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장직상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062861> 의장1 ||
||<width=20%>
초대

야마가타
이사부로 ||<width=20%>
제2대

미즈노
렌타로 ||<width=20%>
제3대

아리요시
주이치 ||<width=20%>
제4대

시모오카
주지 ||<width=20%>
제5대

유아사
구라헤이 ||
||
제6대

이케가미
시로 ||
제7대

고다마
히데오 ||
제8대

이마이다
기요노리 ||
제9대

오노
로쿠이치로 ||
제10대

다나카
다케오 ||
||
제11대

엔도
류사쿠 ||
||<-5><bgcolor=#062861> 부의장 ||
||
초대

김윤식 ||
제2대

이완용 ||
제3대

박영효 ||
제4대

민병석 ||
제5대

윤덕영 ||
||
제6대

이진호 ||
제7대

박중양 ||
||<-5>
[ 1910 ]

고문
고영희권중현민상호박제순송병준
이근상이근택이완용이재곤이지용
이하영임선준장석주조중응조희연
조민희한창수
찬의
강경희권봉수김만수김사묵김영한
남규희민상호박경양박승봉박제빈
박중양염중모유맹유정수윤치오
이건춘이겸제이재정이준상정인흥
조영희조희문한창수홍승목홍종억
부찬의
고원식구희서권태환김교성김낙헌
김명규김명수김준용김필희김한규
김한목나수연민건식민원식박제환
박희양서상훈서회보성하국송지헌
송헌빈신우선신태유어윤적엄태영
오재풍오제영윤치오이도익이만규
이봉로이원용이항직정동식정병조
정진홍조병건조재영조제환조원성
최상돈한동이허진홍우철홍운표
홍재하

[ 1920 ]

고문
고희경권중현민병석민영기박영효
송병준이하영윤덕영이윤용
부찬의
김현수
칙임 참의
김영진김영한김한목남규희민상호
민영찬민형식박승봉박이양박기양
박상준박승봉박의병박제빈박중양
백인기상호서상훈신석린신응희
어윤적엄준원염중모유맹유성준
유정수유혁로이건춘이겸제정진홍
조민희조진태조영희조희문한상룡
한진창
주임 참의
강병옥고원훈권태환김갑순김교성
김기태김명규김명준김상설김상섭
김연상김영무김정태김준용김창한
김필희김현수나수연노창안박경석
민건식민영은박기동박기순박봉주
박이양박제환박종렬박흥규박희양
방인혁서병조선우순송종헌송지헌
신석우신태유신창휴심준택심환진
안병길양재홍오재풍오태환원덕상
유기호유빈겸유익환유흥세윤치소
이강원이근우이기승이도익이동우
이만규이병렬이병학이택규이택현
이항직이흥재이희덕장대익장도
장상철장응상장직상장인원전석영
정동식정란교정병조정순현정재학
정태균정호봉조병건천장욱최석하
피성호한영원한상봉한창동허명훈
홍성연현은
참의
구연수김윤정김춘희김한목김희작
남규희민병석박기순원응상윤갑병
윤정현장헌식정건유현기봉

[ 1930 ]

고문
민병석윤덕영이윤용
칙임 참의
고원훈김관현김명준김서규김영진
김윤정남궁영민상호박두영박상준
박영철박용구박중양서상훈신석린
어담엄준원염중모유정수유진순
유혁로윤갑병이겸제이범익이진호
장헌식정교원조경하조성근조희문
주영환최린한규복한상룡한진창
홍종국
주임 참의
강동희강번고일청김경진김기수
김기홍김도현김두찬김병규김사연
김상설김상형김상회김신석김영택
김정석김정호김종흡김진수김창수
김한규김한목김한승남백우노영환
문종구민병덕박기석박종렬박보양
박봉진박철희박희옥방의석방태영
서병조서병주석명선선우순성원경
손재하손조봉송지헌신희련안종철
오세호오태환원덕상유승흠유태설
이경식이교식이근수이근우이기찬
이기승이동우이명구이방협이승우
이병렬이선호이은우이종섭이충건
이진호이택규이희덕이희적인창환
장대익장석원장직상장헌근정관조
정란교정대현정석모정석용정해붕
조병상주영환지희열최남선최양호
최연국최윤최윤주최준집최지환
최창조하준석한영원현준호현헌
홍치업황종국
참의
강필성김병원김성규김제하박상준
어윤적유만겸유성준진희규홍정철

[ 1940 ]

고문
김윤정박중양윤치호이범익이진호
한상룡
칙임 참의
고원훈김관현김명준김사연김연수
김영배김영진김우영김윤정김태석
김화준박두영박상준서상훈신석린
안종철원덕상유만겸유진순이겸제
이경식이계한이병길이원보장직상
장헌식정교원정란교정연기진학문
최린한규복
주임 참의
강이황권중식김경진김동준김병욱
김부원김사연김신석김원근김재환
김태집노준영민재기박지근박창하
박필병방의석서병조손창식송문화
신현구양재창원병희위정학이경식
이기찬이승우이신용이영찬이익화
이종덕임창수장용관장윤식장준영
장직상전덕룡조병상조상옥차남진
최윤최승렬최정묵최준집한익교
한정석현준호황종국
참의
김하섭문명기이승구

||
||<-5> 1. 중추원 의장은 조선 총독부 정무총감이 맡았다.
†. 재직 중 사망.
||



파일:0cf51b38b3f9231a0b575ca032bc29e8c640bc734d39bbc533cdce8577ab8753.jpg

張稷相
일본식 이름: 張元稷相(하리모토 지키쇼)
1883년 3월 25일 ~ 1959년 4월 17일[1] (향년 76세)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대한제국의 관료, 친일반민족행위자, 기업인이다. 경상북도관찰사 장승원의 아들이자 장택상국무총리의 둘째 형이다. 본관은 인동(仁同)[2], 자는 치대(致隊)이다.[3]

