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만배

덤프버전 : (♥ 0)

||



이만배
파일:emanbae.png
종류웹툰 서비스 플랫폼
홈페이지파일:이만배 로고.png
운영노틸러스[1]
개설2022년 8월 15일
언어한국어
가입사실상 필수카카오 ID
파일:카카오톡채널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1. 개요
3. 서비스
4. 장점
5. 단점
6. 기타
7. 외부 링크



1. 개요[편집]


-1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9c00><tablebgcolor=#ffffff,#1f2023> {{{+1 이걸{{{#ff9c00 ?}}} 만화로 배워{{{#ff9c00 !?}}}}}} ||
2022년 8월 15일부터 서비스를 시작한 웹툰 연재처.[2] 위의 모토답게 주로 학습에 관련된 웹툰을 연재한다.

도전 만화를 비롯한 각 플랫폼에서 학습툰으로 인기를 끈 작가를 끌어왔으며, 완결작을 들여오는 경우 분류된 요일마다 무료 회차가 한 개씩 열리는 시스템.[3]


2. 연재작[편집]


||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이만배/연재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서비스[편집]



2021년 7월에 '주식회사 노틸러스'를 창업하여, '퓨처플레이 펀딩 + 개인 인맥을 통한 엔젤 투자[4] + 프리 시리즈A = 누적 45억 원'의 자본금으로 시작, 2022년 4월 팀 빌딩을 완료한 뒤 광복절에 맞추어 플랫폼 '이만배'를 런칭했다.

오프라인 시장에서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한국의 학습만화를 웹툰 플랫폼에 접목시켜, 파트너로 합류한 작가들의 기존 팬덤을 기반으로, 가장 자기 개발에 적극적인 20대를 시작으로 인지도를 넓혀, 전연령을 아우르는 에듀테크 구현을 목표로 한다고.[5]



4. 장점[편집]



5. 단점[편집]




특히 카카오페이 결제가 복잡하기로 악명이 높았는데, 모바일 앱으로 만화를 보다가 충전을 하고 싶으면 PC를 켜서 웹페이지에 별도로 로그인을 하고 충전을 동의하면, 바로 충전이 되지 않았다. 일반 쇼핑몰처럼 충전이라고 하면 바로 카카오 페이를 선택해서 간단 결제가 진행되지 않고, QR결제라고 해서 본인휴대폰을 통한 QR코드 스캔 혹은 휴대폰 본인인증을 거친 다음 휴대폰으로 카카오톡 주문서를 보내고, 이 주문서를 카카오톡의 결제시스템을 지나서[8] 마침내 카카오 페이로 결제를 진행한 다음, PC화면에서 결제 완료를 눌러야하는 처참한 결제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다.





6. 기타[편집]




7. 외부 링크[편집]



[1] 창업주이자 대표인 이성업은 레진엔터테인먼트의 창립 멤버이자 前 2대 대표.[2] 재미없는 공부에서 해방되는 광복절 같은 개념으로 런칭일을 골랐다고.[3] 늘의 식 웹툰 <오.무.지>[4] 전 직장인 레진코믹스 재직 당시, 엉망진창이던 기업을 생명 연장시켜 인수합병을 통한 우회상장을 이끌어낸 공로를 인정받은 측면이 있다고. 기사[5] 디시인사이드 HIT 갤러리에서 알려진 만화로 배우는 곤충의 진화는 출판 2년 후 40대 부모 세대의 구매 비율이 27.3%를 달성한 예가 있다.[6] 조선 왕실의 신화의 25화에 따르면 10~13p 안으로 욱여넣게 했다고 한다.[7] 이는 카카오페이로만 결제가 가능한 것이, 이만배에 초기 자본금의 대부분인 34억 5천만원을 지원한 프리시리즈 A에 카카오 벤처스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원인으로 지목되었다.[8] QR코드 인증을 해도 카카오톡 주문서를 거친다. 즉 카톡이나 카톡결제가 먹통이 되면 QR코드 결제를 해봤자 결제진행이 안된다.[9] 이만배는 덧글 다는 기준이 엄격하다. 왠만한 욕설이나 음담패설은 허용하지 않아 제약이 있지만 커뮤니티 용어를 쓰면서 은근슬쩍 하는 경우가 많다.[10] 노벨피아도 마찬가지로 저작권 관리에 유출 방지를 하고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3 14:38:45에 나무위키 이만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