,#e5e5e5 문공}}}]] ||<width=20%>
{{{#ece5b6 제11대}}}
[br][[제성공|{{{#000,#e5e5e5 성공}}}]] ||<width=20%>
{{{#ece5b6 제12대}}}
[br][[제장공|{{{#000,#e5e5e5 장공}}}]] || ||<width=20%>
{{{#ece5b6 제13대}}}
[br][[제희공|{{{#000,#e5e5e5 희공}}}]] ||<width=20%>
{{{#ece5b6 제14대}}}
[br][[제양공|{{{#000,#e5e5e5 양공}}}]] ||<width=20%>
{{{#ece5b6 제15대}}}
[br][[공손무지|{{{#000,#e5e5e5 공손무지}}}]] ||<width=20%>
{{{#ece5b6 제16대}}}
[br][[제환공|{{{#000,#e5e5e5 환공}}}]] || ||<width=20%>
{{{#ece5b6 제17대}}}
[br][[공자무휴|{{{#000,#e5e5e5 공자 무휴}}}]] ||<width=20%>
{{{#ece5b6 제18대}}}
[br][[제효공|{{{#000,#e5e5e5 효공}}}]] ||<width=20%>
{{{#ece5b6 제19대}}}
[br][[제소공|{{{#000,#e5e5e5 소공}}}]] ||<width=20%>
{{{#ece5b6 제20대}}}
[br][[제군 사|{{{#000,#e5e5e5 제군 사}}}]] || ||<width=20%>
{{{#ece5b6 제21대}}}
[br][[제의공|{{{#000,#e5e5e5 의공}}}]] ||<width=20%>
{{{#ece5b6 제22대}}}
[br][[제혜공|{{{#000,#e5e5e5 혜공}}}]] ||<width=20%>
{{{#ece5b6 제23대}}}
[br][[제경공(23대)|{{{#000,#e5e5e5 경공}}}]] ||<width=20%>
{{{#ece5b6 제24대}}}
[br][[제영공|{{{#000,#e5e5e5 영공}}}]] || ||<width=20%>
{{{#ece5b6 제25대}}}
[br][[제후장공|{{{#000,#e5e5e5 장공}}}]] ||<width=20%>
{{{#ece5b6 제26대}}}
[br][[제경공(26대)|{{{#000,#e5e5e5 경공}}}]] ||<width=20%>
{{{#ece5b6 제27대}}}
[br][[안유자|{{{#000,#e5e5e5 안유자}}}]] ||<width=20%>
{{{#ece5b6 제28대}}}
[br][[제도공|{{{#000,#e5e5e5 도공}}}]] || ||<width=20%>
{{{#ece5b6 제29대}}}
[br][[제간공|{{{#000,#e5e5e5 간공}}}]] ||<width=20%>
{{{#ece5b6 제30대}}}
[br][[제평공|{{{#000,#e5e5e5 평공}}}]] ||<width=20%>
{{{#ece5b6 제31대}}}
[br][[제선공|{{{#000,#e5e5e5 선공}}}]] ||<width=20%>
{{{#ece5b6 말대}}}
[br][[제강공|{{{#000,#e5e5e5 강공}}}]] || ||<-4><bgcolor=#fff,#191919>
{{{#000,#e5e5e5 [[틀:역대 주 국왕|{{{#da3f3a,#c52a25 '''← 주 국왕'''}}}]]}}}
{{{#000,#e5e5e5 [[틀:역대 전제 군주|{{{#bf2f7b '''전제(田齊) 국군 →'''}}}]]}}}
|| ||<-4><bgcolor=#bf2f7b> {{{#ece5b6 {{{-2 [[틀:삼황오제|{{{#ece5b6 삼황오제}}}]] · [[틀:역대 하 국왕|{{{#ece5b6 하}}}]] · [[틀:역대 상 국왕|{{{#ece5b6 상}}}]] · [[틀:역대 주 국왕|{{{#ece5b6 주}}}]] · [[틀:춘추시대 왕조|{{{#ece5b6 춘추시대}}}]] · [[틀:전국시대 왕조|{{{#ece5b6 전국시대}}}]] · [[틀:역대 진(영성) 군주|{{{#ece5b6 진(秦)}}}]] · [[틀:역대 한 황제|{{{#ece5b6 한}}}]][br][[틀:역대 중국 삼국시대 황제|{{{#ece5b6 삼국시대}}}]] · [[틀:역대 사마진 황제|{{{#ece5b6 진(晉)}}}]] · [[틀:오호십육국 왕조|{{{#ece5b6 오호십육국}}}]] · [[틀:역대 북조 황제|{{{#ece5b6 북조}}}]] · [[틀:역대 남조 황제|{{{#ece5b6 남조}}}]] · [[틀:역대 수 황제|{{{#ece5b6 수}}}]] · [[틀:역대 당 황제|{{{#ece5b6 당}}}]][br][[틀:오대십국 왕조|{{{#ece5b6 오대십국}}}]] · [[틀:역대 송 황제|{{{#ece5b6 송}}}]] · [[틀:역대 서하 황제|{{{#ece5b6 서하}}}]] · [[틀:역대 요 황제|{{{#ece5b6 요}}}]] · [[틀:역대 금 황제|{{{#ece5b6 금}}}]] · [[틀:역대 원 황제|{{{#ece5b6 원}}}]] · [[틀:역대 명 황제|{{{#ece5b6 명}}}]] · [[틀:역대 청 황제|{{{#ece5b6 청}}}]][br][[틀:역대 중화민국 국가원수|{{{#ece5b6 중화민국 국가원수}}}]] · [[틀:역대 대만 총통|{{{#ece5b6 중화민국 총통}}}]] · [[틀:역대 중화인민공화국 주석|{{{#ece5b6 중화인민공화국}}}]]}}}}}} ||