2. 생애[편집]


1883년 경상도 인동도호부 북삼면 오태동(현 경상북도 구미시 오태동)에서 경상북도관찰사를 지낸 아버지 장승원(張承遠, 1852 ~ 1917. 9. 28)과 어머니 풍양 조씨[4] 사이의 3남 2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그는 조선 중기의 사림파 학자인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 1554 ~ 1637)의 11대손으로, 할아버지 장석룡(張錫龍, 1823 ~ 1908. 10. 21)[5]은 1846년(헌종 12) 정시(庭試) 문과에 갑과 1위로 장원급제해 공조판서(정2품)에 올랐고 아버지 장승원 또한 1885년(고종 22)에 증광시 문과에 병과 5위로 급제하고 경상북도 관찰사(종2품)를 지내는 등 당시의 이른바 문벌 가문이라 불릴만한 배경을 타고 났다.

8세 때 가숙(家塾)에 들어가 한글과 한문을 수학하였으며, 1903년 경기전 참봉(종9품)에 제수된 것을 시작으로, 산릉도감(山陵都監) 감조관(監造官), 경상북도 신녕군수 등을 지냈다.

1910년 한일합방 직후 신녕군수를 사임하고 고향인 인동군 북삼면 오태동으로 돌아갔다. 같은 해 10월 다시 신녕군수가 되었다. 이후 1911년 비안군수, 1912년 하양군수, 1913년부터 1916년까지 선산군수 등을 역임했고 1916년 경상북도 지방토지조사위원회 임시위원을 지냈다가 1916년 3월 관직을 그만두었다.

1917년 7월 대구은행 취체역에 취임하였으며, 이어 선남은행(鮮南銀行) 취체역에 취임했다. 1919년 칠곡군 학교평의원, 1920년 4월에는 경일은행(慶一銀行) 전무취체역에 취임하였고, 왜관금융창고 감사 및 조합장, 대구창고주식회사 사장 등을 역임했다. 1924년 3월 대구상업회의소 특별평의원에 선출되었다가 1925년 11월 대구상업회의소 회두(會頭:회장)에 선출되는 한편, 1920년부터 1927년까지 경상북도 평의회 의원, 대구부협의회원 등을 지내고 1930년 6월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에 추대되어 광복 직전까지 역임했다.#

그 밖에 대구부공직자대회 회장, 조선공업협회 상담역 및 평의원, 동아인촌(東亞燐寸)주식회사 대표, 영흥탄광(永興炭礦)주식회사 발기인 및 감사, 조양무진(朝陽無盡)주식회사 대주주, 조선신탁(朝鮮信託)주식회사 이사, 대구상공은행(大邱商工銀行)주식회사 감사, 남선합동전기(南鮮合同電氣)주식회사 이사, 남선양조(南鮮釀造)주식회사 이사, 합자회사 친우(親友) 대표, 경북화물자동차(慶北貨物自動車)주식회사 이사, 경북산업(慶北産業)주식회사 이사, 매일신보사(每日新報社) 발기인 및 감사·남선수력전기(南鮮水力電氣)주식회사 이사를 지내는 등 지역 및 재계의 유력자로 활동했다.

또 1933년 대구의학전문학교(현 경북대학교 의과대학)이 설립될 때 1,500여 원을 기부하였고, 1926년 대구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 설립 시에는 2,800원을, 1932년 조선나예방협회(현 한국한센복지협회) 창립 시에 1,100여 원 등을 비롯해 5,400여 원을 기부하였으며, 도로 부지, 학교 부지 등으로 8천평 이상의 토지를 조선총독부에 헌납했다.#

한편, 1938년부터는 친일단체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國民精神總動員朝鮮聯盟) 발기인과 평의원으로 활동하다가, 1940년 국민총력조선연맹(國民總力朝鮮聯盟) 평의원과 사무국 경제부 경제위원회 위원이 되었다. 1941년 흥아보국단(興亞報國團) 위원과 조선임전보국단(朝鮮臨戰報國團) 발기인 및 이사로 참여한 뒤, 1945년 대화동맹(大和同盟) 심의원 등으로 활동하였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일본 정부로부터 1912년 한국병합기념장, 1915년 다이쇼대례기념장, 1935년 시정 25주년 기념표창 등을 받았다.

8.15 광복 후에는 일제강점기 때부터 경영하던 경북산업의 대표를 맡았으며, 그 밖에 대한생명 회장, 남선전기 사장, 남전와사공장(南電瓦斯工場)[6] 사장, 남선기공(南鮮機工) 사장, 조선전구제조(朝鮮電球製造) 사장 등을 지냈다.

1959년 4월 17일 경상북도 대구시 자택에서 숙환으로 사망했다.#

2002년 발표된 친일반민족행위자 708인 명단과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에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하기 위해 정리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모두 선정되었다. 2009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도 포함되었다.


[1] 음력 3월 10일.[2] 상장군 금용(金用)계 남산(南山)파 31세 상(相) 항렬. 인동 장씨 31세.[3] 인동장씨대동보 14권 남산파 1451쪽 참조.[4] 조준구(趙駿九)의 딸이다.[5] 초명 장용규(張龍逵). 1868년(고종 5) 종3품 예조참의로 재직 중에 장석룡(張錫龍)으로 개명했다.[6] 와사(瓦斯)는 가스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