'''{{{#ece5b6 제(齊)나라 18대 국군
효공
孝公}}}'''
강(姜)
여(呂)
소(昭)
아버지제환공(齊桓公) 강소백(姜小白)
생몰 기간음력기원전 ???년 ~ 기원전 633년
재위 기간음력기원전 642년 ~ 기원전 633년

1. 개요
2. 치세에 일어난 일



1. 개요[편집]


제나라의 제18대 군주. 제환공의 아들. 이름은 소(昭). 공자무휴의 이복 동생. 제소공, 제의공의 이복 형. 어머니는 정희(鄭姬).[1] 그를 제 환공이 송양공(宋襄公)에게 맡겼고, 그 결과는 신의 한수여서 역아와 수초가 무휴를 군주로 올리고 전횡하자 제 환공의 부탁을 받은 송양공조(曹)나라, 위(衛)나라, 주(邾)나라와 함께 강소를 데리고 수초와 무휴까지 죽이고 그를 세우니 그가 바로 제 효공이다.


2. 치세에 일어난 일[편집]


제 효공 원년(기원전 642년) 5월, 송 양공의 도움으로 즉위를 공식 선언하였다.[2]

제 효공 2년(기원전 641년) 가을, 진목공(陳穆公)은[3] 제후들과 회맹했는데, 그것은 제 환공이 덕을 잊지 않은 덕택이다. 겨울에 노나라, 진(陳)나라, 채나라, 초나라, 정나라는 제나라와 동맹을 맺었다.

제 효공 3년(기원전 640년) 가을, 제나라는 적과 형나라에서 회맹하니 형나라는 스스로를 지키기 어렵다고 여겼다.[4]

제 효공 4년(기원전 639년) 봄, 적족이 위나라를 칠 때, 송나라, 제나라, 초나라가 송나라 땅 수지에서 회맹했다. 가을에는 송 양공, 초성왕(楚成王), 채장후(蔡莊侯), 정문공(鄭文公), 허희공(許僖公), 조공공(曹共公)이 분땅에서 회맹했다. 이때 초 성왕이 송 양공이 무례한 언사를 했다는 이유로 가두었다.[5] 12월 계축일 노나라가 박 땅에서 회맹에 참여했고, 이때 송 양공이 풀려났다.

제 효공 6년(기원전 637년), 제 효공은 송나라를 쳐서 민읍을 포위했다. 여름에 진(晉)나라의 공자 희중이(姬重耳)는 호모와 제강의 계략으로 제나라를 떠났다. 이때 송 양공이 1년전 홍수 전투에서 입은 상처가 터져 죽었다.

제 효공 9년(기원전 634년), 제 효공이 북성을 치자 위나라가 제나라를 쳤다. 결국 조에서 회맹했다.

제 효공 10년(기원전 633년), 제 효공이 여름 6월 경인일에 죽었다. 그러자 아우 강반(姜潘)이 개방과 함께 효공의 아들을 죽이고, 뒤를 이으니 그가 바로 제소공(齊昭公)이다.

[1] 정나라 여자라는 뜻이다.[2] 송 양공의 도움으로 제나라의 정국이 안정되었다.[3] 진문공(晉文公)을 도운 진목공(秦穆公)이 아니다.[4] 왜냐하면 형나라는 적족에게 망했는데, 제 환공이 되일으켜 주었기 때문이다. 그때도 국력을 제대로 회복하지 못하고 있었다.[5] 정확히는 패자 자리를 다투었기 때문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22:44:33에 나무위키 제효공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